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일만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Yongil Bay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4, 2002년, pp.431 - 437  

강양순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김귀영 (남해수산연구소) ,  심정민 (동해수산연구소) ,  성기탁 (동해수산연구소) ,  박진일 (동해수산연구소) ,  공재열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일만 수질의 시공간적인 변동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일만의 13개 조사정점의 1990년부터 1998년까지 9개년간 각 계절별 수질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수질의 시 $\cdot$공간적 변동상황을 조사하였다. 염분은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정점별로는 하천수가 유출되는 만내측인 St-2에서부터 만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염분의 양이 높아졌다. 용존무기질소 평균농도 중에서 질산질소가 $65.0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또한 염분이 낮고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만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양이 감소되었다. 염분과 영양염간의 상관을 종합해서 보면 모든 정점에서 질산질소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형산강, 냉천등의 하천수의 유입이 질산질소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일만의 주오염원은 하천수 유입에 의한 질산질소인 것으로 생각된다. 주성분분석결과를 통해 영일만의 시$\cdot$공간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은 하천수 유입에 따른 질산질소의 증가로 영일만의 계속되는 적조를 막고, 만내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하천으로부터 질산질소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 investigation on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was conducted at 13 stations in Yongil bay from 1990 to 1998. The salinity in summer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in other seasons and it have increased from inner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 수질 환경의 특성을 밝히고, 시공 간 적인 변동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주성분 분석으로 구명 하므로써, 영일만의 수질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rtell, S.M., T.F.H. Allen and J.F. Koonec. 1978. An assessmen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description of phytoplankton periodicity in Lake Wingra. Phycologia, 17, 1-11 

  2. Boyer, J.N., J.W. Fourqurean and R.D. Jones. 1997. Spatial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in Florida Bay and Whitewater Bay by multivariate analysis; Zone of similar influence. Estuaries, 20, 743-758 

  3. Carpenter, E.J., B.H. Brinkhuis and D.G. Capone. 1984. Primary production and nitrogenous nutrient cycling in Great South Bay. in 'Grate South Bay' (H. Carter, ed.) 

  4. Choi, Y.C. and C.K. Park. 1986. Eutrophication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Bull. Korean Fish. Soc., 19, 339-346 (in Korean) 

  5. Gong, Y. and C.K. Park. 1982. On the oceanographical character of the low temperature region in the Eastern Sea of Korea, Bull. Fish. Res. Dev. Agency, 24, 52-61 (in Korean) 

  6. Gong, Y. and S.J. Son. 1982. A study of oceanic thermal fronts in the Southern Japan Sea. Bull. Fish. Res. Dev. Agency, 28, 25-54 (in Korean) 

  7. Kim, K.T. 1983. Contribution a I'etude de la production pelagique primaire et de la pollution dan le Gulf de Yeong-il. Rep. Korean Traders Scholarship Foundation, 1-60 (in Korean) 

  8. Kim, K.T., H.C. Lee, K.L. Yoo, E.L. Park, K.B. Lim, S.R. Park, D.C. Lee, Y. Y. Yoon, I.G. Kim, E.J. Choi and Y.H. Ahn. 1988. Ecosystem on the gulf of Yongil in the East Sea of Korea. 1. Introduction of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studies. Mar. Nat., 1, 59-67 (in Korean) 

  9. Kim, H.C., D.M. Kim, D.I. Lee, C.K. Park and H.G. Kim. 2001. Limiting nutrient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in Saryang Island coast by algal growth potential assay. J. Korean Fish. Soc., 34, 457-464 (in Korean) 

  10. Kwak, H.S. 1976. General oceanographic factors in Yongil bay of Korea, late October 1973. J. Oceanol. Soc. Korea, 11, 89-95 (in Korean) 

  11. Kwon, J.N., J.G. Kim and T.S. Ko. 2001. The estimation of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using long-term data. J. Korean Fish. Soc., 34, 348-354 (in Korean) 

  12. Lee, Y.S. 1997. Mechanism of eutrophication in Hiroshima Bay, Japan. J. KSEE, 19, 371-380 

  13. Lee, J.B., M.S. Han and H.S. Yang. 1998. The ecosystem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1.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in September, 1994. J. Korean Fish. Soc., 31, 45-55 (in Korean) 

  14. Lee, T.W. 1999.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2, 512-519 (in Korean) 

  15. Meybeck, M. 1982.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transport by world rivers, Am. J. Sci., 282, 401-450 

  16. Park, B.K. and M.Y. Song. 1972. Grain size analysis of bottom sediments of Yeongil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7, 74-85 (in Korean) 

  17. Rosenberg, R., R. Elmgren, S. Fleischer, P. Jonsson, G. Person and H. Hahlin. 1990. Marine eutrophication case studies in Sweden. AMBIO, 19, 102-108 

  18. Shim, J.H. and H.G. Yeo. 198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onsu Bay. J. Oceanol. Soc. Korea, 23, 130-145 

  19. Smith, K.L. Jr. 1974. Oxygen demands of San Diegotrough sediments: An in situ study. Limnol. Oceanogr., 19, 939-944 

  20. Strickland, J.D.H. and T.R. and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d. Canada, 167, 311 

  21. Yang, J.S., J.Y. Jeong, J.Y. Heo, S.H. Lee and J.Y. Choi. 1999. Chemical mass balance of materials . J. Korean Soc. Oceanol. 4, 71-79 (in Korean) 

  22. 日本水産資源保護協會. 1972. 水産環境水質基準, p. 87 

  23. 김기태. 1992. 동해남부해역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pp. 5-40 

  24. 조은영. 1999. 영일만 연안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8-45 

  25. 최은주. 1988. 영일만의 식물성 플랑크톤과 영양염류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