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새로운 유전자의 발굴 및 기능분석
Zebrafish as a Tool for Function Genomics 원문보기

발생과 생식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v.7 no.2, 2003년, pp.69 - 80  

김현택 (충남대학교 생물학과) ,  김철희 (충남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량의 발생 유전학적 연구가 가능한 척추동물로서 최근 제브라피쉬가 새로운 동물모델로 급부상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돌연변이들로부터 새로운 유전자들이 발굴되어지고 있으며, 인간 유전체기능 분석 수단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신경계의 형성과 분화에 이상이 있는 hendless와 mind bomb이라는 두 가지 돌연변이주에서 positional cloning에 의한 원인 유전자의 발굴과 기능 분석의 예로써 현재 제브라피쉬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headless의 원인 유전자로 Tcf-3가 밝혀졌으며, 초기 발생단계에서 Wnt 신호전달이 두뇌의 형태형성과 영역 결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mind bomb에서의 비정상적인 신경세포의 운명 결정은 lateral inhibition과 Notch 신호전달의 결함에 의한 것이고, 그 원인 유전자는 Notch ligand인 Delta에 결합하는 새로운 ubiquitin E3 ligase로 밝혀졌다. 이러한 돌연변이를 통한 연구는 현재 인간 질환모델의 개발이라는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zebrafish(Danio rerio) is a pre-eminent vertebrate model system for clarification of the roles of specific genes and signaling pathways in development. We show examples of positional cloning in two developmental mutants in zebrafish. headless: The severe head defects in headless(hdl) mutants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의 이러한 연구 분위기는 초파리나 선충과 같은 동물 모델에 비교하면 20~30년 전의 상황에 해당하며, 또한 그동안 초파리나 선충이 생명과학의 전반에 미친 영향을 되돌아볼 때, 인간과유전체 구성이 매우 유사한 이 모델 동물이 향후 생명과학의 발전에 미칠 파급효과는 짐작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돌연변이들을 이용하여 실제 제브라피쉬를 인간의 질환 연구 모델로 사용하고 있는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현재 세계적인 연구실들은 positional cloning을 통하여 돌연변이체의 원인 유전자를 밝힘으로써 새로운 기능성 유전자를 확보하고 나아가 관련 질환연구, 신약개발의 타겟 발굴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제 갓 확립된 수천종의 제브라피쉬 돌연변이주들 중에서 최근 positional cloning에 성공한 두 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하며, 후반부에서는 인간질환 모델로서의 제브라피쉬의 연구 현황에 대하여 최근 보고된 결과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최근 제브라피쉬를 이용하여 암 발생(cancer development) 의 기초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이투어지고 있다. 이런 연구들의 목적은 암 발생단계 동안 또는 전이과정 (metasta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이나 새로운 유전자를 밝혀 궁극적으로 암 발생과정을 억제할 수 있는 신약을 개발하는데 있다. 암관련 유전자 P53과 p53의 피드백 조절자의 하나인 Mdm2 유전자를 anti-sense morpholino를 이용한 knock-down 분석 결과, p53의 knock-down은 발생배에서 어떠한 표현형도 관찰할 수 없었지만 Mdm2의 knock-down-c* 심각한 성장저해와 p53 단백질의 증가를 유도하여 apoptosis를 보였으며, p53과 Mdm2의 double knockdown은 Mdm2의 knock-down에 의한 표현형을 완벽하게 회복시켰고, 이는 double knock-out mice에서와 동일한 결과였다(Langheimich et al, 2002).

가설 설정

  • Expression pattern and ectopic expression of zBarH gene in zebrafish. A. Expression of zBarH gene is detectable in the presumptive diencephalon at the end of gastrula stage. B.
  • Whole-mount in situ hybridization of late gastrula embryos with antisense delta probe. E. Lateral inhibition is affected in mind bom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