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Kuwana)의 온도별 발육기간 및 발육단계 전이 모형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Pseudococcus comstocki(Homoptera: Pseudococcidae) and Its Stage Transition Model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2 no.1, 2003년, pp.43 - 51  

전흥용 (농촌진흥청 원예환경과) ,  김동순 (농촌진흥청 원예환경과) ,  조명래 (농촌진흥청 원예환경과) ,  장영덕 (충남대학교 농생물학과) ,  임명순 (농촌진흥청 원예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루깍지벌레 방제적기 예측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포장에 서 가루깍지벌레 발생시기 조사 및 온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으며 각 발육단계 전이(우화)모형 을 작성하였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1세대 6월 중하순,2세대 8월 중하순,3세대는 10월 하.순으로 수원지방에서는 연 3회 발생하였다. 가루깍지벌레 각 발육단계의 발육기간은 $25^{\circ}C$ 까지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 온도에서는 증가하였다. 발육영점온도 추정결과 알 14.5$^{\circ}C$, 1령 약충+2령 약충 8.4$^{\circ}C$, 3령 약충 10.2$^{\circ}C$, 산란전기간 11.8$^{\circ}C$, 그리고 1령 약충부터 산란전까지는 10.1$^{\circ}C$ 이었다. 발육완성을 위한 적산온도(DD)는 알 105 DD, 1령 +2령 315 DD, 3령 143 BD, 산란전기간 143DD이었다. 알부터 산란기까지 필요한 적산온도는 599DD이었다. 생물리적 발육모형과 발육완료시기 분포를 나타내는 Weibull함수를 이용 가루깍지벌레의 특정 발육단계에서 다음 발육단계로 전이되는 개체수의 비율을 추정하는 발육단계 전이모형을 작성하였다. 1령부터 산란전기간까지 적산온도를 이용하여 성충발생 세대별 50%산란시기를 예측한 결과 Mean-minus-base 추정법을 사용한 경우 실측일과 비교하여 1992년과 1993련 1세대와 2세대 모두 2-3일의 편차를 보였고,Sinewave추정법을 이용한 경우는 1-7일의 편차를 보였다. Rectangle추정법은 0-6일의 편차를 보였다. 발육모형을 이용 일별 발육률을 추정하고 이것을 누적하는 발육률 적산모형의 경우 1세대와 2세대의 성충산란 시기 예측 결과 모두 50%산란시기까지는 1-2일의 편차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forecasting model of Pseudococcus comtocki Kuwana for timing spray. Field phonology and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p. comstocki were studied, and its stage transition models were developed. p comstocki occurred three generations a year in Suwo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전년도 발생밀도가 높았던 배 품종 조생팔달, 봉리, 금촌추 각 3주를 표시해 놓고 나무별 지상부 50-150cm 사이에서 발견되는 수를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1992년에는 시기별 성충수, 난괴수, 부화 난괴수 등을 조사하였고 1993년에는 성중수 및 난괴수를 조사하였다.
  • , 1996). 2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는 1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부터 2세대 알 발육에 필요한 적산온도 (Table 2, 105 DD)에 1 령 약충부터 산란전기간까지 발육에 필요한 적산온도를 더하여 추정하였다.
  • 월동알 50% 부화일부터 1령부터 산란전기간의 발육모형을 이용일별 발육률을 계산하고, 그것을 누적하여 T 이 되는 시기를 1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생리적 연령 1=50% 산란기)로 추정하였다. 2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는 1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부터 알 발육모형을 이용 2세대 알 발육에 필요한 생리적 연령을 추정하고(50% 알 부화기), 여기서부터 1령-산란전기간의 발육모형을 이용발육률을 계산 . 누적하여 추정하였다.
  • 각 발육단계 발육완료에 필요한 적산온도는 추정된 회귀식 기울기의 역수 값(1/기울기)으로 구하였다. 가루깍지벌레 각 발육단계 중 알, 1령+2령, 3령, 산란전기기간, 1령-산란전기간에 대한 발육영점온도 및 적산온도를 추정하였다.
  • 가루깍지벌레 각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은 15, 20, 25 그리고 30±0.5℃로 설정된 항온기를 이용 실시하였으며 광조건은 16:8 (L:D), 상대습도는 50-70%이었다.
  • 가루깍지벌레 누대 사육을 위하여 밧드(W37 × L32 ÷ H5 cm)에 모래 (수분함량 =10%, g/g)를 l-2cm 정도 깔고 그 위에 싹이 3-4cm 크기로나 있는 감자를 5-9개 올려놓았다
  • 즉 수명 및 산란기간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었으므로 산란전기간 만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발육단계는 1령+2령, 3령, 산란전기간 등이었다. 각 온도별 처리 개체수는 50-80 마리 이었으며 실험 중 사망한 개체수를 제외한 최종분석시 이용된 개체수는 Table 1과 같다.
