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음벽 상단부 형상에 따른 삽입손실 연구
A Study on the Insertion Loss of Noise Barrier with the Variation of Top Shape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21 no.7, 2002년, pp.624 - 631  

정성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음향진동그룹) ,  김용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음향진동그룹) ,  이우섭 (아산정보기능대학 멀티미디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음벽의 상단부 형상에 따른 삽입손실무향실에서 모형축척 방법으로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높이 0.3m의 수직형 방음벽에 대한 삽입손실과 간단한 형상물을 상단부에 설치한 방음벽의 삽입손실과의 차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단순히 높이를 증가시키는 경우보다 상단부에 간단한 형상을 설치한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T'형, 'Y'형 및 '(equation omitted)'형 방음벽에 대한 삽입손실을 비교한 결과 'T'형과 '(equation omitted)'형 방음벽은 비슷하였으며 'Y'형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Alfredson(PIOC. Inter-Noise 95, p. 381, 1995)등의 결과와는 잘 일치하지만 May (J. Sound Vib. 71, p. 73, 1980) 등의 결과와는 상충된다. 따라서 어떤 형태가 가장 좋은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왜 이러한 상호 모순되는 결과를 얻게 되는가를 알기 위해 경계요소법을 적용한 결과 각 연구자들마다 다른 방음벽의 높이, 음원과 수음점의 위치, 높이와 거리를 서로 다른 실험조건을 가정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sertion loss of the noise barriers with several top shape is measured in an anechoic room by using a reduced scale model test. The insertion loss differences between a straight vertical barrier having 0.3 m height and several barriers with simple top shaped are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직 일자형인 기본형 방음벽의 삽입손실과 상단부에 몇 가지 간단한 형상물을 설치한 방음벽의 삽입손실과의 차로서 방음벽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같은 폭의 부가적인 패널을 사용할 경우 단순히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간단한 형상을 만드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같은 폭의 패널을 사용할 경우 비용대 효과의 문제와 현재 국내 • 외에 설치된 형상물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방음벽의 높이를 모두 같게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므로 결과에 대한 신뢰성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같은 폭의 패널을 사용할 경우 비용대 효과의 문제와 현재 국내 • 외에 설치된 형상물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방음벽의 높이를 모두 같게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므로 결과에 대한 신뢰성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
  • 앞에서 간단한 상단부 형상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는데 과연 이들이 기준형 방음벽의 높이를 어느 정도증가시키는 효과에 해당되는지 비교해 보았다. 그림 7은 수직 일자형 방음벽의 높이를 0.
  • 앞에서 간단한 상단부 형상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는데 과연 이들이 기준형 방음벽의 높이를 어느 정도증가시키는 효과에 해당되는지 비교해 보았다. 그림 7은 수직 일자형 방음벽의 높이를 0.
  • )에 비교하였다. 이 실험의 목적은 같은 폭의 패널을 설치함에 있어 어떤 형상을 취할 때 비용 대 효과가 가장 좋은지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결과를 보면 (a)형인 경우 (。)가 가장 효과가 낮으며 이것은곧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적절하게 형상을 변형하는 것이 더 효과적 임을 뜻한다.
  • 이들 방음벽은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진 형태로서 (d)의 경우는 유럽에 설치된 형상이고, (e)는 우리의 도로에도 많이 설치된 형상이며, (f)는 일본에서 시험적으로 설치한 형태로 이것을 변형한 버섯 모양도 있다. 이 실험의 목적은 비록 전체 높이를 같게 설정하지는못했지만 이들 대표적 형상물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대략 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결과를 보면 (f)형이 (d)형에 비해 평균 0.
  • 이들 방음벽은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진 형태로서 (d)의 경우는 유럽에 설치된 형상이고, (e)는 우리의 도로에도 많이 설치된 형상이며, (f)는 일본에서 시험적으로 설치한 형태로 이것을 변형한 버섯 모양도 있다. 이 실험의 목적은 비록 전체 높이를 같게 설정하지는못했지만 이들 대표적 형상물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대략 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결과를 보면 (f)형이 (d)형에 비해 평균 0.
  • 지금까지 상단부에 간단한 기하학적 모형을 가지는 몇가지 방음벽에 대해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본 연구와 기존의 연구자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도 있지만 상충되는 경우도 있다.
  • 지금까지 상단부에 간단한 기하학적 모형을 가지는 몇가지 방음벽에 대해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본 연구와 기존의 연구자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도 있지만 상충되는 경우도 있다.

가설 설정

  • 0 1須되도록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음향학적으로 큰 임피던스를 갖는 단단한 지표면이 되도록 하였다. 그림 1에서처럼 도로는 왕복 4차선으로 가정하고, 음원은 방음벽 쪽도로 1차선 중앙에 두었다.
  • 음의 측정은 1/2-인치 마이크로폰 (B&K4187)을 사용하여 A-보정 음압레벨을측정하였다. 음원은혼형 확성기 (SU-100EF, Sammi) 줄구에 두께 0.005 m, 내경 0.025 m, 길이 0.3 이인 원통형 플라스틱 관을 부착하여 구면파로 가정하였다. 이 경우 음원이 지향성 예를 들어, 쌍극자: dip。◎을 가지게되 면 방음벽의 총 높이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