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세대 고학력여성의 노동시장참여
Labor Market Participation among Young College-Educated Women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5 no.2, 2002년, pp.139 - 161  

이미정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1980년대말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으로 성차별적 고용관행에 대한 제도적 제재가 선언된다. 1980년대 후반까지 결혼퇴직제가 보편화되었었고 이러한 관행은 여성의 경력 단축과, 임금이나 업무배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1980년대 후반부터 가속화된 여성 고용에 대한 사회제도적 변화가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본 연구에서는 살피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젊은세대에서 교육효과는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결혼이나 가족이라는 여건이 이들 세대에서는 취업과 관련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려고 하였다. 이것을 위해 여성개발원의 2001년 취업실태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노동시장참여와 관련하여 젊은세대에서 어떤 변화가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는 것은 교육효과의 변화이다. 이전 세대의 부정적 교육효과는 사라지거나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론 아직도 교육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전반적으로 가족 여건이라는 것이 여성이 일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있다. 기혼여성의 경우 미혼여성과는 달리 여성 자신의 일에 대한 태도가 노동시장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놀라운 것은 가족이라는 맥락에서는 일에 대한 여성자신의 의견은 중요하지 않지만, 남편의 의견은 중요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 아직도 젊은세대에서도 여성의 의견이 남편의 의견에 종속되고 있다는 것을 것을 알 수 있다. 34세 이하 젊은 세대 여성을 고려할 때, 가족이라는 맥락에서는 교육효과도 크게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펄은 세대에서도 대졸이상의 학력이라는 것이 결혼하지 않았을 때는 여성의 일과 관련하여 의미 있게 작용하지만, 가족이라는 맥락에 처하면, 별 의미가 얼다. 물론, 젊은 세대에서 교육과 관련된 긍정적인 변화가 엿보이기는 하지만, 과거 세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결혼이나 가족의 여건은 여성취업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고학력 여성의 경우 이것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1987,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Law was enacted, which indicated the institutional regulation against gender-discriminatory labor practices. Until the late 1980s, women were forced to quit upon marriage. It had influenced negatively on women status in the labor market. In this paper, 1 try...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강이수 . 신경아. 2001. "여성과일. 한국여성노동의 이해" . 동녘 

  2. 김수곤 . 심경옥. 1984. "한국여성의 경제활동참여요인 분석". 정책보고 84-05. 한국개발연구원 

  3. 김엘림. 1994. '신정부 여성노동정책의 동향과 과제.' "여성과사회" 한국여성연구회 

  4. 김엘림. 1995. '현행 여성관계법령의 구조와 정비방향.' "여성연구" 가을호. 제48호 

  5. 김영화. 1999. '한국노동시장의 구조적 분절과 남녀 임금 불평등.' "여성연구" 6(2): 108-151 

  6. 어수봉. 1991. "한국의 여성노동시장". 한국노동연구원 

  7. 이미정. 1996. '한국노동시장에서 여성교육의 저활용.' "한국인구학" 19(2): 107-137 

  8. 이미정. 1997. '인적자본으로서 여성교육의 의미, "한국인구학" 20(2): 135-160 

  9. 이미정. 2002.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Working Paper #32 

  10. 이미정 . 정진성. '여성의 교육수준향상과 노동시장참여; 1980-1990년대를 중심으로.' > 21(4): 75-114 

  11. 이주호. 1995. '여성인력의 수급과 개발.' "여성인력 양성과 노동시장간의 연계강화". 한국여성개발원 주최 학술회의 발표논문 

  12. 장지연. 2001. '고학력 여성 경제활동의 국제비교.' "여성과 직업" . 부산대학교여성 연구소 

  13. 정진화. 1996. "고학력화와 인력정책의 방향" . 산업연구원 

  14. 조정아. 2000. '대졸여성의 노동경험과 직업의식 변화.' "노동과 페미니즘" 조순경 엮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5. 한국여성 개발원. 2001. 여성통계 연보 

  16. Bai, Moo Ki and Woo Hyun Cho. 1995. Women's Wages and Employment in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7. Goldin, Claudia. 1989. Understanding the Gender Gap: an Economic History of American Women. Oxford University Press 

  18. Kessler-Harris, Alice. 1981. Out to Work: A History of Wage-Earning Women in the US. Oxford University Press 

  19. Lee, Mijeong. 1998. Women's Education, Work, and Marriage in Korea: Women's Lives under Institutional Conflic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 Menard, Scott. 2002. Appli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age University Paper 

  21. Park, Young Jin. 1990.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Korea: Trends in Levels, Patterns, and Differentials during 1960-1980.'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