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수 수요를 고려한 DAWAST 모형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the DAWAST Model Considered Return flow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6 no.6, 2003년, pp.1097 - 1107  

노재경 (충남대학교 생물자원공학부 지역환경토목)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념적 집중형 일 유출모형인 DAWAST모형을 선정하여 용수수요를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기존 모형에 의한 모의 유량을 자연유량으로 보았고, 농업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 회귀수량을 더한 값을 하천유량으로 가정하였다. 농업용수의 수요량은 회귀수량이 논으로부터만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논 용수량만을 고려하였으며, 수정 Penman공식에 의한 증발산량, 침투량, 재배관리수량, 유효우량 등을 고려한 일별 감수심에 의해 일별로 계산하였다. 생활용수, 공업용수 수요량은 일 평균값에 월별 변동계수를 고려하여 일별로 계산하였다. 신뢰도가 높은 대청댐 운영실적의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용수수요를 고려한 DAWAST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농업용수의 회귀율은 35%, 생공용수의 회귀율은 65% 적용하였으며, 1983년∼2001년 연평균하여 강우량 1184.6 mm 관측 유입량 667.3 mm 모의 유입량 652.6 mm 로 용수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모의 유입량 606.8 mm에 비해 45.8 mm 가 높게 나타났으며, 모의/관측 유입량 비율도 90.9 % 에서 97.8% 로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WAST model was originally developed to consider the variation of water storage in the unsaturated soil zone and it is a conceptual lumped model. Return flows from agricultural, domestic and industrial water were included to the original result of model simulation to calibrate model paramet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다. 여기서는 비교적 신뢰도 높은 유입량 자료를 확보하고있는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DAWAST 모형을 선정하여 각종 용수의 회귀수를 고려하여 유출모의에 용수 수요의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 상대오차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에서는 용수수요를 고려하였을 때 전체 유출체적의 비교를 위해 유출체적비인 모의/관측 유출비율을 살펴보고, 일별 순별 관측-모의 등가선에 의해 모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0).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 

  2. 농림부 (1998),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설계기준, 관개편 

  3. 한국수자원공사 (1996). 낙동강 수계 실시간 최적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 

  4. 한국수자원공사 (2001). 전국 용수이용현황 자료집 

  5. 농업진흥공사 (1989). 소비수량 산정방법 실용화 연구 

  6. FAO (1977).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24 

  7. Duan, Q. (1991). A global optimization strategy for efficient and effective calibration of hydrologic models, Ph.D. dissertation, Univ. of Arizona, Arizona 

  8. Kang, Min Goo.Park, Seung Woo.Park, Chang Eun (2002), 'Comparison of automatic calibration for a tank model with optimization methods and objective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4, No. 7, pp.1-13 

  9. Nelder, J. A. and Mead R. (1965), 'A simplex method for function minimization.' Computer Journal, Vol. 7, pp.308-313 

  10. 김철겸.김현준 (2003), 'SWAT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유출 및 유사량 추정.' 2003년도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519-522 

  11. 김현준 (2001). 2매개변수 쌍곡선형 일유출 모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노재경 (1991). 토양수분저류에 의한 유역 일 유출량 모형.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노재경 (1999). 'DAWAST 일 유출 모의 시스템.' '99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69-74 

  14. 노재경.고익환 (2003), '일 유출해석을 위한 논용수 수요량 추정 모형 개발.'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435-438 

  15. 이상호.안태진.윤병만.심명필 (2003), '적설 및 융설 모의를 포함한 탱크모형의 소양강댐 및 충주댐에 대한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36, No.5, pp.851-861 

  16. 장대원.김형수.서병하 (2003), 'SWAT 모형을 이용한 보청천 유역의 장기 유출분석과 수질 모델링.' 2003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초청 및 구두발표 논문초록집 및 CD, p167 

  17. 장철희.김현준.김남원 (2003), 'BASINS SWAT을 이용한 소유역 및 HRU 구분에 따른 유출량 변화 분석-용담댐 유역을 중심으로-.' 2003년도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467-4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