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ch of domestic city is served by combined sewer system rather than separate sanitary or storm sewers. During wet weather, when the volume of sanitary sewage and storm water entering the combined sewers exceeds the system capacity, the system is designed to overflow at several designated CSOs. The ...
Much of domestic city is served by combined sewer system rather than separate sanitary or storm sewers. During wet weather, when the volume of sanitary sewage and storm water entering the combined sewers exceeds the system capacity, the system is designed to overflow at several designated CSO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have grasp of characteristics of combined sewer runoff and to evaluate efficiently the intercepted volume of CSOs. During the wet weather in first rainfall, SS load at each site H-1, H-2, and H-3 were 600kg/event, 370kg/event, and 289kg/event, SS load at each site in second rainfall were 216kg/event, 113kg/event, and 37.2kg/event. EMCs at each site were 702mg/L, 816mg/L, 861mg/L in first rainfall and 99.9mg/L, 161.9mg/L, 103.6mg/L in second rainfall, respectively. First flush coefficients b at each site were 0.237, 0.166, and 0.151.
Much of domestic city is served by combined sewer system rather than separate sanitary or storm sewers. During wet weather, when the volume of sanitary sewage and storm water entering the combined sewers exceeds the system capacity, the system is designed to overflow at several designated CSO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have grasp of characteristics of combined sewer runoff and to evaluate efficiently the intercepted volume of CSOs. During the wet weather in first rainfall, SS load at each site H-1, H-2, and H-3 were 600kg/event, 370kg/event, and 289kg/event, SS load at each site in second rainfall were 216kg/event, 113kg/event, and 37.2kg/event. EMCs at each site were 702mg/L, 816mg/L, 861mg/L in first rainfall and 99.9mg/L, 161.9mg/L, 103.6mg/L in second rainfall, respectively. First flush coefficients b at each site were 0.237, 0.166, and 0.151.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을 대상 유역으로 선정하여 강우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차집유량을 효율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 소도시 의 강우시 합류식 하수관거 의 월류수 차집용량 산정을 위하여 유출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의 대상유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하수도 대장, 토지 이용도 등에 대한 자료수집 및.분석을 통하여 예비 표본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현장 확인 및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표본지역을 결정하였다.
여부 및 유량. 수질조사의 용이성 등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본 조사지점의 강우량과 강우강도는 강우량 계를 직접 설치하여 측정하였으며, 건기시 유량과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
2시간 간격으로 3일 동안 시료를.채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강우 시 강우 초기에는 5분 간격, 그리고 그 이후에는 ]0분~ 30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강우종료 후에는 일정기간동안 2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표본지역 의 특성 및 강우특성 을 Table 1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채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강우 시 강우 초기에는 5분 간격, 그리고 그 이후에는 ]0분~ 30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강우종료 후에는 일정기간동안 2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표본지역 의 특성 및 강우특성 을 Table 1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오염물질의 최소, 최대 및 평균농도를 Table 3에 나타내었 .다「시료채취와 분석은 봄철과 여름철에 각각 1회씩 실시하였으며, 봄철 첫 번째 강우의 총 강우량은 17mm, 순간 최대 강우강도는 8.5mm/hr이며, 여름철 두 번째 강우의 총 강우량은 28.5mm, 순간 최대강우 강도는 7.5mm/hr이 다. 강우사상 별 최 대 유량은 강우 강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유량이 나타나는 시간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서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오염물질의 분율을 80%로 정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도출된 b값과 오염물질 80% 를 포함하는 유량의 분율 V80을 Table 6에 제시하였다.⑸
