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지역의 월 강수량으로부터 토양 유실 예측 공식 적용을 위한 강수 인자 산출
Estimation of R-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ith Monthly Precipitation Data in North Kore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35 no.2, 2002년, pp.87 - 92  

정영상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박철수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정필균 (농촌진흥청) ,  임정남 (농촌진흥청) ,  신제성 (농촌진흥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 지역은 산이 많고, 경사지 밭이 많아 토양 유실이 심하므로, 토지를 보호하는 것이 토양의 지력 유지에 중요하다. 토양 보전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각 지역의 토양 유실 가능량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토양 유실 예측에 USLE가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북한 지역의 토양 유실 예측에 필요한 강수 인자8의 산출이 시도되었다. 북한 지역의 수집 가능한 75개소의 월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월 강수량의 7, 8월 강수 집중도(X)로부터 지역 보정 인자를 산출하였다. 지역 보정 인자($U_{adj}$) 산출을 위한 기본식은 남한의 중북부 지역 20개소의 $EI_{30}$와 월강수량 자료로부터 얻어 낸 식 $$U_{adj}=4.095{\cdot}X-0.878(r=0.689^{**})$$ 을 적용하였다. 북한 지역의 강수량은 606-1,520mm이었으며, 7, 8월 집중도는 34.4%~53.8%이었다. 이에 따른 지역 보정 계수 $U_{adj}$는 0.53~1.33이었으며, 동해안과 산간 지방의 $U_{adj}$ 값이 서해안과 내륙 지방의 $U_{adj}$ 값보다 낮았다. 지역 보정 계수를 고려한 USLE의 강수 인자 $R_{adj}$는 107 ~ 493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평균 259.6으로 남한의 평균 R 값 434.5보다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erosion is detrimental to sustain soil productivity in north Korea, since agriculture of this country depends largely upon the slope land in mountainous area. Taking any measure for protection from erosion should be based on prediction of soil loss. Estimation of rainfall factor, R, in north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북한 지역에 대해 토양 유실 예측을 위한 USLE 적용을 위하여, 제한된 월 강수량 자료로부터 강수 인자 R 값의 산출을 시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류인수. 2000. 북한의 토양과 특성. 북한의 토양.비료 .식량에 관한 심포지움. 한국토양비료학회 :1-38 

  2. 림주영 . 1987. 농업전서 . 토양편. 평양종합인쇄 :pp608 

  3. 박성우. 1976. 토양 유실에 미치는 각 지방별 강우 에너지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9(1):47-54 

  4. 박성우. 1983. 농지보전공학. 1983년도 교육부 대학원 중점지원육성비 연구보고서 :pp84 

  5. 박성우, 조국광. 1982. 경사지에서의 토양유실(지형인자를 중심으로). 한국농공학회지 23(2):54-60 

  6. 신제성, 고문환. 임정남.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추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106-111 

  7. 윤호섭, 정병호. 1996. 북한 지역의 '95년 대홍수와 농업생산 기반. 북한농업연구 3:33-41 

  8. 정영상, 신제성, 신 용화. 1976a. 야산개발지의 토양 침식에 관하여.한국토양비료학회지 9(1):9-16 

  9. 정영상, 신제성, 신용화. 1976b. 경사지 토양의 침식성 인자 에 관하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9(2): 

  10. 정영상, 권영기, 임형식, 하상건, 양재의. 1999. 강원도 경사지 토양 유실 예측용 신USLE의 적용을 위한 강수 인자와 토양 침식성 인자의 검토.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2(1):31-38 

  11. 정필균, 고 문환, 엄기태, 1985. 토양 유실량 예측을 위한 작부인자 검토.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8(1):7-13 

  12. 정필균, 고 문환. 임 정남, 엄 기태, 최대옹. 1983. 토양 유실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112-118 

  13. Joo, J. H., J. E. Yang, J. J. Kim, Y. S. Jung, J. D. Choi, S. Y. Yun, and K. S. Ryu. 2000. Assessment of soil aggregates and erodibility under different management practices in the mountainous soils. J. Kor. Soc. Soi Sci. Fert. 33(2):61-70 

  14.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DA Ag. Handbook 537:pp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