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끌그물로부터 탈출한 소형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관리형 어구어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서, 트롤망에서 양망 후 투기되는 어류의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이 한국 남해안 및 제주도 근해에서 이루어졌다. 트롤망의 끝자루를 탈출한 소형어류를 선내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수용하여 시간대별로 생존지속 시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롤 어구로부터 어획된 어류를 선상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넣어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살오징어, 한치, 갈치, 달고기, 삼치, 참조기 및 눈볼대등 대부분의 어종은 양망후 즉시 사망하였다. 2 두툽상어, 붕장, 가오리, 말쥐치, 부채새우 등은 수조내에서 장시간 생존하였으므로 이들 어종은 투기된 후에 생존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3.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등가시치는 수조에 수용된지 6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97% 의 두툽상어와 72% 의 붕장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4. 끝자루를 빠져나온 가오리는 수조에 수용된지 60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으나, 25% 의 말쥐치와 문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5. 홍감팽의 경우 탈출장치와 끝자루를 빠져나온 개체간의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끝자루를 빠져나온 홍감팽은 72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것의 8.3%는 72시간 이상 생존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개체의 생존율이 다소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 6. 그러나 부채새우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끝자루를 탈출한 새우의 생존율이 75%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부채새우의 생존율 33%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탈출후의 어종별 생존 특성에 대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of fishes discarded after hauling from the trawl and to develop the fishing gear and method for fisheries management which can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young fishes escaped from the trawl codend in offshore korean southern 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끌그물로부터 탈출한 소형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관리형 어구어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서, 트롤망에서 양망 후 투기되는 어류의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이 한국 남해안 및 제주도 근해에서 이루어졌다. 트롤망의 끝자루를 탈줄 한 소형어류를 선내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수용하여 시간대별로 생존지속 시간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근해 수역에서 조업하고 있는 트롤 어선에서 어획된 후 선상에서 투기되는 각종 어류의 생존율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남해안 및 제주도 주변 수역에서 조업 시험을 행하고 투기어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lverson, D. L., Freeberg, M. H., Murawski, S. A. and Pope, J. G. (1994) : A global assessment of fisheries by-catch and discards,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No. 339, FAO, Rome. 

  2. Armstrong, M. J., Briggs, R. P. and Rihan, D. (1998) : A study of optimum positioning of squaremesh escape panels in Irish Sea Nephrops trawls, Fish. Res., No. 34, 179-189. 

  3. Broadhurst, M. K., Larsen, R.B., Kennelly, S. J. and McShane, P. E. (1999) : Use and success of composite square-mesh codends in reducing bycatch and in improving size-selectivity of prawns in Gulf St. Vincent, South Australia, Fish. Bull., Vol. 97, No. 3, 434-448. 

  4. Otterlind, G. (1960) : Some observation on the survival of released trawl-caught cod, ICES Comparative Fishing Committe, CM, No. 204. 

  5. Madsen, N., Moth-Poulsen, T. and Lowry, N. 1-14. 

  6. Sangster, G. I. (1989) : Techniques for assessing fish damage and survival after escape from trawl codend, Scottish fisheries working paper, No. 9/89. 

  7. Sangster, G. I. (1992) : The survival of fish escaping from fishing gears, ICES CM, 1992 /B: 30. 

  8. Sangster, G. I., Lehmann, K. and Breen, M. (1996) : Commercial fishing experimentsto assess the scale damage and the survival of haddock and whiting after escape from four sizes of diamond mesh codends, Fish. Res. 25, 323-345. 

  9. Soldal, A. V., Isaksen, B., Marteinssor, J. E. and Engas, A. (1991) : Scale damage and survival of cod and haddock escape from a demersal trawl, ICES CM/B: 44. 

  10. Stratoudakis, Y., Fryer, R. J., Cook, F. M. and Pierce, G. J. (1999) : Fish discarded form Scottish demersal vessels : Estimators of total discards and annual estimates for targeted gadoids,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Vol. 56, No. 5, 592-605. 

  11. Tamsett, D., Janacek, G. and Emberton, M. A. (1999) : Comparison of methods for onboard sampling of discards in commercial fishing, Fsih. Res., 42, 127-135. 

  12. 大谷撤也.反田 實.西川哲也.佐藤泰弘(1997) : 小型底曳網混獲幼稚魚の生存率を高ぬるたぬの統水式選別水槽の使用例とさの效果, 月刊海洋, 東京, 海洋出版株式會社, Vol. 29, No. 6, 380-384. 

  13. 香川 哲(1997) : シャワ一 方式によゐ小型底曳網漁業での再放流シャコの生存率の向上, 月刊海洋, 東京, 海洋出版株式會社, Vol. 29, No. 6, 385-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