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공간에 연출된 수공간의 체험적 의미에 관한 연구 -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Water In Experience Within Interior Space - Focusing on The Lobby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no.38 = no.38, 2003년, pp.258 - 265  

문정민 (조선대학교 디자인학부) ,  박수경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sign of space, which focuses on human senses and perception, has become more prominent. It can be understood as the space needed for a field of experience. Phenomenological attitude focuses on the relations between human in the context of their environment. The experiences generated were u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전체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로비 공간을 대상으로 기존의 로비공간에서 사용된 이미지, 연출방 법을 분석함으로써 로비공간에서 나타난 물의 체험적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체험 유발을 위한 요소로서 '물'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을 현상학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설명하고, 물에 나타나는 특성들이 공간을 체험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물을 사용한 체험적 공간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 중에서 물의 연출사례가 빈번한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실내 공간에서 물을 사용한 공간의 체험적 의미를 분석 해 본 결과 물의 특성과 연출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성이 나타났다.
  • 1。)이렇게 해서 생성된 각각의 이미지는 그에 수반하는 이미지 연출요소를 이끌어 낸다. 이는 물을 이용한 적극적인 심리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체험적인 공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가설 설정

  • 2. 공간은 물의 유동성에 따라 정적인 공간과 동적인 공간으로 분류된다. 동적인 공간은 활동적인 체험을 유발하는데 유동의 세기가 컸을 경우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연출방법으로 역동적이고 굉장한 에너지를 나타내며, 유동의 세기가 작을 경우 아래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연출방법으로 쾌활함, 즐거움을 유 발한다.
  • 즉 현상학은 본질을 서술하는 것 이고, 본질은 다른 곳이 아니라 바로 현상 속에 들어 있으며, 세계는 우리에게 드러나는 만큼 존재하는 것으로 세계내 관점 에서 존재를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통로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5)이러한 현상학은 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위한 시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에 있어서는 체험으로 인한 현상적 공간 체험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인수, 建築과 물의 相關姓과 그 디자인 效果에 관한 ?究, 홍익대학교 석론, 1996 

  2. 박한규 Steven Hall건축의 현상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교 석론, 1996 

  3. 손광호, 안도타다오와 제임스와인즈 작품에 나타난 물의 의미연구, 2003 

  4. 임승빈, 도시에서의 현상적 체험, 공간, 1994, 1 

  5. 유방현, 실내공간의 수요소 활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론, 1983 

  6. 유방현, 수공간의 연출, 기문당, 1999 

  7. 이규목, 人間과 環境의 關係에 대한 現象學的 接近方法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8 

  8. 이종건, 건축의 존재와 의미, 기문당, 1995 

  9. 이광배, 건축환경에서의 수공간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1985 

  10. 조성원, 체험분석을 통한 물의 상징적 장소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석론, 1988 

  11. WATER SPACE OF THE WORLD VOLUME2, IA 

  12. Stanley Abercrombie, Corporate Interiors No.3 

  13. 商業建築企劃設計資枓集成 5空?디자인,1995 

  14. http://www.interiorskorea.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