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SBL 방식과 핑거동기 방식을 조합한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의 개발 (2) -시스템의 정도 평가 -
Development of Biotelemetry Method by Combining the SSBL Method and the Pinger Synchronizing Method (2) - Evaluation for Precision of System -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39 no.4, 2003년, pp.318 - 325  

박주삼 (여수대학교) ,  고탁창언 (동경수산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B방식과 시스템을 수조실험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핑거와 비슷한 펄스를 하이드로폰으로부터 발생시켜 수파기의 협빔과 광빔의 양빔 모드의 위상빔어레이 중심간 거리를 보정하여 전후, 좌우의 위상빔에 대한 위치측정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위치오차는 협빔 모드의 전후위상빔에서 6.4cm, 좌우위상빔에서 6.3cm로 위치측정 정도는 고정도 이었으며, 광범 모드에서는 각각 24cm, 23cm로 협빔 모드보다 위치측정 정도는 4 배 정도 낮았다. 2) 핑거를 이미 계산된 위치로 이동시켜 핑거동기방식에 의한 거리정보와 SSBL 방식에 의한 방위정보를 자동, 연속으로 측정하였으며, 핑거동기 방식에 의한 핑거의 측정거리, SSBL. 핑거동기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에 의한 핑거의 측정위치, 핑거의 측정이동속도를 구해 기존의 값과 비교하여 새롭게 개발한 방식과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핑거동기 방식에 의해 구한 핑거의 측정거리 오차는 1.8cm, SSBL. 핑거동기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에 의해 구한 핑거의 측정위치 오차는 7.7cm로 고정도로 측정이 기능하였으며, 핑거의 측정이동속도는 기존의 값에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w biotelemetry method and system that the installation and the treatment of equipment is convenient and the instantaneously detailed position of the fish attached the pinger is able to track comparatively easily had been developed, an availabilities of it were verified in water tank by using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핑거와 비슷한 펄스를 하이드로폰으로부터 발생시켜 수파기의 협빔과 광빔의 양빔 모드의 위상 빔 어레이 중심간 거리를 보정하여 전후, 좌우의 위상빔에 대한 위치측정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위치 오차는 협빔 모드의 전후위상빔에서 6.
  • SPB방식과 시스템을 수조실험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1994)을 응용하여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개발한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은 선박으로부터 어류(핑거)의 3차원 위치 계측이 가능하도록 핑거동기 방식에 의해 계측한 거리정보와 super short base line (SSBL) 방식에 의해 계측한 방위정보를 조합하였다. 이 방식을 SSBL·핑거동기 바이오텔레메터리 (SSBL and pin­ ger synchronizing biotelemetry : SPB) 방식이라고 하였다.
  • 협빔 모드에서는 검지빔폭이 29º이고, 수파기에 대해 하이드로폰을 거리 5m 떨어뜨려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파기의 지향성 주축으로부터 상하, 좌우방향으로 각각 1m밖에 계측할 수 없었다. 광빔 모드에서는 검지빔폭이 76º로 넓은 폭을 측정할 수 있지만, 수파기의 설치한 수심이 2.64m이기 때문에 필요 없는 반사나 잔향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수파기의 지향성 주축으로부터 상하, 좌우방향으로 각각 L5m 까지 측정하였다.
  • 2m의 간격으로 일단 실험대를 정지시켜 신호수록 후에 다음의 위치로 이동시켜 측정위치를 연속으로 얻을 수 없었다. 기록에서 누락된 다음의 거리와 위치는 누락된 시간동안의 펄스반복 수를 계산하여 구하였다.
