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세포배발생을 통한 국내 주요 고구마 품종의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of Major Cultivar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in Korea via Somatic Embryogenesis 원문보기

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29 no.3, 2002년, pp.189 - 192  

권은정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세포공학연구실, 목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권석윤 (환경생명공학연구실) ,  김문자 (목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안영섭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  이준설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  정병춘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  곽상수 (환경생명공학연구실) ,  이행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세포공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종류 고구마 품종을 대상으로 정단분열조직 배양에 의한 배발생 캘러스 유도, 이들로부터 고빈도의 체세포배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자미. 율미, 신황미, 및 화이트 스타의 생장점LS 기본배지에 1 mg/L auxin (2,4-D, picloram, dicamb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2,4-D 첨가 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배발생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배양 4주째에 유도된 배발생 캘러스의 빈도는 신황미, 자미, 율미. 및 화이트 스타에서 86%, 78%, 76%, 및 80%를 각각 나타내었다. 2,4-D 첨가 배지에서 얻어진 배발생 캘러스를 2.4-D를 제거한 배지로 옮겨 주어 체세포배를 유도하였으며, 이 체세포배의 90% 이상이 완전한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단분열조직 배양으로부터의 체세포배 발생 방법이 광범위한 고구마 품종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자육종을 통한 신기능성 고구마 품종개발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of major cultivar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in Korea via somatic embryogenesis was established. Embryogenic calli were formed from shoot apical meristems of sweetpotato cultivars when cultured on LS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auxin (2,4-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체계가 구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고구마 품종인 '자미', '율미', 신황미 를 대상으로 정단 및 측아 분열조직 배양에 의한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체세포배발생을 통한 고빈도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I-Mazrooei S, Bhatti MH. Henshaw GG, Taylor NJ, Blakesley D (1997) Optimiz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fourteen cultivar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Plant Cell Rep 16:710-714 

  2. Cantliffe DJ, Uu JR, Schultheis JR (1987) Development of artificial seeds of sweetpotato for clonal propag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In : Smith WH Smith, Frand JR, (eds), Methane from Biomass: A Systems Approach, Elsevier Applied Sci, New York, PP 183-195 

  3. Cavalcante Alves JM, Sihachaker D, Allot M, Tizroute S, Mussio I, Servaes A, Ducreux G (1994) Isoenzyme modifications and plant regener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in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Plant Cell Rep 13:437-441 

  4. Chee RP, CantIiffe DJ (1988a) Somatic embryony patterns and plant regeneration in Ipomoea batatas Poir. In Vitro Cell Dev Biol 24:955-958 

  5. Chee. RP, Cantliffe. DJ (1988b) Selective enhancement of Ipomoea batatas Poir embryogenic and non-embryogenic callus growth and production of embryos in liquid culture.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15: 149-159 

  6. Chee RP and Cantliffe DJ (1989) Composition of embryogenic suspension cultures of Ipomoea batatas Poir and production of individualized embryos.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17:39-52 

  7. Desamero NV, Rhodes BB, Decoteau DR, Bridges WC (1994) Picolinic acid-induced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in sweetpotato.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37: 103-111 

  8. Jarret RL, Salazar S, Fernadez AR (1984) Somatic embryogenesis in sweetpotato. HortScience 19:397-398 

  9. Linsmaier EM, Skoog F (1965) Organic growth factor requirement of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 Plant 18:100-127 

  10. Liu JR, CantIiffe DJ (1984)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tissue culture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Poir). Plant Cell Rep 3: 112-115 

  11. Liu JR, CantIiffe DJ (1985) Tissue culture propagation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to energy crops. Proceeding of 1984 International Gas Research Conference pp 622-629 

  12. Liu JR, Cantliffe DJ, Simonds SC, Ruan JF (1989)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from cultured shoot apical meristem dome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SABRAO J 21:93-101 

  13. Min SR, Liu JR, Rho TH, Kim CH, Ju JI (1994)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tissue culture of Korean cultivar sweetpotato. Korean J Plant Tissue Cult 21:157160 

  14.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473-497 

  15. Newell CA, Lowe JM, Merrywether A, Rooke LM, Hamiltone WDO (1995) Transformation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regeneration of plants expressing cowpea trypsin inhibitor and snowdrop lectin. Plant Sci 107:215-227 

  16. Otani M, Shimada T (1996) Efficient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in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Plant Biotechnol 15:11-16 

  17. Prakash CS, Varadarajan U (1992) Genetic transformation of sweetpotato by particle bombardment. Plant Cell Rep 11:53-57 

  18. Tang F, Li K, Lan L, Zhang Q (1993)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sweetpotato. Acta Agro Sinica 19:372-375 

  19. Tsay HS, Tseng MT (1979) Embryoid form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from anther callus of sweetpotato. Bot Bull Acad Sinica 20:117-122 

  20. Zheng Q, Dessai AP, Prakash CS (1996) Rapid and repetitive plant regeneration in sweetpotato via somatic embryogenesis. Plant Cell Rep 15:381-3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