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원위치 토양세정 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In-situ Soil Flushing Using Surfactant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7 no.4, 2002년, pp.87 - 91  

최상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소정현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장환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류로 오염된 부지에 토양세정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컬럼실험을 통하여 pilot규모 현장 적용을 위한 설계인자 및 최적 운전조건을 규명하고자 적정 세척제 종류와 농도, 배합비 및 세정용액 주입유량을 고찰하였다. 회분식실험 결과 $POE_{14}$SDS(1:1)를 1%로 적용한 혼합계면활성제의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예비실험 결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SDS는 생분해능 저해 경향이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같은 농도에서 효율이 거의 유사하며, 생분해능이 우수한 $POE_{5}$$POE_{14}$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선정된 혼합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디젤 오염토양 세척능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세척제 농도 l%까지는 효율이 증가하다가 1% 이상의 농도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면활성제 배합비를 1:1로 혼합하였을 경우 세척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POE_{5}$$POE_{14}$(1:1) l% 혼합계면활성제를 세척제로 선정하였다. 컬럼실험 결과, 주입 flux가 클수록 세정 제거된 총 유류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같은 pore velum히 세정용액 통과 시에는 flux가 작을수록 제거효율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b scale batch and column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reatability of petroleum contaminated soil using the in-situ soil flushing method. The pyrex column (4.5$\times$25 cm) was used to investigate optimal washing agent, surfactant concentration, mixing ratio, and inlet vel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부지에 토양세정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회분식실험 및 컬럼실험 을 통하여 pilot 규모 현장 적용을 위한 설계인자 및 최적 운전조건을 규명하고자 적정 세척제 종류와 농도, 배합비 및 세정용액 주입유량게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환경부,토양환경보전 정책방향(2000) 

  2. Allison, A. M., Chin, Yu-ping, Macfarlane, J. K., and GSCh-wend, P. M., 'Laboratory Assessment of BTEX Soil FIUSh-ing', Environ. Sci. Technol., 30, 3223-3231 (1991) 

  3. Yeom, I. T. and Ghosh, M. M., 'Surfactants in Mobilizing Soil-Bou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Using Non-ionic Surfactants', Proceedings CSCE-ASCE National Con ference on Environmental Engineering(NCEE), Montreal, Canada, 1342-1352 (1993) 

  4. Abdul, A. S. and Gibson, T. L., 'Laboratory Studies of Surfactant-Enhanced Washing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from Sandy Materials', Environ. Sci. Technol., 25, 665-671 (1991) 

  5. Robert, C. K., David, A. S., and Harwell, H. J., 'Traverse City field test', Presented at Workshop on In Situ Surfactant Use, Kansas City, MO, sponsored by the K. S. Kerr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Ada OK, held September 20 (1995) 

  6.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pp. 118-121, 2002 

  7. USEPA, Test Method for evaluating solid waste: Physical/chemical methods, integreated mamual, 1986 

  8. EPA Method 8015B, Nonhalogenated Organics Using GC/FID, EPA 

  9. EPA Method 3550B, Ultrasonic Extraction, EPA 

  10. 장민, 공준, 정경영 ,이재영 , 최상일, '소수성 유기오염 물질로오염된 토양에 대한 혼합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 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한국토양환경학회 1997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74-78 (1997) 

  11. Raney, K. H., 'Optimization of Noniomc/ Anionic Surfac-tant Blends for Enhanced Oily Soil Removal', J. Am. Oil. Chem. Soc., 68, 525 

  12. 김형수, 최상일, 전민하, 'In-Situ Flushing을 이용한 농약오염토양정화에 관한 연구',2001년도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 발표회 , 281-28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