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성별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의 점화효과
Implicit Representation of Gender Stereotype: Priming Effects of Attribute Typicality and Gender Congruency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14 no.2, 2003년, pp.37 - 46  

이재호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방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별 고정관념은 대인 집단에 관한 표상이며 암묵적 수준에서 자동적으로 처리된다고 알려졌다. 이 연구는 고정관념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 변인의 효과가 암묵적 점화과제에 반영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성별 고정관념의 성별 속성을 전형성과 선호도 변인을 조작하여 점화 자극으로 제시한 다음 성별 이름에 대한 명명시간을 측정하였다. 전형성 변인의 효과만 관찰되었고, 그 효과는 여자에서 나타났다. 반면에 집단 일치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고정관념의 속성간 조건으로 전형성 변인의 점화효과를 체계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성별 범주의 주효과만 나타났고, 여성 속성이 남성 속성에 비해서 점화효과가 크게 관찰되었다. 전형성 변인의 주효과와 집단 일치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 실험의 결과, 성별 고정관념의 속성 전형성은 암묵적인 수준에서 미약하지만 표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성별의 집단 일치성 효과는 표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성별 속성이 미약하지만 전형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상되었을 가능성과 성별의 표상이 참가자 성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표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implicit representation of gender-stereotype using primed naming task for prime-target pair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presented gender's attributes as primes at SOA 250ms and were asked to pronounce person's names which differed in typical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와 실험 1에서는 점화조건이 위계간 점화, 즉 범주-속성 혹은 속성-범주 점화 조건이었지만 실험 2는 전형성 효과를 체계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전형성 변인에 따른 속성-속성 점화조건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던 참가자의 성과 성별 일치성 효과도 관찰하고자 하였다. 만약 성별 범주가 단계적인 표상을 구성하고 있다면 전형성 변인에 의한 점화효과가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여야 한다.
  • 성별 범주 변인과 전형성 변인을 조작하여 속성-속성 자극쌍의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참가자 성 변인과 성별 범주 변인을 추가 포함하여 성별 집단간 일치성 효과를 검중하고자 하였다.
  • 또한 성별 범주의 여성-속성 효과(예; Klauer, Rossnagel, & Musch, 1997; 이재호 둥, 2001)와 긍정속성 효과(예; De Houwer, Hermans, & Spruyt, 2001; 이재호 둥, 2001)는 Banaji 등의 연구에 대비되는 연구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참가자 성의 일치성 효과와 범주의 속성간 일치성 효과가 어떤 양상으로 관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서 전형적인 점화 패러다임을 사용하였는데, 점화-목표 자극쌍의 SOA를 250ms로 고정하였고 목표 단어에 대한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Banaji와 Hardin(1996)의 점화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성별 범주의 위계성과 전형성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성별 범주 변인과 전형성 변인을 조작하여 속성-범주명 자극쌍의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 실험 1에서는 이재호, 조혜자, 및 방희정(2001)의 연구에서 관찰된 참가자 성 에 따른 점화효과의 차이가 실험 조건을 변화시킨 경우에도 반복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점화 단어를 성별 이름으로 제시하였고, 목표 단어를 성별 속성으로 제시하였다.
  • 선행 연구에서는 점화 단어를 성별 이름으로 제시하였고, 목표 단어를 성별 속성으로 제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점화와 목표의 단어를 역으로 제시한 경우에 조건에 선행 연구와 동일한 점화 효과가 관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미 Banaji 둥 (Banaji & Hardin, 1996; Blair & Banaji, 1996)은 속성-성별 범주의 점화를 통하여 점화-목표의 고정관념 일치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 성별 범주 변인과 전형성 변인을 조작하여 속성-범주명 자극쌍의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2 에서는 이재호와 이정모(2000)에서 사용한 점화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성별 범주의 속성 전형성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성별 범주 변인과 전형성 변인을 조작하여 속성-속성 자극쌍의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속성-범주 조건을 속성-속성조건으로 전환하고 성별 범주의 전형성 효과와 성별 집단 간 일치성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재호 등 (2001)의 연구와 실험 1의 연구에서 전형성 변인의 주 효과가 계속 관찰되었는데, 이는 성별 고정관념이 속성의 전형성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이는 점화조건의 변화에 따른 효과일 가능성이 있다. 실험 2에서는 참가자 집단의 일치성 효과를 속성-속성 점화과제를 통해서 검중하고 선행 연구에서 관찰되었던 여성 속성 효과와 전형성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두 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의 목적은 참가자성과 성별 범주간의 일치성효과를 검증하고 성별 고정관념이 상위 범주를 중심으로 속성의 전형성에 따른 단계적 표상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두 실험의 공통적인 독립 변인은 참가자 성, 성별 속성, 및 전형성 변인이었고, 두 실험에서 점화-목표 단어 쌍의 점화조건이 다르게 조작되었다.
  • 이재호 둥, 2001). 이 연구는 속성의 전형성 변인을 조작하였다. 실험 1에서는 속성의 전 형성 변인이 성별 이름의 점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중거를 보였다.
  • 또한 여자는 남자에 비해서 성별 단서의 효과도 있었지만 속성의 전형성과 선호도에도 민감한 상호작용을 보였다. 이 연구는 참가자 성 에 따라 성별 범주의 표상이 다를 가능성과 집단간 일치성에 대한 효과도 다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사회범주 가운데서 성별 범주를 중심으로 사회 범주의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Fiske(1998)에 의하면 성별범주는 인종이나 연령 둥 다른 사회 범주들에 비해서 정보처리의 비중이 크며, 발달상에서도 가장 먼저 나타나는 범주임이 강조된 바 있다.
  • 이는 성(sex or gender)。에 대한 정보의 해석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과정임을 함의하는 것이다. 이같은 가정하에 이 연구는 성별 범주을 중심으로 사회 인지의 연구에서 강조되었던 내집단과 외집단의 일치성 효과를 암묵적 수준에서 검증하고, 사회 인지의 표상에도 비사회적인 인지 일반의 단계적 표상이 구성되어 있는지를 전형성 (typicality) 변인의 효과를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고정관념 연구에서의 방법론적인 특성을 고려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을 통하여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수준의 표상 특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형적인 점화 패러다임을 사용하였는데, 점화-목표 자극쌍의 SOA를 250ms로 고정하였고 목표 단어에 대한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성별 고정관념의 속성은 일반 범주의 표상처럼 속성의 전형성에 근거하여 단계적 표상을 구성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예; Lakoff, 1987). 또한 일반 범주의 표상 이론에서는 범주의 구성원은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에서 비교적 안정된 표상을 구성하고 있다고 가정한다(Kunda, 2000). 예를 들어 사과는 과이의 하위 개념이며, '부사의 상위 개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