  • 기준위치는 하이드로폰의 위치를 수파기의 협빔 모드의 중심(협빔 모드에서 전후, 좌우의 위상차가 0°가 되는 곳)에 맞추어 놓고, 수파기에 대한 하이드로폰의 최초의 위치로서 이용하여 그로부터 하이드로폰의 상하, 좌우방향의 위치 (rh1, rh2, ...)에 있는 거리 (rs1, rs2, ...)와 위치각도 (θs1, θs2, ...)를 실험대 위치 제어장치로부터 읽어 구하였다. 측정위치는 하이드로폰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0.
  • 본 연구에서는 고정도 계측이 가능하도록 대상의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수조에서 하이드로폰을 이용하여 시작시스템의 보정을 하였으며, 그 시스템의 위치측정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SPB 방식과 시스템의 유효성과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핑거를 이용하여 거리, 위치 및 속도를 측정하여 기준 값과 비교하는 검증실험을 하였다.
  • 처음에 실험대에 부착한 핑거의 위치는 수파기의 협빔 모드의 중심에 맞추어 놓고 수파기와의 거리는 5m 되도록 하였다. 실험대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각각 1m 씩, 전후 방향으로 5m~7m 이동시키며 핑거동기 방식에 의한 거리정보와 SSBL 방식에 의한 방위정보를 자동, 연속으로 수록하여 보다 실제적인 실험을 하였다.
  • 위치측정 정도를 조사하였다. 위상빔 어레이 중심간 거리의 설계치는 실제 수파기의 제조과정이나 소자의 음향, 기계특성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여 위치측정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먼저, 시스템의 보정을 행하여 그 보정치를 이용하여 전후, 좌우 위상빔에 대한 하이드로폰의 기준위치와 측정위치의 측정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이드로폰에 의한 실험 상황의 모식도는 Fig.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주하는 선박에 의해 넓은 범위의 추적이 가능하며, 장비의 설치 및 취급이 간편하고, 어류의 순간적인 상세한 추적이 가능한 새로운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을 개발하였으며(박·占澤, 2003), 바이오텔레메터리 음향계의 설계방법(朴·占澤, 2002)과 스프리트빔 방식 개량어군탐지기의 송수파기 설계방법(占澤 et al., 1994)을 응용하여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개발한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은 선박으로부터 어류(핑거)의 3차원 위치 계측이 가능하도록 핑거동기 방식에 의해 계측한 거리정보와 super short base line (SSBL) 방식에 의해 계측한 방위정보를 조합하였다.
  • )를 실험대 위치 제어장치로부터 읽어 구하였다. 측정위치는 하이드로폰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0.5m씩 측정점을 이동시켜 계측시스템으로 계측하였다.
  • 핑거에 의한 검증실험은 수파기의 협빔 모드에 대해 실시하였다. 실험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실험대를 정지하지 않고도 연속으로 핑거 음을 수록할 수 있었다.
  • 핑거에 의한 검증실험은 하이드로폰 대신에 핑거를 실험대에 부착하여 협빔 모드에서 실시하였다. 사용한 핑거의 사양은 Table 1과 같다.
  • 하이드로폰에 의한 기초실험은 수파기의 협빔과 광빔의 양빔 모드에 대해 실시하였다. 협빔 모드에서는 검지빔폭이 29º이고, 수파기에 대해 하이드로폰을 거리 5m 떨어뜨려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파기의 지향성 주축으로부터 상하, 좌우방향으로 각각 1m밖에 계측할 수 없었다.
  • 하이드로폰에 의한 실험에서는 전후, 좌우의 위상빔 어레이 중심간 거리의 보정을 하였으며, 광빔 모드와 협빔 모드의 전후, 좌우 위상빔에 대한 하이드로폰의 위치측정 정도를 조사하였다. 위상빔 어레이 중심간 거리의 설계치는 실제 수파기의 제조과정이나 소자의 음향, 기계특성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여 위치측정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먼저, 시스템의 보정을 행하여 그 보정치를 이용하여 전후, 좌우 위상빔에 대한 하이드로폰의 기준위치와 측정위치의 측정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 5ms로 짧게 하였다. 하이드로폰으로부터 소형 핑거 음과 비슷한 펄스를 송신시켜 신호발생기의 트리거 시각과 수파기로 수신한 시각으로부터 하이드로폰까지의 거리를 구하였다. 또한, SSBL 방식의 각 위상빔 어레이로 수신한 신호의 전후 위상차 δx와 좌우 위상차 δy로부터 수파기에 대한 하이드로폰의 위치각도 θ를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은 수심 10m, 폭 10m, 길이 10m의 구면파 수조에서 하였다. 실험 장치 및 계측 시스템은 Fig.