  • 이 알들을 25℃ 조건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필요한 충분한 개체수가 나타날 때까지 일찍 부화하는 개체들은 제거하였다. 누대 사육시와 같은 방법으로 감자 싹을 마련하고 여기에 갓 부화된 약충을 가는 붓을 이용 접종하여 각 온도별로 처리하였다. 가루깍지벌레는 일단 정착하면 그 자리에서 성충이 될 때까지 머물기 때문에 개체별 발육기간 조사가 가능하였다.
  • 국내외적으로 상온상태에서 발육자료만 있을 뿐(Hough, 1925; Choi, 1991) 아직까지 가루깍지벌레의 온도발육에 대한 정량적 자료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루깍지벌레의 온도발육 실험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세대별 성충산란시기 예측모형을 작성 하였다. 또한 장차 가루깍지벌레 개체군의 발생모형(population phenology model) 작성을 위한 각 발육단계 전이(우화)모형을 작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루깍지벌레의 온도발육 실험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세대별 성충산란시기 예측모형을 작성 하였다. 또한 장차 가루깍지벌레 개체군의 발생모형(population phenology model) 작성을 위한 각 발육단계 전이(우화)모형을 작성하였다.
  •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조사를 위하여 누대 사육실에서 갓 산란된 난괴 30개를 채취하여 알이 깨지지 않도록 가는 붓으로 각 난괴를 서로 잘 혼합하였다. 이 알들을 25℃ 조건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필요한 충분한 개체수가 나타날 때까지 일찍 부화하는 개체들은 제거하였다.
  • 가루깍지벌레는 일단 정착하면 그 자리에서 성충이 될 때까지 머물기 때문에 개체별 발육기간 조사가 가능하였다.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은 탈피각을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탈피각관찰은 해부현미경(10-20X )을 이용 매일 10:00-12:00 시 사이에 실시하였다.
  • 발육영점온도 및 발육완료에 필요한 적산온도 추정 : 처리온도와 발육률(1/발육기간)간의 직선회귀식을 구하고, 이 식으로부터 발육률이 0이 되는 온도를 추정하여 발육영점온도를 구하였다
  • 발육율 적산을 통한 발육단계 전이모형 시뮬레이션 : 발육률 적산을 통한 발육단계 전이모형은 어떤 발육단계 상태에 있는 집단(cohort) 중에서 다음 발육단계로 전이되는 개체수들의 비율을 추정한다. 발육모형과 발육완료시기 분포모형을 이용하여 각 발육단계전이모형을 작성하였다(Curry ef aZ.
  • 알 발육기간 조사를 위하여 누대 사육실에서 갓 산란된 난괴 20개를 채취하였으며, 각 난괴에서 알 3개씩을 분리하여 총 60개의 알을 각 온도에 처리하였다. 온도 처리시 알을 무독성 접착제(Glue Stick®)를 이용하여 여과지에 접착시킨 다음 페트리디쉬(⑦55X 12 cm)에 넣 었다(Jeon d al.
  • 즉 재료 및 방법에서와 같이 발육모형 작성시 어떤 온도에서 실측 발육률은 '1/평균발육기간'으로 계산되었으므로 어떤 발육단계의 발육률을 누적하여 '1'이 되는 시점은 전체 개체군중 50%가 발육을 완료하는 시점이 된다. 월동알 50% 부화일부터 1령부터 산란전기간의 발육모형을 이용일별 발육률을 계산하고, 그것을 누적하여 T 이 되는 시기를 1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생리적 연령 1=50% 산란기)로 추정하였다. 2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는 1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부터 알 발육모형을 이용 2세대 알 발육에 필요한 생리적 연령을 추정하고(50% 알 부화기), 여기서부터 1령-산란전기간의 발육모형을 이용발육률을 계산 .
  • 1992년과 1993년 원예연구소(수원시 이목동) 배과수원에서 시기별 가루깍지벌레 주요 발생시기를 조사하였다. 전년도 발생밀도가 높았던 배 품종 조생팔달, 봉리, 금촌추 각 3주를 표시해 놓고 나무별 지상부 50-150cm 사이에서 발견되는 수를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1992년에는 시기별 성충수, 난괴수, 부화 난괴수 등을 조사하였고 1993년에는 성중수 및 난괴수를 조사하였다.
  • 가루깍지벌레는 산란시 몸속의 알을 내 놓으면서 서서히 몸이 쭈그러들고 결국은 말라붙은 껍질만 남게 된다. 즉 수명 및 산란기간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었으므로 산란전기간 만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발육단계는 1령+2령, 3령, 산란전기간 등이었다.
  • 탈피각관찰은 해부현미경(10-20X )을 이용 매일 10:00-12:00 시 사이에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1992년과 1993년 원예연구소(수원시 이목동) 배과수원에서 시기별 가루깍지벌레 주요 발생시기를 조사하였다. 전년도 발생밀도가 높았던 배 품종 조생팔달, 봉리, 금촌추 각 3주를 표시해 놓고 나무별 지상부 50-150cm 사이에서 발견되는 수를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 1)와 비교하였다. 기상자료는 가루깍지벌레 발생시기를 조사한 과원으로부터 약 5 km 떨어져 있는 수원기상대에서 측정한 것을 이용하였다.
  • 실험에 이용된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Kuwana)는 원예 연구소(수원시 이목동) 배과원에서 월동 알을 채집하여(1994년 2월) 사육실(25±0.5℃;RH = 70±5%;L:D=16:8)에서 3-4세대 누대 사육한 개체들이 었다

