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명태식해(식해)의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Alaska Pollack Sik-ha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4, 2002년, pp.559 - 565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조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경 (동광제약) ,  김훈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석 (동서바이오텍(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명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저장.숙성조건에 따른 명태식해의 항균성, 항산화성, 항고혈압성 및 항콜레스테롤성 등의 생리적 기능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항균성에서는 9종의 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이중 gram 양성균에 대해 Listeria monocytogenes를 제외하고 저장 직후에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모든 gram 양성균에 대해 전 저장기간 동안 항균활성이 확인되었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gram 음성균 및 진균류에 대해서는 항균활성 이 gram 양성균에 비해 약하였다. 항산화성은 저장.숙성조건에 따라 모두 관능적으로 맛이 우수한 15~16일 경에 가장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후로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성은 명태식해 제조직후를 제외하고는 모든 저장.숙성조건에서 항고혈압활성이 나타났으며, 항콜레스테롤성은 2$0^{\circ}C$ 15일과 변온 16일에서만 항콜레스테롤활성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명태식해는 김치류와 같은 우수한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명태식해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변온조건에서도 그 생리적 기능성이 계속해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such as antimicrobial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y,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bile acid binding capacity were measured for the solvent-fractionated methanol extracts of Alaska pollack sik-hae at various time intervals during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명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저장 · 숙성 조건에 따른명태식해의 항균성, 항산화성, 항고혈압성 및 항콜 레스테롤성 등의 생리적 기능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항균성 에서는 9종의 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 중 gram 양성 균에 대해 Listeria monocytogenes를 제외하고 저장 직후에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모든 gram 양성균에 대해 전 저장기간 동안 항균활성 이 확인되 었고, Staphylococcus awe必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어획되는 대표적인 어종이며,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명태를 원료로 하여 전통적 명 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저장·숙성조건에 따른 식해의 생리기능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IC50 means the sample concentration to inhibit 50% of ACE inhibitory rati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MY, Lee HG. 1989.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hikke. Korean J Dietary Cluture 4: 39-51. 

  2. Lee CH, Lee EH, Lim MH, Kim SH, Chae SK, Lee KW, Koh KH. 1986. Characteristics of Korean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Korean J Dietary Cluture 1: 267-278. 

  3. 오연주, 황인주, Claus Leitzmann. 1994. 김치의 영양생리학적 평가. 김치의 과학.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엄. p 226-245. 

  4. 신동화. 1990. 천연 항균성 물질의 연구현황과 식품가공에의 이용. 식품과학과 산업 23: 68-77. 

  5. 박건영, 최홍식. 1994. 김치의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성. 김치의 과학.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움. p 205-225. 

  6. Lee CH, Cho TS, Lim MH, Kang JW, Yang HC. 1983. Studies on the Sik-hae fermentation made by flat-fish.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1: 53-58. 

  7. Souane M, Kim YB, Lee CH. 1987.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gajami sik-hae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5: 150-157. 

  8. Jung HS, Lee SH, Woo KL. 1992. Effect of salting levels on the changes of taste constituents of domestic fermented flounder Sikhae of hamkyeng-do.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9-64. 

  9. Cha YJ, Kim SJ, Lee JS. 2001. Microbial characterization in traditional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Abstract book p 266 presented at 2001 Annual Meeting of Japan Society for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Agrochemistry, Kyoto, Japan. 

  10. KSFS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od science part.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ed. Hyoil Press, Seoul. p 651-652. 

  11.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rung. Biochemical Pharmacology 20: 1637-1648. 

  12. Matsui T, Matsufuji H, Osajima Y. 1992. Colorimetric measurement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ith trinitrobenzene sulfonate. Biosci Biotech Biochem 56: 517-518. 

  13. Camire ME, Zhao J, Violett DA. 1993. In vitro binding of bile acids by extruded potato peels. J Agric Food Chem 41: 2391-2394. 

  14. Kim SJ, Park KH. 199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vegetable kimchi stuff.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16-220. 

  15. Kim SJ. 2000.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Alaska Pollack Sik-hae. M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16. 김수영. 2001.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의 기능과 의학적 이용. 기능성식품과 면역. 건국대학교 개교 55주년 기념 제3회 자연의학 심포지움. p 41-56. 

  17. Yamamoto Y, Higashi K, Yoshi H. 1984. Inhibitory activity of acetic acid on yeast.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1: 772-776. 

  18. Daeschel MA. 1989.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lactic acid bacteria for use as food preservatives. Food Technol 43: 164-166. 

  19. Nakamura S, Kato A, Kobayashi K. 1991. New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ysozyme-dextran conjugate. J Agric Food Chem 39: 647-650. 

  20. Cho SY, Han YB, Shin KH. 2001.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21. Hwang JH, Song YO, Cheigh HS.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09-1015. 

  22. Lee YO, Cheigh HS. 1995.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J Korean Soc Food Nutr 24: 1005-1009. 

  23. Matsushita S, Ibuki F, Aoki A. 1963. Chemical reactivity of the nucleic acids and theri related substances on the oxid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Arch Biochem Biophy 102: 446-451. 

  24. Cheigh HS, Hwang JH. 200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52-56. 

  25. Yeum DM, Lee TG, Park YH, Kim SB. 1997. Antioxidative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derived from anchovy muscle protein. J Korean Fish Soc 30: 842-849. 

  26. Lee EK. 1996.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hypertensive substances from edible seaweeds. MS Thesis.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Kangnung. 

  27. Matsumura N, Fujii M, Takeda Y, Shimizu T. 199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giotensine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bonito bowels. Biosci Biotech Biochem 57: 922-925. 

  28. Lee TG, Park YB, Park DC, Yeum DM, Kim IS, Gu YS, Park YH, Kim SB. 1998. Ant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in enzymatic hydrolysates of anchovy muscle protein. J Korean Fish Soc 31: 875-881. 

  29. Yeum DM, Roh SB, Lee TG, Kim SB, Park YH. 1993.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food proteins. J Korean Soc Food Nutr 22: 226-233. 

  30. Im YS. 1997.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ginate from edible sea tangle (Laminaria spp.). MS Thesis.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Kangnu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