데이터처리

  • 결과의 해석에는 보정한 위상빔 어레이의 중심간의 거리 d를 이용하여 핑거동기 방식에 의한 측정거리, SPB방식에 의한 측정위치, 핑거의 측정이동속도를 구해 실험대의 제어장치로부터 읽은 값과 비교하여 SPB 방식과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위치측정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SPB 방식과 시스템의 유효성과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핑거를 이용하여 거리, 위치 및 속도를 측정하여 기준 값과 비교하는 검증실험을 하였다.

이론/모형

  • 하이드로폰으로부터 소형 핑거 음과 비슷한 펄스를 송신시켜 신호발생기의 트리거 시각과 수파기로 수신한 시각으로부터 하이드로폰까지의 거리를 구하였다. 또한, SSBL 방식의 각 위상빔 어레이로 수신한 신호의 전후 위상차 δx와 좌우 위상차 δy로부터 수파기에 대한 하이드로폰의 위치각도 θ를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 전후 위상차 δx와 좌우 위상차 δy는 4분 샘플링 상호관계법을 이용하였다. 4분 샘플링 상호관계법에 의해 δx와 δ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rnold, G.P. and Metcalfe, J.D. (1989): Acoustic telemetry: Progress and potential in understanding fish behaviour, Proc. I.O.A., 11, 96-103. 

  2. Bertrand, A., Josse, E., and Masse, J. (1999): IIn situ acoustic target-strength measurement of bigeye (Thunnus obesus) and yellofin tuna (Thunnus albacares) by coupling split-beam echosounder observations and sonic tracking, ICES J. Mar. Sci., 56, 51-60. 

  3. Greer Walker, M., Harden Jones, F.R., and Arnold, G.P. (1978-1979): The movements of plaice (Pleuronectes platessa L.) tracked in the open sea, J. Cons. into Explor. Mer, 38, 58-86. 

  4. Greer Walker, M, Mitson, R.B., and Storeton-West, T. (1971): Trials with a 

  5. Hawkins, A.D., MacLennan, D.N., Urquhart, G.G., and Robb, C. (1974): Tracking cod Gadus morhua L. in a Scottish sea loch, J. Fish BioI., 6, 225-236. 

  6. Hawkins, A.D. and Urquhart, G.G. (1983): Tracking fish at sea. In: MacDonald, A.G. and Priede, I.G. (eds) Experimental Biology at sea, Academic Press, London, 103-166. 

  7. Ireland, L.C. and Kanwisher, J.W. (1978): Underwater acoustic biotelemetry: Procedures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behavior and physiology of free-swimming aquatic animals in their natural environments, In: Mostofsky, D.I. (ed) The Behavior of Fish and Other Aquatic Animals, Academic Press, New York, 341-379. 

  8. Mitson, R.B. and Storeton-West, T.J. (1971): A trasponding acoustic fish tag, The Radio and Electronic Engineer, 41, 483-489. 

  9. Traynor, J.J. and Ehrenberg, J.E. (1990): Fish and standard-sphere target-strength measurements obtained with a dual-beam and split-beam echo-sounding system, Rapp. P.-v. Reun. Cons. int. Explor. Mer, 189, 

  10. Urquhart, G.G. and Stewart, P.A.M (1993): A review of techniques for the observation of fish behaviour in the sea, ICES mar. Sci. Symp., 196, 135-139. 

  11. Voegeli, F.A., Lacroix, G.L., and Anderson, J.M. (1998): Development of miniature pingers for tracking Atlantic salmon smolts at sea, Hydrobiologia, 371-372, 35-46. 

  12. 韓軍 (1994): 同期法超音波ピンガシステムの開發とその應用に關する硏究. 博士論文, 東京水産大學大學院. 東京. 

  13. 古澤昌彦. 澤田浩一. 有路實. 山谷恭三. 倉都健治(1994) : 計量魚探機用複合ビ-ム送受波器の開發, 海洋音響學會講演論文集, 63-66. 

  14. 朴柱三. 古澤昌彦 (2002) : 超音波バイオテレメトリの音響系の評價および設計方法, 日本水産學會誌, 68, 334-344. 

  15. 박주삼. 古澤昌彦 (2003): SSBL 방식과 핑거동기 방식을 조합한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의 개발(1)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9, 218-2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