데이터처리

  • 가루깍지벌레 1+2령, 3령, 산란전기간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리적 연령에 대응한 발육완료기간의 표준화된 누적빈도분포를 얻었다. Weibull 함수의 매개변수는 독립변수를 생리적 연령으로 하고 종속변수를 표준화된 누적 빈도분포로 하여 SAS PROC NLIN를 이용 추정하였다(SAS Institute, 1999).

이론/모형

  • 각 매개변수 추정은 Wagner et al. (1984a)이 제시한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SAS Institute, 1999).
  • 발육율 적산을 통한 발육단계 전이모형 시뮬레이션 : 발육률 적산을 통한 발육단계 전이모형은 어떤 발육단계 상태에 있는 집단(cohort) 중에서 다음 발육단계로 전이되는 개체수들의 비율을 추정한다. 발육모형과 발육완료시기 분포모형을 이용하여 각 발육단계전이모형을 작성하였다(Curry ef aZ., 1978a, b; Wagner et al., 1985). 즉 어떤 발육단계 집단의 생리적 연령 i 와 z+1 사이에 다음 발육단계로 전이되는 개체수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 발육완료시기 분포모형 : 가루깍지벌레 각 발육단계(알, 1+2령 약충, 3령 약충, 산란전기간)의 발육기간변이는 Weibull 함수(식 2; Curry et al., 1978)를 이용하여 적합시켰다.
  • 비선형 발육모형 : 온도와 발육률(1/평균발육기간) 관계는 비선형발육모형인 생물리적 모형(biophysical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Schoolfied et al, 1981). 이 모형은 Eyring (1935), Johson and Lewin (1946) 등의 온도와 효소반응 및 생물리적 이론 모형을 기초로 Sharpe and DeMichele (1977)이 종합한 모형으로 다음과 같다.
  • 이 모형은 Eyring (1935), Johson and Lewin (1946) 등의 온도와 효소반응 및 생물리적 이론 모형을 기초로 Sharpe and DeMichele (1977)이 종합한 모형으로 다음과 같다.
  • 적산온도 모형의 경우 적산온도는 일별 평균온도에서 발육영점온도 이상의 온도를 누적하는 Mean-minus -base 추정법, Sine wave 추정법 (Allen, 1976),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Arnold, I960) 등의 방법으로 구하였으며, DEGDAY 프로그램(Higley et al., 1986)을 사용하였다. 세대 성충 산란 최성기(50% 산란기)는 월동 알 50% 부화일부터 적산온도를 계산하였다(Jeo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gnello, A.M., S.M. spangler, W.H. Reissig, D.S. Lawson andR.W. Weires. 1992. Seasonal development and managementstrategies for comstock mealybug (Homoptera: Pseudococcidae)in New York pear orchards. J. Econ. Entomol. 85: 212-225 

  2. AliNiazee, M.T. 1976. Thermal unit requirements for determiningadult emergence of the western cherry fruit fly (Diptera: Teph-ritidae) in the Willamette Valley of the Oregon. Environ. Entomol. 5: 398-402 

  3. Allen, J.C. 1976. A modified sine wave method for calculatingdegree days. Environ. Entomol. 5: 388-396 

  4. Arnold, C.Y. 1960. Maximum-minimum temperature as a basisfor computing heat units. Proc. Am. Soc. Hortic. Sci. 76: 682-692 

