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담댐의 영향분석을 위한 대청호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ling of Daechung Lake - Effect of Yongdam Dam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5 no.6, 2002년, pp.737 - 751  

서동일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은형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담댐 건설 후 방류 유량 및 방류 수질의 변화에 따라 계산된 금강상류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대청호 수질 변화를 예측하였다. 용담댐의 방류수량, 수질 그리고 대청호의 유량 시나리오는 이 은형 등(2002)이 금강의 모의를 위해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보았으며, 각 경우의 결과를 연구기간중의 실측수질과 실측유량을 사용했을 경우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용담호 방류량의 변화는 대청호 입구 수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청호댐 부근의 수질에는 영향이 상당 부분 완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BOD, TN 그리고 TP 성분들이 대청호 내부를 이동하면서 분해 또는 침강하여 제거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최대 갈수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용담댐의 방류량은 TP 농도 기준으로는 최소 8.9 ㎥/sec 이상을, TN 농도를 기준으로 볼 때는 8.9 $m^3$/sec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대청호의 수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정 수준의 용담댐 방류량은 8.9 $m^3$/sec 인 것으로 분석된다. 대청호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갈수년에 특히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시에 용담호의 수질에 따라 크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용담댐 방류수의 수질이 일정 수준이하를 유지하는 경우에 한해서 용담호의 방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청호의 수질에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보가 가능한 자료와 저자들의 경험에 의해 제작된 시나리오를 근거로 수질예측을 실시하였다. 향후 용담호 및 용담댐 방류수 그리고 금강 상류 및 대청호의 오염원 그리고 수문 및 수리학적 거동에 대한 자료가 보완될 경우 더욱 합리적인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quality in Daechung Lake was predicted for various discharge conditions of Yongdam dam. The same scenarios were applied as in the previous paper by the authors for Keum River water quality modeling. Effects in water quality due to changes in discharge conditions from Yongdam Dam were less dist...

주제어

참고문헌 (17)

  1. 류광현 (1997). 대청호의 성충특성 및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 박일홍 (2002). 대청호의 성충특성 및 유입지류에 의한 호내 수질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3. 서동일 외 (1998). 댐유역 오염물질 유입특성 및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4. 서동일 (1998). '대청호의 성충현상에 의한 부영양화 특성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9), pp. 1219-1234 

  5. 서동일, 최재훈, 이은형, 이혜근 (2001). 'EUTRO5를 이용한 시화호 수질모델 보정 및 검증.' 대한환경공학회지, Vol. 23, No. 1, pp. 131-139 

  6. 서동일 (2001a). 용담다목적댐 건설사업 상수원보호 구역지정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7. 서동일 (2001b). 동화댐 상수보호 구역 설정을 위한 수질 예측, 도화기술공사 

  8. 이은형, 서동일 (2002). '용담호 방류조건 변화가 대청호 유입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 학회 논문집, Vol. 35, No. 5, pp. 525-539 

  9. 조홍연, 이길성, 한광석 (1993). 'WASP4 모형에 의한 팔당호 수질모델링.'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집, pp. 519-526 

  10. 한국수자원공사 (1990). 대청댐 저수지 모델 생태계를 이용한 부영양화 방지 수법 연구 

  11. 한국수자원공사 (1991). 다목적댐 수질예측에 따른 오염저감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 

  12. 한국수자원공사 (1992 -2001). 다목적댐수질조사보고서 

  13. 한국수자원공사 (1993). 댐저수지 수질회복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 

  14. 한국수자원공사 (2000a). 댐저수지 탁류 및 오염물질 이송.확산 모의기술 개발 

  15. 한국수자원공사 (2000b). 용담다목적댐 건설사업의 수질 보전 대책수립 보고서 

  16. Ambrose, R. B., Wool, T. A. and Martin, J. L. (1993). The 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WASP5 Guidance Manual, USEPA 

  17. Bowie, G. L. et al. (1985). Rates, constant and kinetics formulations in surface water quality modeling(2nd). USEPA, EPA/600/3-85/0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