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발과 증발 조건에 관한 활동에서 유.초.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학년별 경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indergard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 Types and Trend of Grade Related to Evaporation and Conditions of Evaporation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2, 2002년, pp.286 - 298  

조부경 (한국교원대유아교육과) ,  고영미 (전남영남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김효남 (한국교원대초등교육과) ,  백성혜 (한국교원대화학교육과) ,  박재원 (서울고산초등학교) ,  박진옥 (전북춘포초등학교) ,  임명혁 (대전동도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증발과 증발 조건에 관련된 활동으로부터 유치원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의 개념 유형과 학년별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의로 선정한 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동적 면접을 실시한 뒤,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증발에 대한 학생의 개념 유형은 5가지로 구분되었다. 또한 증발의 조건에 대한 학생의 개념 유형도 5가지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하지만 과학자의 개념과는 다른 개념이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8 grade students' conception types and trend of grade related to evaporation and conditions of evaporation activities. Twenty-five students were random sampled and they were interviewed in-depth during designed activities related to evaporation and conditions of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태 변화 개념, 입자 개념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존 개념. 상태변화 개념, 입자개념의 형성을 중심으로 아동의 증발에 대한 개념 유형을 추출해 보고자 한다.
  • 그러나 아직까지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 학생들의 개념 유형의 발달 과정을 연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과정에 제시된 개념 전개의 타당성을 점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증발과 증발의 조 건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개념 유형의 발 달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전개의 타당성 을 점검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일정 시기 동안 여러 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횡단적 연구이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룰 토대로 학년별 경향성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해석하는데 무리가 따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활동할 면담자를 훈련을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1인, 초등과학교육 전문가 1인 중등과학교육 전문가 1인과 활동을 담당할 4인의 교사들이 관련 연구(Devries, 1986)를 토대로 활동에 기초한 면담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또한 각 활동에 대한 구체적 교수계획안의 작성 및 검토의 과정을 거쳐 작성된 면담 문항 올 토대로 2회의 모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모의 수업 후에는 대상 연령에 따른 면담 문항의 적절성 등에 관한 논의를 거쳤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존 개념. 상태변화 개념, 입자개념의 형성을 중심으로 아동의 증발에 대한 개념 유형을 추출해 보고자 한다.
  •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보존 개념과 증발에 대한개념의 관련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는데, 보존 논리가 있는 학생은 흡수되었다고 응답하는 경향이 더 많고 보존 논리가 없는 학생은 사라졌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초 . 중학교 학생들올 대상으로 증발과 증발 조건에 대한 개념의 유형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활동적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거쳐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6d: 공기 중으로 갔다 비로 내려요, 우리 주변에도 있어요.
  • 안에는? Ke: (고개를 혼들며) 없어요.
  • T : 그럼 어떻게 해서 이것이 마를까?
  • T : 그럼 찬바람이 나오면?
  • T : 드라이기 바람올 쐬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같애?
  • T : 스며든 물은 어디로 갈까?
  • T : 찬바람도 마른다고 생각하니? 왜?
  • T : 해님 때문에 마르는 것 같아요? 그럼 여기에 해님이 있니?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태정(2000). 물질의 상태와 상태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최행숙, 김은경. 백성혜. 이길재, 정완호(2001). 초등학생들의 열과 온도에 대한 대안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20(1), 123-138 

  3. 김익진(1999). 초등학생의 열 개념의 유형과 온도 개념 형성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박홍순(1995). 국민학교 아동들의 증발 현상에 대한 이해도 조사.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신인철(1992).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신은수, 안경숙, 유은영, 김은정(1994). 생활과 환경 중심의 유아 과학 교육. 서울: 양서원 

  7. 양영민(1992).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유혜령(1998). 교재.교구 경험의 의미에 관하 현상학적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1998 년도 연차 학술 대회 : 유아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113-135 

  9. 이경우, 조부경, 김정준(1999).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양서원 

  10. 이원영, 김덕건(1995). 활동 중심의 유아 과학 교육. 서울: 양서원 

  11. 이윤정(1994), 국민학교 4, 5학년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유형과 경험 활동 학습을 통한 개념 변화 연구 

  12. 이정화(1994), 국민학교 저학년 학생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조사 및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 이회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조부경, 이경우, 장혜순, 김정준(1995). 문학적 접근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교육부 

  14. 최정열(2000). 물질의 변화에 대한 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과학적 사고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Andrew. M, M.(1991), Elementary children's concepts of the water cycle. Doctoral disserta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16.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7. Bar, V., & Galili, I.(1994). Stage of children's views about evap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2), 157-174 

  18. Beveridge, M.(1985),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evapor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5(1), 84-90 

  19. Devries. R.(1986), Children's conception of shadow phenomena, genetic, social and general monographs, 112(4). 김정준 역(1990). 그림자 개념발달. 한국 어린이 육영회 

  20. Driver, R. & Easley, J. (1983). Pupils and paradigm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concept development in adolescent science student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 61-64 

  21. Inbody, D.(1963), Children's understanding of natural phenomena. Science Education, 47(3), 270-281 

  22. Johnson, P. M.(1998a).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1: Boiling water and the particle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5), 567-583 

  23. Johnson, P. M.(1998b).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2: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below boiling 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6), 695-709 

  24. Kelly, G. J.(1997). Research traditions in comparative context: A philosophical challenge to radical constructivism. Science Education, 81, 355-375 

  25. Osborne, R. J. & Cosgrove, M. M.(1983). Children's conception of the change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26. Russell, T. & Watt, D.(1990). Primary SPACE project research report: Evaporation and condensa tion. Liverpool: Liverpool University 

  27. Stavy, R.(1998).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553-560 

  28. Taiwo, A. A., Motswiri, M. J.. & Masene, R. (1999). Perceptions of the water cycle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in Botswa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413-429 

  29. Tytler, R.(2000). A comparison of year 1 and year 6 students' conception of evaportion and condensation: Dimension of conceptual prog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5), 447-467 

  30. Tytler, R. Peterson, S.(2000). Children's responses to a classroom sequence on evaporation Individual and social perspectives on learning.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