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철회] 유화중합에 의한 Methyl methacrylate/styrene계 Core-shell 라텍스 입자 제조에 관한 연구
[Retraction] Preparation of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re-shell Latex by Emulsion Polymerization 원문보기

엘라스토머 = Elastomer, v.37 no.1, 2002년, pp.21 - 30  

강돈오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이내우 () ,  설수덕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이선룡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시제 ammonium persulfate(APS)와 유화제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SDBS)를 이용하여 methyl methacrylate(MMA), styrene(St), ethyl acrylate(EA)등의 단량체를 core(내부)와 shell(외부)의 폴리머성분이 다른 core-shell 폴리머를 합성하고 각 core-shell 폴리머에 대한 구조를 연구하였다. 한 입자의 내부와 외부의 고분자 조성이 다른 composite 라텍스는 고분자 블렌딩공중합의 물성과는 달리 한 입자 내에서도 상반된 두 가지 물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core-shell 라텍스를 제조할 때 반응중입자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입자의 응집과 중합율이 떨어지고, 라텍스의 응용시 기계적 안정성이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shell 중합시에 새로운 입자의 생성이 적고 중합중 안정성이 우수한 라텍스를 제조하기 위해 유화제농도, 개시제농도, 중합온도가 PMMA/PSt과 PSt/PMMA의 core-shell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중합 후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zer; PSA) 및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이용하여 실제 입자측정과 입자형태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T_g$)의 측정, 최저성막온도(minimum film formation temperature; MFFT), NaOH 첨가에 의한 가수 분해에 따르는 pH를 측정하여 core-shell의 새로운 특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e-shell 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styrene pair were prepared b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SDBS) as an emulsifier using ammonium persulfate(APS) as an initia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re-shell polymers were evaluated. C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Paxton6은 유화제 흡착을 이용하여 polystyrene 위 에 methyl methacrylate를 합성한 polystyrene/ poly­ methyl methaciylate latex composite particle의 표면을 연구하여 polystyrene core와 polymethyl metha­ crylate shell로 이루어진 core-shell 형태를 갖고 있음을 밝혔는데, styrene을 이용한 유화중합 연구에서는 모든 조성에서 polystyrene과 상용성이 있기 때문에 입자내의 단량체 농도 차이가 없어 중합 반응이 입자 전체에서 균일하게 일어남을 가정하였다. 그러나 Williams 등7-12은 대부분 polymer로 구성되어 있는 core가, 단량체가 대부분인 shell에 둘러싸여 입자내에 단량체 농도의 차이가 생기므로 입자의 표면 근처에서 중합반응이 진행된다는 core-shell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C. Llinag, F. Svec and J.M.J. Frechet, J. Polym Sci., Polym Chem Ed., 33, 2639(1995) 

  2. A.J. Backhouse, U.S. Patent 4, 403, 003(1983) 

  3. D.G. Cook, J. Polym. Sci., 46, 1387(1992) 

  4. D. G. Cook, A. Rudin and A. Plumtree, J. Appl. Polym Sci., 48, 75, (1993) 

  5. J. N. Goodier, J. Appl. Mech., 55, 39,(1993) 

  6. T.R. Paxton, J. Colloid Interface. Sci., 31(1), 19 (1969) 

  7. D.J. Williams et al., J. Polym. Sci. Polym. Chem. Ed., 8, 2617(1970) 

  8. D.J. Williams et al., J. Polym. Sci. Polym. Chem. Ed., 8, 2733 (1970) 

  9. P. Kusch and OJ. Williams, J. Polym. Sci. Polym. Chem. Ed., 11, 143(1973) 

  10. D.J. Williams et al., J. Polym. Sci. Polym. Chem. Ed.,11, 301 (1973) 

  11. D.J. Williams et al., J. Polym. Sci. Polym. Chem. Ed.,12, 2123 (1974) 

  12. D.J. Williams et al., Macromolecules, 7, 304 (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