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외 공기 중 부유먼지 측정방법 상호간의 비교평가 - 중량법을 대상으로
Comparative Evaluation of Gravimetric Measurement Methods for Suspended Particles in Indoor and Outdoor Air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18 no.4, 2002년, pp.285 - 295  

백성옥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대기환경연구실) ,  박지혜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대기환경연구실) ,  서영교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대기환경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everal types of gravimetric methods (such as high, medium, low, and ultra low volume sampling methods) were applied to determin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both ambient and indoor environments. Comparative evaluations were undertaken with SPM data obtained us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두 가지의 측면 즉, 환경 대기에서의 다양한 유량범위를 가진 측정기를 이용한 시료 채취와 실내환경에서 비교적 낮은 유량범위에서 채취된 부유먼지의 농도를 상호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외환경에서는 측정방법을 먼저 공기채취 유량의 크기에 따라 high (약 1000L/min 이상), medium (100~200L/min), low (약 30L/min) 및 ultra low-volume(약 10L/min 이흐卜)의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PM10 입도 분리장치의 부착 유무에 따른 측정 결과의 차이와 상관성, TSP 대 PM10 농도비의 비교를 통해 각 측정법으로 구한 자료의 호환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 이를 위하여 실외환경에서는 측정방법을 먼저 공기채취 유량의 크기에 따라 high (약 1000L/min 이상), medium (100~200L/min), low (약 30L/min) 및 ultra low-volume(약 10L/min 이흐卜)의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PM10 입도 분리장치의 부착 유무에 따른 측정 결과의 차이와 상관성, TSP 대 PM10 농도비의 비교를 통해 각 측정법으로 구한 자료의 호환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high-vol 샘플러의 사용이 실질적으로 곤란한 실내환경에서는 ultra low-vol 샘플러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유량조건에서 얻어진 실내 공기 중 TSP, PM10, PM4.0의 농도를 측정하여 각 샘플러의 차이에 따른 농도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먼지농도자료의 호환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먼지 측정 방법 중 중량법에 국한하고 있으며 광학적 방법과 중량법간의 비교 고찰은 또 다른 별도의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먼지측정결과에 미치는 여지의 채취효율 차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외와 실내 환경에서 각각 동일한 종류의 여지를 사용하였다. 즉, 환경대기 측정에는 모두 유리섬유 여지를 이용하였으며, 실내 공기 측정에서는 pore size가 1 Um인 태플론 여지를 사용하였다.
  • 0/ TSP 평균비를 계산하여 정리하였다. 여러 장소에서 측정된 부유먼지 자료를 모두 동등한 상태에서 평가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우므로 특정 측정지점의 실내 공기 중에 측정된 부유먼지의 농도자료는 그 지점의 특성을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농도 수준 범위별로 분류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처럼 분진의 측정과 관련된 여러가지 오차 발생의 가능성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량 법에 의한 측정방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시료채취 유량을 적용할 경우 측정된 부유먼지의 농도 자료 간에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또한 농도 자료 간의 연관성은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의 측면 즉, 환경 대기에서의 다양한 유량범위를 가진 측정기를 이용한 시료 채취와 실내환경에서 비교적 낮은 유량범위에서 채취된 부유먼지의 농도를 상호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