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벤토나이트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지배하는 요인분석
Factors Controlling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ntonite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15 no.4 = no.34, 2002년, pp.259 - 272  

고상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부) ,  손병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부) ,  송민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부) ,  박성환 (한국수드케미 주식회사) ,  이석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중앙분석기기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제 3기층 퇴적분지 내에 분포하고, 유사한 지질환경에서 형성된 일본의 2개 광상 (Tsukinuno 및 Tomioka)과 국내 5개 광상(두산, 나아, 옥산, 동양 및 연일16호)에서 산출하는 7개 벤토나이트를 대상으로 광물학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주 지배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 시료들 중 츄키누노(Tsukinuno) 광석은 천연산 Na-형 벤토나이트이며 나머지는 모두 Ca-형 벤토나이트이다.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이지만 모든 물성이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점토광물류의 경우는 입도 분포가 물성을 지배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입도 분포와 같은 물리적 요인을 동일시한다면 광물학적 요인이 우세하게 영향을 미친다. 벤토나이트의 주성분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비와 층 전하에 따라 몇 가지 물성은 지배된다. 특히 층 전하값은 몬모릴로나이트의 양이온 교환능과 메틸렌블루 흡착량을 크게 지배한다. 부성분광물로 산출하는 불석과 황철석의 함량비가 물성을 크게 지배하며, 불석이 우세하게 산출하는 광석은 강한 알카리성을 띠며 양이온 교환능을 상승시키나 팽윤도, 점도, 강도 등의 다른 물성을 저하시킨다. 황철석이 함유된 시료 는 생형 압축 강도와 습태 인장 강도 값을 극히 저하시킨다. 층간 교환성 양이온 종에 따라 물성이 크게 달라지며, Na-형 벤토나이트는 Ca-형 벤토나이트보다 극히 향상된 팽윤도 및 점도를 보이며 보다 강한 알카리성을 띤다. 또한 몬모릴로나이트 결정크기와 형태가 물성을 지배하는 요인이 되며, 결정도가 우수하여 결정크기가 크고 얇은 엽편으로 구성된 광석에서 비 표면적, 양이온 교환능, 점도, 팽윤도, 메틸렌블루 흡착량, 생형 압축 강도 및 습태 인장 강도를 향상시킨다. 국내산 두산 벤토나이트가 가장 우수한 물성을 보이는 주 요인은 높은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와 우수한 결정도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ried to interpret the important major factors controlling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comparing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 cation exchange capacity, Methylene Blue adsorption amount, swelling, viscosity, strength (compressional and tensile), ...

주제어

참고문헌 (20)

  1. 노진환(2002) 국내산 벤토나이트의 광물학적 및 임석화학적 특성과 그 성인적 의미. 지질학회지, 38, 441-455. 

  2. 노진환 (2000) 벤토나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품위및 품질 평가. 제 1회 산업광물 심포지움 논문요약집, ‘벤토나이트와 그 응용’중에서, 16-29. 

  3. 노진환, 오성진 (1994) 양남지역 제 3기층에 부존하는 벤토나이트의 지구화학 및 광물 생성관계. 한국광물학회지, 7, 111-127. 

  4. 문희수(1986) 삼기층에 배태된 벤토나이트의 수소 및 산소동위원소 연구. 광산지질, 19, 131-138. 

  5. 문희수, 안재영, 최선경, 김문영, 디. 제이. 모건 (1989) 감포지역 몬모릴로나이트의 광물학적 및 열적특성 : 죽전 및 용동리지역 광상 비교연구. 광산지질, 22, 207-219. 

  6. 문희수, 유장한, 김종환 (1986) 삼기층 분포지역의 벤토나이트 및 불석광물에 대한 광물. 광상학적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6-8, 73p. 

  7. 문희수, 유장한, 김종환, 조한익(1987)국내산 벤토나이트의 몇가지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광산지질, 20, 159-168. 

  8. 문희수, 최선경 (1988) 감포지역 Ca-몬모릴로나이트의 광물학적 및 열적특성 : 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적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1, 117-130. 

  9. 박성완, 이상현(2000) 국내 벤토나이트의 각 제품별생산공정. 제 1회 산업광물 심포지움 논문요약집, '벤토나이트와 그 응용' 중에서, 30-39. 

  10. 황진연, 박성완, 황한석(1997) 국내 토목용 벤토나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 지질공학회지, 7, 127-137. 

  11. Baver, L.D. and Winterkorn, H.F. (1935) Sorption of liquids by soil colloids (II). Soil Sci., 40, 403-419. 

  12. Carter, D.L., Heilman, M. D. and Gonzalez, S.L.(1965) Ethylene glycol monoethy1 ether for determing surface area of silicate minerals. Soil Sci., 100. 356-360. 

  13. Hosterman, J.W. and Patterson, S.A. (1992) Bentonite and Fuller's earth resources or the United States. U. S. Geo1. Surv. Prof'. Pap., 1522, 45p. 

  14. Kim, S..J., Noh, .J.H., and Yu .J.Y. (1985) Mineralogy and genesis of bentonites from the Tertiary Formations in Geumwangdong area,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ogy, 18, 399-409. 

  15. Ko, .J., Icc, G. H., Moon, H.s., and Song, Y. (1998) Alkylammonium characterization or smectite alteration in the Tertiary basins or southeast Korea. Clay Minerals. 33. 243-254. 

  16. Koh, S.M., .Je, E.L Park, S.W., and Son, B.K. (2001) Factors controll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r Korean bentonite orcs. The 45th Clay Science meeting proceeding's paper. 38-39. 

  17. Me Bride, M.B. (1989) Surface chemistry or soil minerals. In: Dixon, .J.B. and Weed, S.B. (eds.), Minerals in soil environments, Soil Sci. Soc. Am.. Book Series 1, Madison, Wisconsin, USA, 35-88. 

  18. Moon, H.s. (1985) Thermal behaviour or some montmorillonites with relate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lour. Korean Inst. Mining Geology, 18,253-261. 

  19. Moon, H.S., Choi, S.K., and Kim, M.Y. (1988)Therm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Ca-montmorillonite from Gampo a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ogy, 21, 175-184. 

  20. Noh, .1.H., Kim, S..J., and Choy .J.H. (1983)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entonites from Tertiary tuffaceous sediments in the Donghae bentonite min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r Korea. 19, 39-4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