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dapting Korean beauty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For this study, Chosun Men's Pyoeui(coat) were considered first. Pyoeui had the courtesy and variety. They were Jobog, Danryeong. Chulrlk, Dabho, Jangeui, Aegjueumpo, Jigryeong, Changeui, Changos, Jungch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dapting Korean beauty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For this study, Chosun Men's Pyoeui(coat) were considered first. Pyoeui had the courtesy and variety. They were Jobog, Danryeong. Chulrlk, Dabho, Jangeui, Aegjueumpo, Jigryeong, Changeui, Changos, Jungchimag, Hagchangeui, Simeui, Dopo, and Durumagi. Pyoeui were considered the formative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describing Shape, Color, Material, Pattern. and Ornament. And Pyoeui were considered the instances which were adapted their formative features to Wedding dress. The formative features appearing on Wedding dress were merely applied the outward shap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utward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about Men's Pyoeui for adapting Wedding dress. And then the continuous attempt is needed to adapt the beauty of Korean costume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dapting Korean beauty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For this study, Chosun Men's Pyoeui(coat) were considered first. Pyoeui had the courtesy and variety. They were Jobog, Danryeong. Chulrlk, Dabho, Jangeui, Aegjueumpo, Jigryeong, Changeui, Changos, Jungchimag, Hagchangeui, Simeui, Dopo, and Durumagi. Pyoeui were considered the formative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describing Shape, Color, Material, Pattern. and Ornament. And Pyoeui were considered the instances which were adapted their formative features to Wedding dress. The formative features appearing on Wedding dress were merely applied the outward shap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utward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about Men's Pyoeui for adapting Wedding dress. And then the continuous attempt is needed to adapt the beauty of Korean costume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한국적 미를 표현한 혼례복의 개발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한국적 미를 지닌 혼례복의 디자인을 위하여 전통복식중 조선시대 표의를 활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표의중에는 전통혼례에 착용된 경우도 있으며, 또 표의가 의례복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혼례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과 표의의 종류가 다양하므로 활용성이 풍부하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 미를 현대화하기 위해 표의의 외형적 특징과 복식미를 연구하며 그것을 모티브로 혼례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연구가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조선시대 표의중 먼저 남자표의에 대해 외형적 특징과 복식미를 고찰하고 남자 혼례복에 활용된 실례를 고찰하여 이를 분석하고 연구한다.
복식의 아름다움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은 복식의 조형 요소인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을 분석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가능하다. 장신구도 복식의 미적 완결을 위해 심미적인 의도로 착용했으므로2) 이를 중심으로 외형적 특징과 복식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혼례복을 창조하는데 있어 조선시대 남자표의 의복 식미를 토대로 외형적 특징을 다각도로 접근해 한국적 미를 살린 혼례복이 개발된다면 국제화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고 전통복식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표의를 활용하는 혼례복 디자인 연구에 있어서 여자표의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제 디자인기획은 후속과제로 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이 중 출토유물은 141점, 유물은 52점이다. 남자표의를 활용한 혼례복 조사는 마이웨딩, 한국의 미, 아름다운 우리옷, 우리옷사랑, HANBOK 등의 잡지를 참고하였다.
먼저 표의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모방한 혼례복을 살펴보면, 상복의 형태를 활용한은풍성한 형태의 분홍 혼례복으로 둥근 깃의 화문과전체 길에 기하학문을 은박하였으며 두리 소매를 활용하여 수구밑 아래는 2개의 매듭으로 징그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박물관 등의 유물 사진을 통해 조선시대 남자표의의 외형적 특징과 복식 미를 조사하였다. 사용된 유물은 조복 3점, 단령 33 점, 철릭 28점, 답호 9점, 장의 17점, 액주음 13점, 직령 23점, 창의 13점, 창옷 11점, 중치막 11점, 학창의 8점, 심의 4점, 도포 14점, 두루마기 6점 등 총 193점이었다.
대상 데이터
조사하였다. 사용된 유물은 조복 3점, 단령 33 점, 철릭 28점, 답호 9점, 장의 17점, 액주음 13점, 직령 23점, 창의 13점, 창옷 11점, 중치막 11점, 학창의 8점, 심의 4점, 도포 14점, 두루마기 6점 등 총 193점이었다. 이 중 출토유물은 141점, 유물은 52점이다.
사용된 유물은 조복 3점, 단령 33 점, 철릭 28점, 답호 9점, 장의 17점, 액주음 13점, 직령 23점, 창의 13점, 창옷 11점, 중치막 11점, 학창의 8점, 심의 4점, 도포 14점, 두루마기 6점 등 총 193점이었다. 이 중 출토유물은 141점, 유물은 52점이다. 남자표의를 활용한 혼례복 조사는 마이웨딩, 한국의 미, 아름다운 우리옷, 우리옷사랑, HANBOK 등의 잡지를 참고하였다.
광대(廣帶)로 뒤에서 여며주었다. 소재는 모시를 사용하였으며 머리에는 쓰지 않았고 혜를 신었다. 표의를 활용한 혼례복에 사용된 색채를 보면 페일톤과 부분적으로 원색을 사용하였다.