합류식 배제방식이다. 유량계는 수심과 유속이 자동 측정되는 전자식 (FLO-TOTE 260) 을 사용하여 15분 간격으로 연속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5mm/hr이 다. 강우사상 별 최 대 유량은 강우 강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유량이 나타나는 시간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서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타내었다. 조사된 오염물질 중 SS가 가장 많은 양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강우기간동안 각 조사지점의 부하량을 비교해보면 배수면적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강우의 경우 강우초반의 많은 유량과 높은 농도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수치가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SS의 EMC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강우의 강우량은 봄철에 비하여 많았으나 일정기간의 강우 동안 지면과 하수관거내의 오염풀질이 거의 유출된 이후에도 강우가 지속되어 유출되는 유량에 비하여 오염물의 농도가 낮음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EMC 수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EMC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강우의 강우량은 봄철에 비하여 많았으나 일정기간의 강우 동안 지면과 하수관거내의 오염풀질이 거의 유출된 이후에도 강우가 지속되어 유출되는 유량에 비하여 오염물의 농도가 낮음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EMC 수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첫 번째 강우시 H-2지점의 COD, BOD, SS, T-P와 H-3지점의 SS 가 각각 0.140, 0.141, 0.166, 0.140, 그리고 0.151 로서 명확한 초기세척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것은 오염물의 대부분이 강우초기의 초기세척에 의해 유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b값은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걍우사상 형태에 따라 매우 상이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강우시 초기세척과 오염물의 분산에 관한 연구는 방대한 양의 강우 사상 별 자료와 b값, 오염물의 유출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일반화 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대 샹이점은 첫 번째 강우의 경우 H-1 조사지점의 COD, BOD, SS에 대하여 각각 0.53, 0.54, 0.51 로나타났으며, H-2 조사지점은 0.60, 0.62, 0.54, H-3 조사 시점은 0.54, 0.55, 0.57로서 비교적 높은 상이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두 번째 강우 시 H-1 조사지점은 각각의 오염물질에 대하여, 0.
첫 번째 걍우시 모든 오염물질의 상이점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두 번째 강우시에는 첫 번째 강우 시와 다른 강우특성에 기인하여 SS의 상이점이 두드러지게 크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오염물질에 대하여 초기세척은 강우의 초반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오염물질에 대하여 초기세척은 강우의 초반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Fig. 3에 체시한 바와 같이 초기 강우 강도가 강한 봄철의 경우 최대 상이점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오염물질의 60〜80% 이상이 초기유량 10~ 20%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번째 강우의 경우 오염물질이 비교적 일정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 조사대상지점의 강우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 수유량 및 오염물질의 발생특성은 배수구역의 특성과 선행 건기일 수 및 강우특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유출수의 오염물질 부하량 중 SS 부하량은 첫 번째 강우시, H-1, H-2, H-3 조사지점에서 각각 600.7kg/eventf 370.9kg/event, 2893k&/event로서 건기시 1.8kg, 0.8kg, 0.4kg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가중평균농도(EMC)는 첫 번째 강우시 각 조사지점의 경우 SS의 EMC가 H-1, H-2, H-3 조사지점에서 각각 702.2mg/L, 816.7mg/L, 86L5mg/L로서 건기시 13.7mg/L, 18.0mg/L, 9.16mg/L보다 약 40배〜95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시간 누적곡선에 대한 누적유량과 누적오염물 사이의 최대 상이점을 이용한 초기세척 발생특성을 분석한 결과 SS의 경우 첫 번째 강우시, H-1, H-2, H-3 조사지점은 각각 0.51, 0.54, 0.57로 비교적 높은 상이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강우시, H-1, H-2, H-3 조사지점은 각각 0.27, 0.26, 0, 36으로 첫 번째 강우에 비해 낮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방류 수계의 목표 수질 달성 및 수질개선 효과롤 달성하기 위해서는 월류수의 저류 및 처리시설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어, 강우시 발생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및 초기 오염물질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제어 및 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7]
151 로서 명확한 초기세척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것은 오염물의 대부분이 강우초기의 초기세척에 의해 유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b값은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걍우사상 형태에 따라 매우 상이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강우시 초기세척과 오염물의 분산에 관한 연구는 방대한 양의 강우 사상 별 자료와 b값, 오염물의 유출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일반화 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 향후 방류수 수질기준이 오염물질의 농도에서 부하량 기준으로 변화해 감에 따라 수체에 최소의 영향이 미치도록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월류수의 관리가 요구되며 이에 따른 기초자료 수집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