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주만에서 저서 다모류의 시 · 공간 분포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oft-bottom Polychaetesin Jinju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1, 2002년, pp.35 - 45  

강창근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 ,  백명선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 ,  김정배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 ,  이필용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조개 양식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남해 연안의 진주만에서 저서 다모류 분포를 밝히기 위하여 van Veen grab 채니기를 이용하여 1999년 8월부터 2000년 5월 사이에 계절별로 4회에 걸쳐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32종의 저서 다모류가 채집되어, 출현한 전체 저서동물 개체수 중 약 $80\%$를 차지하였다. 다모류의 평균 출현 개체수는 계절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체량은 여름 (8월)에 가장 높았던 반면, 종 다양도와 풍도는 여름철에 가장 낮았다. 이것은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동에 의한 다모류 군집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계절변동은 봄철에 소형의 몇몇 r-선택성 기회종과 여름철에 서관을 만드는 Mal-danidae과 종의 출현에 기인하였다. 한편, Capitella Capitata, No-tomastus latericeus 및 Lumbrineris sp.와 같이 유기물이 풍부한 해역에서 흔히 출현하는 종들이 만 전체적으로 연중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남부의 피조개 양식장 수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개체수와 생체량을 나타내었는데, 종 다양도와 풍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주성분 분석의 결과는 만내 다른 수역에서 우점하는 Maldanidae과는 물론 소형 기회종의 출현 빈도가 피조개 양식장 수역에서 대단히 낮아 피조개 양식장 수역 저서 다모류 군집이 인근 나머지 정점군들의 군집과 뚜렷이 구분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다. 다모류 군집의 공간변동은 피조개 양식장 수역 퇴적물의 더욱 세립한 입도 조성과 높은 황화물 농도 및 북부 일부 정점의 낮은 염분 등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었지만, 다른 환경 변수에서 이와 같은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진주만에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분포는 오히려 봄철에 피조개 채취를 위한 퇴적물의 물리적 교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듯 하였다. 않고 사육조 수면으로 공급되는 우회량이 많을 경우 용존산소는 증가하였으나 수처리 장치로 공급되는 유량이 작아 부유 고형물, 유기물 등의 수질 인자가 악화되는 현상을 보였다.대된다..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병포장에서는 용기내 압력, pH, L값,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0.1 mM과 0.4 mM 및 0.8 mM 배양구는 배양 5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어 각각 $204\%$, $198\%$$191\%$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BNF나 PB, MC는 명주조개에서도 미크로좀의 CYP 함량과 EROD 활성을 증가시키는 유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C에 의한 유도효과가 가장 강했고 BNF, PB의 순이었고, 대체로 약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도 효과도 큰 경향을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음성학자가 있다면, 이 또한 안되는 일입니다. 문의 구성과 어휘 요소와 아무 관련이 없는 말소리의 차이가 무슨 소용이 있으며, 통사 구조를 표현하고 저달하는 말소리를 연구하지 않고 어떻게 통사론을 연구할 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quantitative van Veen grab sampling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inhabiting the shellfish farming ground of a coastal bay system of Jiniu Bay (Korea). A total of 132 polychaete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 polychaetes a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서 다모류는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동물 중 가장 대표적인 분류군으로 대형 저서동물 군집구조 변화의 지시자로서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살포식 패류 양식에서 저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저서 다모류 군집의 변동을 밝히는 것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진주만의 피조개 살포식 양식장 수역과 만내 주변 해역을 대상으로 저서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저서 다모류의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서 다모류는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동물 중 가장 대표적인 분류군으로 대형 저서동물 군집구조 변화의 지시자로서 특히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uchanan, J.B., M. Sheader and P.F. Kingston. 1978.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benthic macrofauna off the south northumberland coast, 1971-1976. J. Mar. Biol. Ass. U.K., 58, 191-209 

  2. Cassie, R.M. and A.D. Michael. 1968. Fauna and sediments of an intertidal mud flat: a multivariate analysis. J. Exp. Mar. Biol. Ecol., 2, 1-23 

  3. Choi, J.W. and C.H. Koh. 1984.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9, 153-162 (in Korean) 

  4. Daeur, D.M., A.J. Rodi Jr. and J.A. Ranasinghe. 1992. Effects of low dissolved oxygen events on the macrobenthos of the lower Chesapeake Bay. Estuaries, 15, 384-391 

  5. Dankers, N. and D.R. Zuidema. 1995. The role of the mussel (Mytilus edulis L.) and mussel culture in the Dutch Wadden Sea. Estuaries, 18, 71-80 

  6. de Grave, S. and A. Whitaker. 1999. Benthic community re-adjustment following dredging of a muddy-maerl matrix. Mar. Poll. Bull., 38, 102-108 

  7. Defur, P.L. and D.N. Rader. 1995. Aquaculture in estuaries: feast or famine. Estuaries, 18, 2-9 

  8. Drake, P. and A.M. Arias. 1997. The effect of aquaculture practices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of a lagoon system in the Bay of Cadiz (Southwestern Spain). Estuaries, 20, 677-688 

  9. Feuillet-Girard, M., M. H $\'e$ ral, M.-F. Abrioux and M. Fontugne. 1994.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water column and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the estuarine bay of Marennes-Ol $\'e$ ron: influence of oyster farming. Oceanol. Acta, 17, 271-284 

  10. Gambi, M.C. and A. Giangrande. 1986. Distribution of soft-bottom polychaetes in two coastal areas of the Tyrrhenian Sea (Italy): structural analysis. Estuar. Coast. Shelf Sci., 23, 847-862 

  11. Gaston, G.R. 1985. Effects of hypoxia on macrobenthos of the inner shelf off Cameron, Louisiana. Estuar. Coast. Shelf Sci., 20, 603-613 