식물문 등이 쓰였으며 보와 흉배에는 동물문이 특히 다양하게 나타났다. 관모와 대, 화, 혜 등을 사용하였다.
혼례복이라는 의례를 표현할 수 있는 문양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현대적인 문양기법을 사용한다면 혼례복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부속품으로는 사모와 화 . 혜 그리고 각대 등이 었다.
성능/효과
5로 나타났으며 착수인 경우는 이보다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표의의 전체 윤곽선은 넓고 풍성한 H형이나 A형, 또는 좁고 단아한 H형과 단정한 선의 A형으로 나타났다. 철릭의 하상 주름에는 미세하게 잡은 잔주름과 외주름, 맞주름 그리고 규칙적으로 잡은 주름 등이 나타났다.
소매의 종류에 따라 전체 실루엣의 분위기가 달라졌는데 소매가 넓을수록 위엄있고 의 례 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좁은 경우 단아한 선의 미가 나타났다. 수구褸이 있는 경우 장식성이 따르며 분리되는 소매는 실용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조선시대 남자표의의 외형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형태는 직선과 곡선, 사선 등의 선의 흐름과 소매모양, 소매구성법, 깃, 그리고 상의 하상의 연결 방법, 앞뒤길이차, 주름과 트임, 무와 뒷자락, 선장식, 고름, 매듭, 거들지, 흉배 등으로 나타났다. 색채는 표의에는 자 .
백 . 흑색의 밝고 순수한 원색과 중간 톤의 담백한 유색을 사용하였으며, 독특한 이중색과 흑백조화, 흑색과 원색과의 조화가 나타났다. 소재는 신분과 권력의 과시로 주로 견직물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또한 마나 면직물 등의 검소한 소재를 사용하여 유학자로서의 깊이 있고 심오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선시대 남자표의의 외형적 특징에 나타난 복식미는 자연미를 토대로 전체 실루엣이 조화되면서 유동의 미와 장식미가 나타났으며 신분상징에 다른 인격미, 의례성, 상징성과 길상적인 우의성이 표함되었다. 여기에 선비의 정신을 표현하는 정갈스러운 아름다움과 담백함이 나타났다.
후속연구
예를 들면 철릭에서 보여지는 주름과 액주음포의 주름 등은 우아함과 세련미를 줄 수가 있으므로 이를 혼례복에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심의를 형성하고 있는 여러 폭으로 이어진 裳의 형태를 분리시켜서 디자인하거나 상의하상의 비율 등을 활용해보는 것도 좋은 시도일 것이다. 또한 장의에서 나타난 거들지나 심의의 수구襟 등은 남자 혼례복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외형적 요소로 이를 활용하여 현대감각으로 표현해보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장의에서 나타난 거들지나 심의의 수구襟 등은 남자 혼례복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외형적 요소로 이를 활용하여 현대감각으로 표현해보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된다. 도포의 뒷자락은 트임과 더불어 혼례복에서 유동적인 선을 느낄 수 있으므로 적극 활용해 본다면 좋은 형태적 요소가 되리라 생각된다. 얼굴가까이에 있는 깃은 둥근깃이나 반달 깃에 만국 한 되지 말고 착용자의 개성과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포의 뒷자락은 트임과 더불어 혼례복에서 유동적인 선을 느낄 수 있으므로 적극 활용해 본다면 좋은 형태적 요소가 되리라 생각된다. 얼굴가까이에 있는 깃은 둥근깃이나 반달 깃에 만국 한 되지 말고 착용자의 개성과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흉배와 보, 조복에서 나타난 폐슬과 禳장식, 그리고 禊에 나타난 異色의 테두리와 후수 등을 혼례복에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얼굴가까이에 있는 깃은 둥근깃이나 반달 깃에 만국 한 되지 말고 착용자의 개성과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흉배와 보, 조복에서 나타난 폐슬과 禳장식, 그리고 禊에 나타난 異色의 테두리와 후수 등을 혼례복에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색채는 전통표의의 색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여기에는 표의가 의례복으로서의 역할도 있었기에 혼례복에 사용해도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천연염색으로 추출된 색상을 사용한다면 더욱 한국적인 미가 가미될 것이다. 소재는 주소재가 견직물로 이는 견직물의 촉각적인 느낌과 외형상 유연한 선의 미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현재 금직에 대한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 그리고 견직물뿐만 아니라 모시가 갖고 있는 섬세하고 투명함에서 느껴지는 정갈스러운 아름다움은 혼례복의 이미지에 적합하므로 이를 적극 활용한다면 한국적인 미가 더욱 느껴질 것이다. 문양은 전통표의에 나타난 종류에 비해 다양하지 않았지만 기법에서는 남자표의에 나타나지 않았던 금박과 은박이 현대 혼례복에서 나타났다.
문양은 전통표의에 나타난 종류에 비해 다양하지 않았지만 기법에서는 남자표의에 나타나지 않았던 금박과 은박이 현대 혼례복에서 나타났다. 혼례복이라는 의례를 표현할 수 있는 문양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현대적인 문양기법을 사용한다면 혼례복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부속품으로는 사모와 화 .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