  5. Butts, R.A. and F.L. MeEwen. 1981. Seasonal populations of thediamond 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in relation to day-degree accumulation. Can. Entomol.113:127-131 

  6. Choi, K.R. 1991. Biology and control the comstock mealybug,Pseudococcus comstocki (Homoptera: Pseudococcidae) on thepear tree. Res. Rept. RDA. 34: 85-92 

  7. Compere, H. 1933. The Parasites of Pseudococcus comstocki.Can. Entomol. 65: 243-247 

  8. Curry, G.L., R.M. Feldman and K.C. Smith. 1978a. A stochasticmodel of a temperature-dependent population. J. Theor. Pop.Biol. 13: 197-213 

  9. Curry, G.L., R.M. Feldman and P.J.H. Sharpe. 1978b. Foundationof stochastic development. J. Theor. Biol. 74: 397-410 

  10. Eckenrode, C.J. and R.K. Chapman. 1972. Seasonal adult cabbagemaggot populations in the field in relation to thermal-unit accu-mulation. Ann. Entomol. Soc. Am. 65: 151-156 

  11. Erying, H. 1935. The activated complex in chemical reactions. J.Chem. Physics 3: 107-115 

  12. Ferris, G.F. 1919. Observations on some mealy-bugs Hemiptera:Coccidae). J. Econ. Entomol. 12: 292-301 

  13. Higley, L.G., L.P. Pedigo and K.R. Ostlie. 1986. DEGDAY: aprogram for calculating degree-days, and assumptions behindthe degree-day approach. Environ. Entomol. 15: 999-1016 

  14. Hough, W.S. 1925. Biology and control of comstock's mealybugon the umbrella catalpa. Va. Agric. Exp. Stn. Tech. Bull. 29: 17. 

  15. Howe, R.W. 1967. Temperature effects on embryonic develop-ment in insects. Annu. Rev. Entomol. 10: 15-42 

  16. Jeon, H.Y,, D.S. Kim, M.S. Yiem and J.H. Lee. 1996. Modeling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hatch of overwinteringeggs of Pseudococcus comstocki (Homoptera: Pseudococcidae).Korean J. Appl. Entomol. 35: 119-125 

  17. Jeon, H.Y., D.S. Kim, M.R. Cho, M.S. Yiem and Y.D. Chang.2000. Recent status of major fruit tree pest occurrences inKorea. J. Kor. Soc. Hort. Sci. 41: 606-612 

  18. Johnson, F.H. and I. Lewin. 1946. The growth rate of E. coli inrelation to temperature, quinine and coenzyme. J. Cell. Comp.Physiol. 28: 47-75 

  19. Kim, D.S., J.H. Lee and M.S. Yiem. 2001.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Carposina sasakii (Lepidoptera: Carposi-nidae), and its stage emergence models. Environ. Entomol. 30:298-305 

  20. Metcalf, R.L. 1994. Insecticides in pest management. In R.L. Metcalf and W.H. Luckmann, [eds.], Introduction to insect pestmanagement. 3rd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21. Meyerdirk, D.E., I.M. Newell and R.W. Warkentin. 1981. Biolo-gical control of comstock mealybug. J. Econ. Entomol. 74: 79-84 

  22. Park, J.D. and K.H. Hong. 1992. Species damage and populationdensity of Pseudococcidae injuring pear fruits. Kor. J, Appl.Entomol.31: 133-138 

  23. SAS Institute. 1999. SAS OnlineDoc, version 8. SAS Institute,Cary, NC 

  24. Schoolfield, R.M., P.J.H. Sharpe and C.E. Mugnuson. 1981. Noli-near regression of biological temperature-dependent rate modelsbased on absolute reaction-rate theory. J. Theor. Biol. 88: 715-731 

  25. Wagner, T.L., H. Wu, P.J.H. Sharpe, R.M. Schoolfield and R.N.Coulson. 1984a. Modeling insect development rates: A litera-ture review and application of a biophysical model. Ann. Ento-mol. Soc. Am. 77: 208-225 

  26. Wagner, T.L., H. Wu, P.J.H. Sharpe and R.N. Coulson. 1984b.Modeling distributions of insect development time: A literaturereview and application of the Weibull function. Ann. Entomol.Soc. Am. 77: 475-487 

  27. Wagner, T.L., H. Wu, R.N. Feldman, P.J.H. Sharpe and R.N.Coulson. 1985. Multiple-cohort approach for simulating devel-opment of insect populations under variable temperatures. Ann.Entomol. Soc. Am. 78: 691-7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