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한 국내 외식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ffec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up on the National Economy of Ko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8 no.5, 2003년, pp.763 - 769  

천희숙 (경기대학교 관광학부 외식ㆍ조리전공) ,  한경수 (경기대학교 관광학부 외식ㆍ조리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od-service industry in Korea has experienced remarkable growth during the past few decad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food-service industry upon the national economy by using an input-output analysis and to find the industrial position of the food serv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광산업의 경우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여 관광산업의 가치를 가시화하는 많은 연구가(Kim 1998;' Lee 1999; Ryu 1999, 2000; Lee 1999, 2003) 등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더 나아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관광 산업의 관한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외식산업이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는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한국은행에서 작성한 '95년 산업연관표의 생산자 가격표를 중심으로도출된 5개의 유발액 및 유발인원 그리고 유발계수와 유발의존도를 도출하여 외식산업이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외식산업이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산업적 위치를 파악하였고 외식산업의 중요성을 가시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첫째, 산업연관표의 168부문 생산자가격표(경상표)를 기준으로 외식산업 1부문이 유발하는 생산유발계수.
  • 본 연구는 199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외식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후 국내에서 차지하는 외식산업의 산업적 위치를 파악하였고, 국가의 주요산업으로서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째 최종수요 항목별 외식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68부문 중 50위, 수입유발계수는 28위, 부가가치유발계수는 32위, 취업 유발계수는 2위, 고용유발계수는 5위로, 전 산업 중 비교적 높은 순위의 유발계수를 도출하여 이제는 業이 아닌 국가의 주요 산업으로써 위치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한국은행에서 작성한 '95년 산업연관표의 생산자 가격표를 중심으로도출된 5개의 유발액 및 유발인원 그리고 유발계수와 유발의존도를 도출하여 외식산업이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외식산업이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산업적 위치를 파악하였고 외식산업의 중요성을 가시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첫째, 산업연관표의 168부문 생산자가격표(경상표)를 기준으로 외식산업 1부문이 유발하는 생산유발계수.수입유발계수.
  • 그리고 국내 산업을 연계된 산업으로 분류 통합하여 각종 계수를 도출하여 대상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연관표에서 분류 또는 통합 방식의 기준에 따라 각종 승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나(Kim 1998), 경제적인 파급효과 추계를 위해서 각 산업의 독립화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Son 1997) 본 연구에서는 한국 표준 산업 분류에 의해 산업 분류가 되어있는 168부문을 기준으로 외식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기로 했다. 외식산업이라는 단어는 한국의 산업을 분류한「한국표준산업분류표」상이나「식품위생법」상의 영업의 종류에서도 국세청의「표준소득률표」상에도, 「관광진흥법」상의 편의 시설업에도 존재하지 않는다(Na 1998).

가설 설정

  • 첫째 외식산업에 대한 분류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겠다. 최근 들어 외식산업은 맞벌이 가정의 증가, 사업체 집단급식의 증가, 학교급식의 확대실시, 주 5일제 근무의 확산, HMR (Home Meal Replacement) 과 반조리 가공식품의 확산 등을 포함한 시대 흐름에 맞는 외식산업의 정의를 반영하여 분류 체계를 재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ang KH (2000): Theory of input-output analysis, pp.3-5, Yeon-am press, Seoul 

  2. Kim NJ (1998): Comparative analysis of Tourism multiplies by aggregation of industries on Input-output analysis. The Tourism Sciences of Korea 22 (1): 74-76 

  3. Na JK (1998): Understanding of food service industry, Paek-san press, Seoul 

  4. Roo KH (2000): The structural change and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Korea tourism industry, doctoral thesis, the kyonggi University of Korea, p.47 

  5. Roo KH, Lee KW (1999): The economic effect of tourism. Korea Tourism Research Institute, pp.11-12 

  6. Park SH (2001): Food service is a industry, Nolboo madang, Nolboo Inc. 

  7. Park HK (1999): A study of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the kyongnam University of Korea, p.4 

  8. Son TH (1997): A Review of Tourism Input-Output Models in Tourism Studies. The Tourism Sciences of Korea 20 (23): 15 

  9. Jeong JY (1998): An introduction to economic, pp.119-123, Dae-kyong press, Seoul 

  1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An yearbook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1. The Bank of Korea (2001): 1998 input-output tables (extened table), p.10 

  12. The Bank of Korea (1987) : Explanation of input-output analysis-principle and usage, pp.17-21 

  13. The Bank of Korea (1998): Input-output tables CD-ROM 

  1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15. Chenery HP, Clark PG (1959): Interindustry Economic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105-106 

  16. Fletcher JE, Input-output analysis and tourism impact studi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16(4): 514-529 

  17. Leontief W (1936): Quantitative Input-Output Relations in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X VIII, Aug, pp. 105-125 

  18. Richardson HW (1972): Input-output and regional economics, John Willey & Sons, p.52 

  19. Schultz S (1976): Intersectional comparison as an approach to the Identification of key sectors in Advances in Input-Output Analysis. Polense and Skolka pp.65-67 

  20. William HM (1965): The elements of input-output analysis, New York, Random House, p.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