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 주변에서 춘계와 추계의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과 개체수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nity in Spring and Autumn around Dokdo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24 no.4, 2002년, pp.407 - 417  

강정훈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자원연구본부) ,  김웅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자원연구본부) ,  심재형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were investigated around Dokdo in the East/Japan Sea in autumn 1999 and spring 2000. Vertical and horizontal hauls of a bongo net ($300{\mu}m$ mesh size, 60cm diameter) were made to collect zooplankton sample.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강대석. 1989. 울릉도 부근 해역에서의 동물 플랑크톤의 종조성 및 양적분포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0 p. 

  2. 강용주, 강형구. 1992. 초여름 독도 근해에서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기초생산력, 섬연구회논문집. 1, 36-45. 

  3. 박주석. 1973. 한국근해 동물성 부유생물의 주요군의 양적분포. 한국해양학회지. 8, 33-45. 

  4. 박 철, 이창래, 김정창. 1998. 동해 전선역 동물프랑크톤 군집: 2. 수온과 분포의 관계.한국수산학회지. 31, 749-759. 

  5. 박 철, 최중기. 1997. 동해 전선역 동물플랑크톤 군집 : 1. 종목록, 우점종 분포, 종간 유연관계. 한국수산학회지. 30, 225-238. 

  6. 이창래, 박 철. 2002. 동해연안용승과 동물플랑크톤 분포. p. 111. In: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2002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wangju, Korea, May 9-11.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정윤호. 1981. 울릉도 및 독도의 식물성 플랑크톤,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제 19호, 221-228. 

  8. 해양수산부. 1999. 독도해양환경.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독도해양.수산연구회 544 p. 

  9. 해양수산부. 2000. 독도생태계 등 기초조사 연구. BSPM 99045-00-1282-6.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1033 p. 

  10. 한국해양연구소. 2000. 동해기후변동 예측과 진화연구. BSPE 00783-00-1306-1. 해양연구원 보고서. 435 p. 

  11. 한국해양연구원. 2002. 동해기후변동 예측연구. BSPE 817-00-1396-1. 한국해양연구원 보고서. 330 p. 

  12. Barange, M., E.A. Pakhomov, R. Perissinotto, P.W. Froneman, H.M. Verheye, J. Taunton-Clark, and M.I. Lucas. 1998. Pelagic community structure of the Subtropical convergence region south of Africa and in the mid-Atlantic Ocean. Deep-Sea Res., 45, 1663-1687. 

  13. Choi J.K. 1991. The influence of the tidal front on primary productivity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mid-eastern coast of the Yellow Sea. J. Oceanol. Soc. Kor., 26, 223-241. 

  14. Cowles, T.J., M.R. Roman, A.L. Gauzens, and N.J. Copley. 1987. Short-term changes in the biology of a warm-core ring: Zooplankton biomass and grazing. Limnol. Oceanogr., 32(3), 653-664. 

  15. Hernandez-Leon, S., C. Almeida, M. Gomez, S. Torres, I. Montero, and A. Portillo-Hahnefeld. 2001. Zooplankton biomass and indices of feeding and metabolism in island-generated eddies around Gran Canaria. J. Mar. Sys., 30, 51-66. 

  16. Kang, S.K., S. Kim, and S.W. Bae. 2000. Changes in ecosystem components induced by climate variability off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1960-1990. Prog. Oceanogr., 47, 205-222. 

  17. Le Borgne, R., Y. Dandonneau, Y, and L. Lemasson. 1985. The problem of the island mass effect on chlorophyll and zooplankton standing crops around Mare (Loyalty Islands) and New Caledonia. Bull. Mar. Sci., 37, 450-459. 

  18. Park, C., C.R. Lee, and S.Y. Hong. 1997. Patterns of vertical distribution and diel vertical migration of zooplankton in the East Sea of Korea (Sea of Japan). J. Oceanol. Soc. Kor., 32, 38-45. 

  19. Rissik, D., M.I.M. Suthers, and C.T. Taggart. 1997. Enhanced zooplankton abundance in the lee of an isolated reef in the south Coral Sea:the role of flow disturbance. J. Plankt. Res. 19, 1347-1368. 

  20. Perissinotto, R., J.R.E. Lutjeharms, and R.C. van Ballegooyen. 2000. Biological-physical interactions and pelagic productivity at the Prince Edward Islands, Southern Ocean. J. Mar. Syst., 24, 327-341. 

  21. Shim, J.H. 1982. Plankton distribution in the south eastern sea of Korean in September, 1981. p. 41-85. In: Oceanographic studies on the south eastern sea of Korea. by Shim et al. Res. Inst. for Basic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Shim, J.H. and S. Bak. 1983. A biological oceanographic study o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n East Sea. p. 101-167. In: Oceanographic study o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n East Sea, by Shim et al.. Res. Inst. for Basic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RIBS-ED-82-507. 

  23. Shim, J.H. and T.S. Lee. 1986. Studies of the plankton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III) : Zooplankton-standing stock,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J. Oceanol. Soc. Kor., 21(3), 145-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