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제빵 발효 Starter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Natural Bread-making Star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245 - 1252  

이종열 (건국대학교 응용생물화학과) ,  이시경 (건국대학교 응용생물화학과) ,  조남지 (혜전대학 호텔제과제빵과) ,  박원종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rter활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밀가루 단백질 함량, 수분첨가비율 및 다양한 영양원을 첨가하면서 starter에 내재된 미생물의 생육과 pH및 적정산도의 변화정도를 관찰하면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는 starter배합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또한 완성된 starter를 빵 제조에 효모 대신 첨가하면서 식빵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여 천연 제빵 발효종으로서 starter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밀가루에는 효모보다 젖산균의 수가 100배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pH 및 적정산도의 변화가 적어 미생물의 생장에 더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냈으며 단백질 함량은 강력분 수준(12.0%이상)이 starter 제조에 적합하였다. 수분 첨가함량이 60% 정도인 경우는 110% 이상인 경우보다 균수가 10배 이상 적었으며 수분함량이 200%인 경우는 pH및 적정산도의 변화가 커서 오히려 starter의 활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정 수분함량은 강력분인 경우 110%가 적정하였다. 식염 및 설탕의 첨가는 효모 및 젖산균의 수를 크게 증가시켰으나 올리고당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설탕의 농도가 10%이상 그리고 식염의 농도가 2%이상으로 증가되면 삼투압의 영향으로 균의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tarter의 시험구 중 강력분을 사용하고 수분함량 110%에 설탕 5% 및 식염 1%을 사용한 starter의 발효 팽창력 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Starter를 첨가하여 만든 빵은 효모를 첨가하여 만든 빵에 비하여 체적을 제외한 모든 품질 특성에서 우수하였으며 특히 관능 특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강력분, 수분 110%, 설탕 5% 및 식염 1%를 배합하여 3일 동안 3$0^{\circ}C$에서 refresh시킨 starter는 실제 제빵시 효모의 효과적인 대체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arter formulation was developed to substitute a baker's yeast with natural starter when manufacturing bread products. To develop an active starlet, starter was formulated varying with types of wheat flours, level of water contents and various nutrients. Activities of starter were investigat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arter의 활성을 최대로 나타낼 수 있는 밀가루 단백질 함량, 수분 첨가 비율 및 영양원을 탐색하여 적정 starter 배합비율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식빵 제조에 첨가하면서 식빵의 품질 특성 및 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starter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Moisture content of all flours was controlled to 14.0%.
  • 1)Score from 5=very good to l=very poor.
  • 3)Same letter 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oerry W. 1998. Sourdoughs and breads. In Technical Bulletin. American Institute of Baking. Vol XX, Ch 7, p 1-3. 

  2. Anonymous. 1982. Leavened with life. Universal Foods Ltd., Wisconsin, USA. 

  3. Sugihara TF. 1977. Non-traditional fermentations in the production of baked goods. Baker's Digest 51: 76-80. 

  4. Rajalakshimi R, Vanaja K. 1967. Chemical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fermentation on the nutritive value of foods prepared from rice and grains. Brit J Food Sci 21: 467-473. 

  5. Kline L, Sugihara TF. 1971. Microorganism of San Francisco sour dough bread process. Applied Microbiol 21: 459-465. 

  6. Barber S, Baguena R, Martinez-Anaya MA. 1985. Microflora de la masa madre panaria. Rev Agroquim Technol Aliment 25: 447-456. 

  7. Magoffin CD, Hoseny RC. 1974. A review of fermentation. Baker's Digest 48: 22-27. 

  8. Sugihara TF, Kline L, Miller MW. 1971. Microorganism of San Francisco sour dough bread process. Applied Microbiol 21: 456-458. 

  9. Monthly Bakers Magazine. 10. 2001. B&C World Inc, Seoul. p 46. 

  10. Cho NJ, Lee SK, Kim SK, Joo HK. 1998. Effect of wheat flour brew with Bifidobacterium bifidum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Kor J Food Sci Technol 30: 832-841. 

  11. Kim SY, Noh BS, Oh DK. 1997. Repeated fed-batch fermentation of wheat flour solution by mixed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Sci Technol 29: 343-347. 

  12. Cho NJ. 1998. The effect of composition of flour brew on growth and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 Nutr 11: 683-688. 

  13. Doerry W, Hutz E. 2000. Sourdough starters and breads. Technical Bulletin. American Institute of Baking. Vol XXII, Ch 3, p 1-4. 

  14. AACC. 1990. Approved method of the AACC.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p 110-116. 

  15. Finny KF. 1984. An optimized straight dough bread 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 61: 20-27. 

  16. Manual of Interpretation of Crumbscan Output. 2000. AIB, Kansas, USA. 

  17. Larmond E. 1970. Methods for sensory evaluation of food. Canada Department of Agriculture, Canada. Publication No. 1284, p 1-3. 

  18. Lorenz K. 1983. Sourdough process. Baker's Digest 57: 41-45. 

  19. Cho NJ. 2000. Bread-making process. In Baking Lab. Manual. Yurim Publishing Co., Seoul. p 38-39. 

  20. Kim DH. 1998. Browning reaction. In Food Chemistry. Tam Ku Dang, Seoul. p 417. 

  21. Cho NJ. 1999. Bread-making process by use of Bifidobacterium sp. Korean Patent 0232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