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 공급에 따른 소변 중 이소플라본 배설량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6, 2002년, pp.1043 - 1047  

승정자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소플라본의 섭취량 측정방법에서 식품중 함량분석이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식이섭취조사 이외에도 소변을 통한 분석방법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3개월간 이소플라본 90mg을 함유한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을 매일 1회씩 섭취하도록 하고, 실험전과 실험 후반 3일간의 식이섭취조사와 1일간의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여 소변으로의 이소플라본 배설량을 측정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25명의 평균 연령은 64.2세였으며, 신장은 149.6 cm이었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각각 58.1 kg,25.9kg/m$^2$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실험 전 열량 섭취량은 1일 평균 1337.5 kcal였으며, 이소플라본 공급기간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의 섭취량은 실험전 1일 평균 56.9g으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이소플라본 공급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외에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를 제외한 지질, 당질, 비타민, 무기질의 섭취량에 있어서도 실험 전과 실험 기간중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식이중 총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5.3 mg이었으며, 이중 다이드제인이 11.8 mg, 제니스테인이 13.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공급 기 간(90 mg/day)중 일상 식이를 통한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1.5 mg으로 실험전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소플라본 공급전의 24시간 소변중 이소플라본(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합) 배설량은 8.4 mg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량의 15.8%가 비례적으로 소변을 통하여 배설되었다. 매일 90mg의 이소플라본을 공급(90 mg/day)한 3개월 후에는 13.9mg으로 공급전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24시간 소변을 통한 이소플라본 배설량 특히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측정은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가 수가 적고 실험기관 공급수준의 다양성이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좀더 많은 인원수를 대상으로 기간과 섭취수준을 달리하는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ell known that soy isoflavones play benefici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ch as breast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 and osteoporosis. However current data are not sufficient for estimating the level of isoflavone intake. To use the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as a mak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소플라본의 섭취량 측정방법에서 식품중 함량분석이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식이섭취조사 이외에도 소변을 통한 분석 방법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3개월간 이소플라본 90 mg을 함유한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을 매일 1회 씩 섭 취 하도록 하고, 실험전과 실험 후반3일간의 식이섭취조사와 1 일간의 24시 간 소변을 수집 하여 소변으로의 이소플라본 배설량을 측정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소플라본의 섭취량 측정 방법에서 식품 중 함량분석이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에 따라 소변으로의 배설량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폐경으로 인한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식품을 통한 phytoestrogens섭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일상 식이 중 이소플라본 섭취량을 분석하고 또한 3개월간 대두에서 추출한 이소플라본을 일정량 공급한 후 소변으로 배설되는 주요 이소플라본의 형태인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함량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폐경 후 여성의 이소플라본 섭취량 판정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lercreutz H, Mazur W. 1997. 1 Phyto-oestrogens and western diseases. Annals of Medicine 29: 95-120. 

  2. Ho SC. 1999. Soy consumption and potential benefits for bone and heart health in the Chinese population. 8th Asian Congress of Nutrition. S6-2. 

  3. Martin PM, Horwitz KB, Ryan DS, McGuire WL. 1978. Phytoestrogen interaction with estrogen receptors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Epidemiology 103: 1860-1867. 

  4. Messina M, Messina V. 1991. Increasing use of soyfoods and their potential role in cancer prevention. J ADA 91: 836-840. 

  5. Lee SK, Lee MJ, Yoon S, Kwon DJ. 2000. Estimated isoflavone intake from soy products in Korean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48-956. 

  6. Choi YB, Sohn HS. 1998. Isoflavone content i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45-750. 

  7. Kim MJ. 2001. Quantification of isoflavoens and coumestrol in Korean soy foods and estimations of their intak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8. Kim MS, Park YJ, Lee YS. 1999. Effect of dietary isoflavone on bone mineral and blood lipids in ovariectomized rats. 8th Asian Congress of Nutrition. PM8-3. 

  9. Sung CJ, Choi SH, Kim MH, Park MH, Go BS, Kim HK. 2000. A study on dietary isoflavone intake from soy foods and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and, menopausal symptoms in Korean women in rural areas. Kor J Community Nutr 5: 120-129. 

  10. Messina M, Messina V. 1994. The simple soybean and your health. Avery Publishing Group, Garden City Park, NY. 

  11. Adlercreutz H, Honjo H, Higashi A, Fotsis T, Hamalainen E, Hasegawa T, Okada H. 1991. Urinary excretion of lignans and isoflavonoid phytoestrogens in Japanese men and women consuming a traditional Japanese diet. Am J Clin Nutr 54: 1093-1099. 

  12. Maskarinec G, Singh S, Meng L, Franke AA. 1998. Dietary soy intake and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among women from a multiethnic population.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7: 613-619.1 

  13. Seow A, Shi CY, Franke AA, Hankin JH, Lee HP, Yu MC. 1998. Isoflavonoid levels in spot urine are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dietary soy intake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middle-aged and older Chinese in Singapore.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7: 135-140. 

  14. Fanti P, Sawaya BP, Custer LJ, Franke AA. 1999. Serum levels and metabolic clearance of the isoflavones genistein and daidzein in hemodialysis patients. J Am Soc Nephrol 10: 864-871. 

  15. de Kleijn MJ, van der Schouw YT, Wilson PW, Adlercreutz H, Mazur W, Grobbee DE, Jacques PF. 2001. Intake of dietary phytoestrogens is low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United States: the Framingham study (1-4). J Nutr 131: 1826-1832. 

  16. Liggins J, Grimwood R, Bingham SA. 2000. Extraction and quantification of lignan phytoestrogens in food and human sample. Anal Bio 287: 102-109. 

  17. Franke AA, Hankin JH, Yu MC, Maskarinec G, Low SH, Custer LJ. 1999. Isofavones levels in soy foods consumed by multiethnic populations in Singapore and Hawaii. J Agric Food Chem 47: 977-986. 

  18. Franke AA, Custer LJ. 1994.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ssay of isoflavonoids and coumestrol from human urine. J Chromatogr B 662: 47-60. 

  19. Cassidy A, Bingham S. 1995. Biological effects of isoflavones in young women: importanc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abean products. British J Nutr 74: 587-601. 

  20. Watanabe S, Yamaguchi M, Sobue T, Takahashi T, Miura T, Arai Y, Mazur W, Wahala K, Adlercreutz H. 1998. Pharmacokinetics of soybean isoflavones in plasma, urine and feces of men after ingestion of 60 g baked soybean powder (kinako). J Nutr 128: 1710-1715. 

  21. Xu X, Wang HJ, Murphy PA, Cook L, Hendrich S. 1994. Daidzein is a more bioavailable soymilk isoflavone than is genistein in adult women. J Nutr 124: 825-832. 

  22. Xu X, Harris KS, Wang HJ, Murphy PA, Hendrich S. 1995. Bioavailability of soybean isoflavones upon gut microflora women. J Nutr 125: 2307-2315. 

  23. Uesugi T, Fukui Y, Yamori Y. 2002. Beneficial effects of soybean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and serum lipids in postmenopausal Japanese women: a four-week study. J Am Coll Nutr 21: 97-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