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99m}Tc-HMPAO$ 뇌 SPECT에서 시각자극에 의한 국소 뇌 혈류변화의 정량적 검증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by Visual Stimulation in $^{99m}Tc-HMPAO$ Brain SPECT 원문보기

大韓核醫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v.36 no.3, 2002년, pp.166 - 176  

주라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서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곽철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최보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이형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정용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김성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정수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각 활성 자극에 의한 뇌 활성영역을 확인하고 국소 뇌 혈류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8F-fluoro-2-deoxy\;glucose\;(FDG)\;PET$$^{15}O-water\;PET$에서 시각 자극을 가하는 동안 시각피질에서의 기전이 확인되었으며 PET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99m}Tc-HMPAO$ Brain SPECT를 이용하여 시각자극을 주었을 때 대뇌 후두엽의 일차시각피질과 시각 연합 피질에서의 국소 뇌 혈류 변화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25세에서 33세의 나이 분포를 갖는 남자 3, 여자 3명(평균나이 26.7세)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99m}Tc-HMPAO$ Brain SPECT (925 MBq)를 시행하였고 8 Hz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4{\sim}5$분 동안 시각활성 자극을 주었을 때와 대조군으로 자극을 가하지 않은 비 활성상태에서의 경우로 나누어 스캔하고 해부학적 기준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MR 영상과 융합하였으며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혈류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대뇌의 전체 용적과 계수율을 계산하고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관심영역에 대한 복셀 당 평균 계수율을 측정하여 각 대상의 시각 활성자극을 가한 영상에서 정상 상태의 영상을 픽셀 당 픽셀로 감산하여 통계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뇌 지도를 구성하였으며 뇌 활성이 Brodmann 영역의 시각피질(Ba 17)과 시각연합피질(Ba 18,19)에서 활성화되어 있음을 Talairach 좌표를 통해 확인하였고 regional index를 계산하여 국소 뇌혈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결론: $^{99m}Tc-HMPAO$ Brain SPECT에서 8 Hz의 발광 다이오드로 시각 자극을 주었을 때 후두엽의 일차 시각피질과 시각 연합 피질에서 뇌 활성화를 확인하였고 통계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SPM99에서 뇌 지도를 작성하여 시각자극에 의한 활성영역을 Talairach 좌표와 Brodmann 분류에 의해 확인하여 T1 강조 MR 영상에 융합하였다. 후두엽의 일차시각피질에서 시각 활성자극에 의해 국소 뇌 혈류량이 $32.50{\pm}5.67%$ 증가하고 있음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activ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Visual activation was known to increas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the visual cortex in occipital lobe. We evaluated that change in the distribution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99mTc-HMPAO(Hexamethyl propylene amine oxime) (Amersham Inc. Arlington Heights, IL, USA)를 정맥 주사한 후 8 Hz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시각 활성자극을 주어 후두엽(occipital lobe)의 일차 시각피질(primary visual cortex)과 시각 연합 피질 영역의 활성영역을 분석하고 시각 자극상태와 안정상태에서의 국소 뇌 혈류량의 변화를 비교하여 시각자극 후의 뇌 혈류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시각자극에 대한 뇌 혈류 영상으로부터 통계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뇌 지도를 구성하여 활성상태를 Talairach 좌표와 Brodmann's 영역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oods SW, Hegeman IM, Zubal IG, Krystal JH, Hoffer PB. Visual stimulation increases $^{99m}Tc-HMPAO$ distribution in human visual cortex. J Nucl Med 1991;32:210-5. 

  2. Bruce C, Williamson DJ, Shukla SS, HoneymanJC, Nadeau SE. A technique to localize activationin the human brain with 99mTc-HMPAO SPECT:a validation study using visual stimulation. JNucl Med 1991;35:755-63. 

  3. Goffinet AM, DeVolder AG, Bo1 A. Brainglucose utilization under high sensory activation:hypoactivation of prefrontal cortex. Aviat SpaceEnvironment Medicine 1990; 61:338-42. 

  4. Fox PT, Raichle ME. Stimulus rate determinesregional brain blood flow in striate cortex. AnnNeurology 1985;17:303-5. 

  5. Fox PT, Raich1e ME. Stimulus rate dependence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human striatecortex, demonstrated by positron emissiontomography. J Neurophysiology 1984;51:1109-20. 

  6. Belliveau JW, Kennedy DN, McKinstry RC.Functional mapping of the human visual cortex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ience 1991;254:716-9. 

  7. Moon DH, Lee BW, Lee KH, Choi YH, Chung JK, Lee MC, et al. Normal control study of cerebral blood flow by 99"Tc_ HMPAO SPECT. Korean J Nucl Med 1989; 23:155-63. 

  8. Lee MC, Lee MR, Koh CS, Roh JK, MyungHJ, Lee SH,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regional cerebral blood flow using 99"Tc_ HMPAO SPECT in cerebrovascular disease.Korean J Nucl Med 1988;22:15-9. 

  9. Damasio H. A computed tomographic guide tothe identification of cerebral vascular territories.Arch Neurol. 1983;40:138-42. 

  10. Hidehiko 0, Manouchehr V. Effect of vascularradioactivity on regional values of cerebral bloodflow: evaluation of methods for H2150 PET todistinguish cerebral perfusion from bloodvolume. J Nucl Med 2001;42:1032-9. 

  11. Kushner MJ, Rosenquist A, Alavi DE. Cerebralmetabolism and patterned visual stimulation: a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tudy of the humanvisual cortex. Neurology 1988;38:89-95. 

  12. 유승식, 기능자기공명영상 실험, 의학문화사; 2001. p. 51-114. 

  13. Per ER. Brain activation. New York; WileyLiss; 1993. p. 141"94. 

  14. WilliamWO. functional brain Imaging. 1st ed. Mosby; 1997. p. 213-326. 

  15. Richard F, Karl F, Chris D, Raymond D.Human brain function. 1st ed. London: Academicpress; 1997. p. 163-81. 

  16. Saba GB. Fundamentals of nuclear pharmacy,3rd ed. New York: Springer- Verlag; 1992. p.109-42, 229-35. 

  17. 고창순 편, 핵의학: 제2편. 고려의학; 1997. p. 253-3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