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산성우 처리에 대한 삼림토양의 완충능
Buffer Capacities of Forest Soils by 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4 no.1, 2002년, pp.49 - 57  

진현오 (경희대학교 임학과) ,  이계성 (경희대학교 임학과) ,  정동준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소재 경희대 연습림의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인공산성우의 회수별 유입에 따른 산림토양의 완충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pH 3.0, pH 4.0, pH 5.0 인공산성우를 하루에 1시간 간격으로 10회 유입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임지(활엽수,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의 토심별(0~15 cn, 15~30 cm) pH를 측정한 결과 모든 임지에서 토심이 깊을수록 토양 pH가 높았다. 또한 각 임지별 염기포화도를 살펴보면 리기다소나무 임지에서 17.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E.C는 활엽수임지의 경우 29.87 me/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인공산성우 회수별 유입 토양용탈수의 pH 변화를 보면 pH 3.0 처리에서 인공산성우 유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높아지다가 다시 낮아지는 변곡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pH 4.0과 pH 5.0에서는 토양 용탈수의 pH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인공산성우의 pH 수준과 임지에 따라 초기 용탈량은 차이가 있으나 모든 처리에서 인공산성우의 유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염기성 이온의 용탈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pH 5.0 처리에 비하여 pH 3.0과 pH 4.0의 인공산성우 처리에서 총 염기성 양이온의 초기 용탈량이 더 컸으며 이러한 경향은 토양 산성도가 낮고 토양의 염기성 양이온이 높은 임지일수록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활성 Al의 초기 용탈은 토양 산성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인공산성우의 유입산도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토심별로 확인해 본 결과 A층과 AB층간의 Al 용탈량도 소폭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공산성우 pH 3.0 처리에서는 모든 임지에서 Al 활성 변화가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pH 4.0과 pH 5.0에서의 용탈수와는 반대되는 경향이었으며, 총 염기성 양이온과도 반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buffer capacities of forest soils by 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SAR) of four forests(Q. spp., P. rigida, P. koraiensis, L. leptolepis) in Kyunghee university's practice forest. All soils of each forest stand were treated by simulated acid rain at the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토양의 산성화는 수목에서의 양료 용탈 특성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삼림토양의 토심별로 그 기능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조림수종인 참나무류,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임지의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산도별로 조제한 인공산성우를 살포하여 각 토양의 토심에 따른 pH의 경시적인 변화 및 각 임지에서의 변화 특성과 삼림토양의 완충능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주요 조림 수종의 육림 활성화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소재 경희대 연습림의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인공산성우의 회수별 유입에 따른 산림토양의 완충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pH 3.0, pH 4.0, pH 5.0의 인공산성우를 하루에 1시간 간격으로 10회 유입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임지(활엽수.

가설 설정

  • 0으로 조제하였으며 , 이상과 같이 조제된 인공산성우는 토양의 산성화 처리에 이용되었다. 조사지역의 인공산성우 총 강하량은 조사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이 1, 260 mm 인 것을 가정하여 아래 식을 이용한 단위 면적당 유입량으로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태훈, 정진현, 구교상, 김규현, 차순형, 김준섭, 이충화, 구창덕. 1998: 산림토양 분류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37, 19-34. 

  2. 민일식, 김명희, 송석환. 1999: 모암별 토양의 인공 산성우 처리에 대한 완충능. 중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8권. 

  3. 박재현. 1995: 산림유역에 있어서 계류수질 평가기준 정립에 관한 고찰(1). 자연보존 92, 23-38. 

  4. 이수욱, 민일식. 1989: 대기오염 및 산성우가 산림생태계의 토양 산도 및 양료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학회지 78, 11-25. 

  5. 이수욱, 장관순. 1987: 한국내 산성우의 장거리 오염원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5, 1-14. 

  6. 이충화. 1998: 토양산성화가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7(4), 611-619. 

  7. 주영특, 김영채, 1994: 인공산성우가 산림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3(3), 280-285. 

  8. 진현오, 이명종, 신영오, 김정제, 전상근. 1994: 삼림토양학. 향문사. 54-63. 

  9. 진현오, 정덕영, 이충화. 1999: 잣나무 임분에 있어서 강우 수질의 이동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 110-118. 

  10. 한심희, 이경준. 1997: 산성우에 의한 토양 산성화에 대한 4개 수종의 완충능력과 수관으로부터 양료 용탈 변이. 한국임학회지. 86(3), 342-351. 

  11. 大羽 裕.1990: 大氣汚染と 酸性雨に よる 土壤汚染の酸中和能の評價. 人間環境系硏究報告集. 文部省. 113-131. 

  12. 佐藤一男, 池田英史, 安池愼治. 1994: 土壤の酸中和能 電中硏レビユ_ '酸性雨の影響評價'. Denchuken Review 3, 62-65. 

  13. Abrahamsen, G., A.O. Stuanes and B. Tveite. 1994: Long term experiments with acid rain in norwigian forest ecosystems. Springer-Verlag. 342pp. 

  14. Clayton, J.L., D.A. Kennedy and T, Nagel. 1991: Soil response to acid deposition, Wind, River, Mountains, Wyoming: II. Column leaching studies. Soil Sci. Soc. Am. J. 55, 1433-1439. 

  15. Foy, C.D. 1974: Effects of aluminum on plant growth. In E.W. Carson.(eds.) The plant root and its environment.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Charlottesville. 601-642. 

  16. Freedman, B. 1986: Environmental ecology. Dalhouse University Press. Halifax. 81-123. 

  17. Huettl, R.F. 1988: 'New type' forest declines and restabilization/revitalization strategie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41, 95-111. 

  18. Hutchinson, T.C. 1986: Effects of acid leaching on cation loss from soil. Page 483-497 in Hutchinson, T.C. and M. Havas (eds.), Effects of Acid Precipitation on Terrestrial Ecosystems. Plenum Press. 

  19. Miller, D.M., M.E. Sumner and W.P. Miller. 1989: A comparison of batch- and flow-generated anion adsorption isotherms. Soil Sci. Soc. Am. J. 53, 373-380. 

  20. Pylypec, B. and R.E. Redmann 1984: Acidbuffering capacity of foliage from boreal forest species. Can. J. Bot. 62, 2650-2653. 

  21. Reuss, J.O. 1983: Implications of the calcium-aluminum exchange system for the effect of acid precipitation on soils. J. Environ. Qual. 12(4), 591-595. 

  22. Seiler, J. and E. Matzner. 1995: Spatial variability of throughfall chemistry and selected soil properties as influenced by stem distance in a mature Norway spruce (Picea abies, Karst.) stand. Plant and Soil 176, 139-147. 

  23. Tsugio Ezaki. 1996: Change in pH values on the runoff water of the rainfall by forest. Northeast AsianForests in 21st Century in '96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rest Science, The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October 24, 37-46. 

  24. Ulrich, B. 1989: Forest decline in ecosystem perspective. In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gress on forest decline research. 21-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