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6 no.1, 2003년, pp.33 - 44  

박상덕 (강릉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황곡선하천유량의 변동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인위적인 유량조절이 없는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을 조사하여 보았다. 유황분석은 IHP대표유역과 대하천 주요 수위관측 지점의 수문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다. 유황은 유역면적에 의존하나 유황계수는 판수계수를 제외하면 유역면적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았으며 특히 풍수계수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평수량에 대한 갈수량 및 저수량의 비로 정의한 유황변동계수는 유역면적이 증가하면 작아지고 하천 경사의 증가에 따라 커진다. 저수유황변동에 비하여 갈수유황 변동이 유역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w duration curves provide a compact summary of streamflow variability.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s with the unregulated discharge were investigated. An analysi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with discharge data at st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역의 지상학적 인자와 기후학적 인자를 이용하여 유황을 추정할 수 있는 유황곡선 합성기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황에 대한 유역면적, 하천 경사, 강수량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인위적인 유량조절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자연하천에서 무차원 유황곡선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과 보청천 및 위천의 IH垣대표유역의 주요 지점 중에 상류 지역에서 댐과 같은 인위적인 유량조절이 없는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유황곡선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설부 (1989-1999). 국제수문계획(IHP) 대표유역연구조사보고서 

  2. 박상덕 (1999). '남북강원 수자원의 개발과 관리.' 분단강원의 이해-상황과 전망, 강원사회 연구회, 한울아카데미, pp.350-367 

  3. 박성우 (1968). '한국하천의 유황에 관한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10권, 제1호, pp.77-87 

  4. 박성우 (1974). '하천의 유황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16권, 제2호, pp.78-93 

  5. 신사철 (2000).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하천유황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15호, pp. 623-634 

  6. 우효섭 (2001). 하천수리학, 청문각, pp.617-618 

  7. 이원환 (1994). 발전수력공학. 동명사, pp.22-23 

  8. 이진원, 김형섭, 우효섭 (1993). '댐건설로 인한 5대수계 본류의 유황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3호, pp.79-91 

  9. 한국수자원공사 (1992). 전국하천조사서. pp. II-286-II-565 

  10. 홍일표 (1995).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연구. 1차년도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95-WR-1102-1 

  11. Dingman, S. L. (1993). Physical Hydrology, Prentice Hall 

  12. Foster, H. A. (1934). 'Duration Curve.' Transactions, ASCE, Vol.99, pp.1213-1267 

  13. Fennessey, N. and R. M. Vogel (1990). 'Regional Flow-Duratin Curves for Ungaged Sites in Massachusets, J.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6, No.4, pp.530-549 

  14. Linsley, R. K. and Franzini, J. B. (1979). Water-Resoruces Engineering, McGraw-Hill, pp.127-129 

  15. Maidment, D. R. (1992). Handbook of Hydrology. McGraw-Hill, pp. 18.53-18.54 

  16. Search, J. K. (1959). Flow-duration Curves, Paper 1542-A, U. 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 C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