  12. Gray, J.S. 1981. The Ecology of Marine Sediments. An Introduction to Structure and Function of Benthic Communitie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U.K. 185pp 

  13. Grizzle, R.E. 1984. Pollution indicator species of macrobenthos in a coastal lagoon. Mar. Ecol. Prog. Ser., 18, 191-200 

  14. Hall, S.J. 1994. Physical disturbance and marine benthic communities: life in unconsolidated sediments. Ocean. Mar. Biol. Ann. Rev., 32, 179-239 

  15. Harper, D.E., L.D. McKinney, R.B. Salzer and R.J. Case. 1981. The occurrence of hypoxic bottom water off the upper Texas coast and its effects on the benthic biota. Contrib. Mar. Sci., 24, 53-79 

  16. Hastings, R.W. and D.R. Heinle. 1995. The effects of aquaculture in estuarine environments: introduction to the dedicated issue. Estuaries, 18, 1 

  17. Hong, J.S. 1987. Summer oxygen defic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Oceanol. Soc. Korea, 22, 246-256 

  18. Hong, J.S. and J.L. Lee. 1983. Effects on poll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18, 169-179 

  19. Horng, C.Y. and G.L. Taghon. 1999. Effects of contaminated sediments on particle size selection by the polychaete Capitella sp. I. J. Exp. Mar. Biol. Ecol., 242, 41-57 

  20. Jumars, P.A. 1975. Environmental grain and polychaete species diversity in a bathyal benthic community. Mar. Biol., 30, 253-266 

  21. Kang, C.-K., P.-Y. Lee, J.-S. Park and P.-Y. Kim.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 557-566 

  22. Lastra, M., J.M. Parada, A. Sanchez and J. Mora. 1991. Temporal evolution of an Abra alba community affected by harbor dredging activities in Santander Bay (northern Spain). Thalassas, 9, 87-97 

  23. Lee, J.H. 1976. A study on the benthic fauna along the Busan coast. Publ. Inst. Nat. Fish. Univ. of Busan, Busan, 9, 49-70 

  24. Lee, J.H., B.S. Koh and H.S. Park. 1997.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macroinfaunal compositions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J. Korean Fish. Soc., 30, 771-781 (in Korean) 

  25. Lim, H.S. and J.G. Je, J.W. Choi and J.H. Lee. 1991.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zoobenthos at Yoja Bay in summer. Ocean Res., 13, 31-45 (in Korean) 

  26. Lim, H.S. and J.S. Hong. 1997.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3.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 Soc., 30, 175-187 (in Korean) 

  27. Lim, H.S., H.S. Park, J.W. Choi and J.G. Je. 1999. 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subtidal soft bottom of Aengg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4, 80-92 (in Korean) 

  28. Lim, H.S., J.W. Choi, J.G. Je and J.H. Lee. 1992.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zoobenthos at the farming groung in the western part of Chinhae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25, 115-132 (in Korean) 

  29. Ma, C.W., S.Y. Hong and H.S. Lim. 1995. Macrobenthic fauna of Deukryang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 503-516 (in Korean) 

  30. MA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1998. Studies on the Effect of Red day on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Culturing Grounds. Seoul, 199pp (in Korean) 

  31. McLusky, D.S. 1989. The Estuarine Ecosystem. Chapman and Hall Inc., New York, 215pp 

  32. Nakao, S., S. Goshima, H. Nomura, H. Yamaguchi and S. Yoshitake. 1989. Relationships between macrobenthos communities and sediment types in Mutsu Bay. Bull. Fac. Fish. Hokkaido Univ., 40, 159-168 (in Japanese) 

  33. Park, H.S., J.W. Choi and H.G. Lee. 2000.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3, 1-8 (in Korean) 

  34.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 Mar. Biol. Ann. Rev., 16, 229-311 

  35. Pielou, E.M.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et. Biol., 13, 131-144 

  36. Pires, A.M.S. 1992. structure and dynamics of benthic megafauna on the continental shelf offshore of Ubatuba, southeast Brazil. Mar. Ecol. Prog. Ser., 86, 63-76 

  37. Poiner, I.R. and R. Kennedy. 1984. Complex pattern of change in the macrobenthos of a large sandbank following dredging. I. Community analysis. Mar. Biol., 78, 335-352 

  38. Rhoads, D.C. 1974. Organism-sediment relations on the muddy sea floor. Ocean. Mar. Biol. Ann. Rev., 12, 263-300 

  39.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onois Press, Urbana, 125pp 

  40. Shepard, E.P. 1954. Nomenclature based on sand-silt-clay ratios. J. Sed. Pet., 24, 151-158 

  41. Shin, H.C. and C.H. Koh. 1990.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5, 205-216 (in Korean) 

  42. Shin, H.C. and C.H. Koh. 1993.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coastal zone off Samchunpo, South Sea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8, 305-312 (in Korean) 

  43.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revisited: cause versus effect. Oceanogr. Mar. Biol., 32, 111-177 

  44. Tsutsumi, H., T. Kikuchi, M. Tanaka, T. Higashi, K-Imasaka and M. Miyazaki. 1991. Benthic faunal succession in a cove organically polluted by fish farming. Mar. Poll. Bull., 23, 233-238 

  45. Warwick, R.M. 1986. A new method for detecting pollution effects on marine macrobenthic communities. Mar. Biol., 92, 557-562 

  46. Weston, D.P. 1990. Quantitative examina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changes along an organic enrichment gradient. Mar. Ecol. Prog. Ser., 61, 233-244 

  47. Zar, J.H. 1984. Biostatistical Analysis. 2nd ed. Prentice-Hall Inc., Engle wood Cliffs, New Jersey, 718p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