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질환자를 위한 가정 호흡재활 단기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Short-term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5, 2003년, pp.570 - 579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 연세대학교 가정간호) ,  김순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박희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방소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이춘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김소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effects of a short-term pulmonary program on lung function, exercise tolerance,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ung patients. Method: Randomized controlled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outcome measures wer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이하 ATS)에서 제시한 호흡재활의 지침(ATS, 1999)을 근거로 만성 폐질 환자들이 가정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가정 호흡 재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만성폐질환자들의 증상완화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호흡재활 영역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만성폐질환을 진단 받고 통원치료를 받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가정 호흡 재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것이 대상자의 폐기능, 운동내구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실험 연구로써,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 호흡기학회(ATS, 1999)에서 제시한 호흡 재활 지침과 선행 연구들로부터 분석된 내용을(Oh, Kim, Kim, Park & Lee, 2002)토대로, 통원 치료를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환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가정 호흡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단기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폐기능 상태는 중증 정도 (FEW 45.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폐질환자를 위한 단기적 가정 호흡 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실험군과 대조군간 주요 종속변수의 사전 검사치가 동질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폐기능, 운동 내구력, 건강관련 삶의 질 -2] 측정값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에 제시되었다.
  •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및 두 군간 이의 동질성 검증 결과는 에 제시되었다.

가설 설정

  •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군은 프로그램 수행 후 건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군은 프로그램 수행 후 운동내구력이 향상될 것이다.
  •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군은 프로그램 수행 후 폐기능이 향상될 것이다.
  •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이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ACVPR (1998). Guidelines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2nd ed.). Chicago: Human Kinetics 

  2. American Lung Association (1996). Lung disease data. New Yark: American Lung Association 

  3. American Thoracic Society (ATS) (1999). Pulmonary rehabilitation-1999. Am J Respir Crit Care Med, 159(5), 1666-1682 

  4. Behnke, M., Taube, C., and Lehnig, K. B., et al. (2000). Home-based exercise is capable of preserving hospital-based improvements in severe COPD. Respir Med, 94, 1184-1191 

  5. Belza, B., Steele, B. G, Hunziker, J., Lakshminaryan, S., Holt, L., & Buchner, D. M. (2001).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anry disease. Nur Res, 50(4), 195-202 

  6. Bendstrup, K. E., Ingemann, J., Holm, S., & Bengtsson, B. (1997). Out-patient Rehabilitation Improv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Exercise Toleranc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ur Res J, 10, 2801-2806 

  7. Boueri, F. M., Bucher-Bartelson, B. L., Glenn, K., & Make, B. J. (2001). Quality of life measured with a generic instrument (Short form-36) improves following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OPD. Chest, 119, 77-84 

  8. Booker, H. A. (1984). Exercise training and breathing control in patients with chronic airflow limitation. Physical Therapy, 70, 258-260 

  9. Borg, G. (1982). Psychophysical bases of perceived exertion. Med Sci Sports Exerc, 14, 377-381 

  10. Camp, P. G., Appleton, J., & Reid, W. (2000). Quality of life after pulmonary rehabilitation: Assessing change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Physical Therapy, 80(10), 986-995 

  11. Choe, K, H., Park, Y. J., Cho, W. K., Lim, C. M., Lee, S. D., Koh, Y. S., & et al. (1996). The effect of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 43 (5), 736-745 

  12. Casaburi, R., Porszasz, J., Burns, M.R., Carithers, E.R., Chang, R.S., & Cooper, C. B. (1997). Physical benefits of exercise training in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55, 1541-1551 

  13. Feinleib, M., Rosenberg, H., Collines, J. G., Delozier, J. E., Pokras, R., & Chevarley, F. M. (1989). Trends in COPD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Am Rev Respir Dis, 140, S9-18 

  14. Green, R. H., Singh, S. J., Williams, J., & Morgan, M. (2001).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four week versus seven week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56(2), 143-145 

  15. Guyatt, G., Berman, L, Townsend, S., Pugsley, S, & Chambers, L. (1987). Long-term outcome after respiratory rehabilitation. Can Med Assoc J, 137(15), 1089 -1095 

  16. Hernandez, M.T., Rubio, T. M., Ruiz, F. O., Riera, H, Gil, R. S., & Gomez, J. C.. (2000). Results of home-based train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COPD. Chest, 118(1), 106-114 

  17. Kim, A. K. (2001). The study on the effects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COPD patients. J Korean Acad Nurs, 31(2), 257-267 

  1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2002). http://www.nso.go.kr 

  19. Lush, M. T., Janson-Bjerklie, S., & Carrieri, V. K. (1988). Dyspnea in the ventilator assisted patient. Heart Lung, 17, 528-535 

  20. Oh, E. G., Kim, S. H., Kim, S. H., Park, H. O., & Lee, C. H. (2002).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J Korean Acad Adult Nurs, 14(3), 368-377 

  21. Strijbos J. H., Postma, D. S., van Altena R, Gimeno, F, & Koeter, G. H. (1996-a). A comparison between outpatient hospital-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and a home-care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OPD-a follow-up of 18 months. Chest, 109(2), 366-372 

  22. Strijbos, J. H., Postma, D. S., & van Altena, R. Gimeno, F., & Koeter, G. H. (1996-b). Feasibility and effects of a home-care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OPD. J Cardiopulm Rehab, 16(6), 386-393 

  23. Tiep, B. L. (1997). Disease management of COPD with pulmonary rehabilitation. Chest, 112(6), 1630-1656 

  24. Wijkstra, P. J., Ten Vergert, E. M., van Alterna, R. Otten, V., Kraan, J., Postma, D. S., & Koeter, G. H. (1995). Long term benefits of rehabilitation at home on quality of life and exercise tole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50, 824-828 

  25. Wijkstra, P., van der Mark, T. W., Kraan, J., van Alterna, R., Koeter, G., & Postma, D. S. (1996). Long-term effects of home rehabilitation on physical performanc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 Crit Care Med, 153, 1234-12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