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조차환경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Erosional Coast in the Tide-dominated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3 no.7, 2002년, pp.565 - 574  

금병철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오재경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공사진과 지형측량 등 기존의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지역인 대부도 조간대 지역에서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표층퇴적물 137개 및 1개의. 코아 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조상대 지역은 만조와 폭풍 시에 파랑과 조석에 의해서 침식되어진 육상퇴적물과 조석에 의해서 유입되는 세립 퇴적물이 퇴적되어 불량한 분급, 양의 왜도, 다모드(다기원)형 입도분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밑짐이동으로 운반되어 지고 있다. 반면, 상부조간대, 중부조간대, 하부조간대에서는 서해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과 마찬가지로 외해로 갈수록 조립해지고 상대적으로 분급도가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가지고 있다. 조석에 의한 승강작용에 의한 에너지 분산에 의해서 점이부유(graded suspension와 지속적 부유(uniform suspension)에 의해서 운반, 퇴적된다. 또한, 코아시료는 상향조립하고 분급도가 불량해지는데 이는 육상기원의 침식된 퇴적물이 유입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은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인 조석 만조 시에 태풍과 폭풍 그리고 장단기 해수면 상승에 의한 강한 파랑에 의한 자연적 침식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안침식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대조차 침식연안은 만조시에 해안의 지역적, 시간적, 수리학적 상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조간대 지역은 전반적인 조간대 퇴적환경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previous investigations of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al surveys, this study focuses on the sedimentologic features of the Daebudo area including sedimentation processes, sedimentary facies and hydrologic conditions of the erosional coast. A total of 137 surface sediments and one c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해수면 상승은 많은 연구를 통해서 계속해서 상승될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IPCC, 1995; 손창배, 1999; 이경연 외, 1999), 이런 상황에서 연안은 계속적으로 침식 문제가 현실화되고 있지만 주로 모델을 통한 연구에 한정되어 있고 실제 우리나라 침식 연안의 퇴적작용과 퇴적환경에 대한 연구는 장진호, 최진용(1998)과 장진호 외(1999) 외에는 연구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석 우세 환경인 침식해안(대부도) 지역에서 연안 침식의 물리적, 지질학적 퇴적기작을 규명하고 퇴적상에 따른 퇴적 작용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여 차후 연안환경 보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손창배, 1999,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선의 잠재적 후퇴거리 산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1), 34-40 

  2. 신동혁, 윤호일, 한상준, 오재경, 1993, 동서해안 조간대 퇴적물의 점토광물 분포와 기원, 해양연구, 15(2), 123-136 

  3. 신동혁, 이희일, 한상준, 오재경, 권수재, 1998, 황해 가로림만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이동경로, 한국해양학회지,3(2), 59-70 

  4. 오재경, 1986, 서해안에 발달한 해빈사의 특징, 인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6, 123-131 

  5. 오재경, 1989, 한강개발이전 한강하구와 경기만에서의 퇴적환경, 황해연구, 2(5), 13-20 

  6. 오재경, 1995, 한강 하구 염하수로에서 부유퇴적물의 퇴적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16(1), 20-29 

  7. 오재경, 장현도, 1991, 한강종합개발이후 한강 하구 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한국해양학회, 26(1), 13-23 

  8. 오재경, 박정기, 1991,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의 점토광물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4), 313-323 

  9. 오재경, 왕경희,신기재, 1994, 동서해안 해빈의 퇴적환경에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 15(2), 91-99 

  10. 오재경, 유규철, 1997, 한반도 동남부 해빈 퇴적물의 조직변수의 특성, 인하대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18, 87-94 

  11. 오재경, 금병철, 1998, 서해안 몽산포 대조차 해빈의 퇴적학적 특성,한국지구과학회지, 19(3), 310-317 

  12. 이경연, 김동수,손창배, 김창제, 1999, 한국 연안 해역에서의 해면 수위의 변동에 관한 연구, 해양안전학회지, 5(1), 19-27 

  13.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2000, 포락지 증명조사 보고서 

  14. 장진호, 1995,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퇴적작용,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2 p 

  15. 장진호, 최진용, 1998,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집적양상과 보존:한국 서해안의 곰소만. 한국해양학회지, 3(3), 149-157 

  16. 장진호, 김여상,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한국해양학회지 , 4(2), 117-126 

  17. 기상청 , 1984, 한국태풍80년보 

  18. 한국자원연구소, 1999, 대부도 도폭 지질조사보고서 

  19. 한국해양연구소, 1989, 한국서 ·남해안 조간대의 종합조사연구(I). BSPG 00073-227-5 

  20. 한국해양연구소, 1990, 한국서 ·남해안 조간대의 종합조사연구(H). BSPG 00104-303-5 

  21. 한국해양연구소, 1991, 한국서 ·남해안 조간대의 종합조사연구(III). BSPG 00124-395-5 

  22. Alexander, C.R, Nittmuer, C.A., Demaster, D.J., Park, Y.A. and Park, S.C., 1991, Macrotidal MudQats of the South-western Koera Coast: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 Sed. Pet., 61, 805-824 

  23. Shin, D.H., H.I. Yi, S.J. Han, J.K. Oh, and J.S. Won, 1995, Applications of the sediment transport path model to the tidal flats of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Korean Joumal of Geophysical Research, 23(1), 39-51 

  24. Folk, R.L. and Ward, W.,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mal of Sedimentaiy Petmlogy, 27, 3-26 

  25.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s. 134 p 

  26. IPCC, 1995, Climate Change: The IPCC 2nd assessment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Chang, S.-K., 1983, Benthic Foraminifera of the Subddal Zone of Asan Bay, Korea. The Joum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8(2), 125-141 

  28. Passega, R., 1957, Texture as characteristics of elastics dep-osition. Am. A.P.G., 41, 1952-1984 

  29. Passega, R., 1964, Grain size representation by CM Pat-terns as a geological tool. Joumal of Sedimentary Petrology, 34, 830-847 

  30. Wells, J.T, C.E.J. Adams, Y.A. Park and E.W. Franken-berg, 1990,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tidal Chan-nel processses on a high-tide-range mudflat, west coast of South Korea, Marine Geology, 95, 11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