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 시험치를 이용한 단일 쇄석다짐말뚝의 Bulging 및 General Shear Failure시의 극한지지력 제안식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Formulas for Single Stone column in Bulging and General shear failure using in-situ test result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4 no.2, 2003년, pp.65 - 76  

천병식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원철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덕동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쇄석다짐말뚝(Stone Column Method)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이나 느슨한 사질토 지반의 개량에 사용되는 연약지반처리공법이다. 여러 가지 현장 시험과 실내 시험 결과, 쇄석다짐말뚝은 기존의 모래말뚝공법에 비해 지지력증대, 지반보강, 사면보강, 액상화 방지억제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약하여 설계 실무에서는 경험적인 방법이나 공식에만 의존하여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천병식, 2001). 또한 기존의 제안식에 대하여 검증 없이 사용되고 있어 기존에 제안된 지지력 이론식에 대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00 0호교 건설공사지역 A1교대 구간의 실제 정재하시험 데이터와 가덕, 광양, 울산 신항만건설현장에 대한 비배수전단강도($c_u$)를 이용하여 단일쇄석다짐말뚝에 대한 Bulging 및 General shear failure시의 기존의 이론식들을 각각 비교분석하고, 실제 재하시험에서 얻은 극한지지력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지력 이론식으로 구한 극한지지력이 정재하시험의 실측치 보다 매우 적은 결과를 보였으며, 원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c_u$)는 극한지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실내 및 현장실험을 통해 보다 정확한 지반물성치와 현장 재하시험을 통해 국내적용시 실용적인 극한지지력을 산정하고 기존의 이론식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one column is a soil improvement method and can be applicable for loose sand or weak cohesive soil. Since the lack of sand, stone column seems one of the most adaptable approach for poor ground as a soil improvement technique. However, this method was not studi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쇄석말뚝공법 적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현장에서 시행한 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주로 이용되고 있는 지지력 예측 이론들의 적용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쇄석말뚝의 내부마찰 각과 함께 쇄석다짐말뚝의 지지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설계 Parameter로 알려진 점성토의 비배수전단강도(cu)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4개 현장에서 측정된 비배수 전단강도(cu)를 이용하여 단일 쇄석다짐말뚝의 주요 파괴 Mechanism인 Bulging과 General Shear Failure시의 지지력을 산정한 후 cu값의 변화에 따른 지지력 값의 변화 경향을 각 지지력 이론별로 비교분석하였다.
  • 부산광역시 OO O호교 현장정재하시험은 치환율 20%, 30%, 40%의 쇄석말뚝에 대하여 각각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중재하판과 말뚝직경의 크기와 가장 유사한 치환율 40%일 때의 시험결과를 이용하였고 침하량 1 in일 때의 재하응력을 극한지지력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또한 정재하시험의 실측치와 비교하기 위해 표 3의 지반물성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제안식에 의한 극한 지지력을 계산하였다(표.

가설 설정

  • 6m 길이로 시공되어 비교적 긴 말뚝으로서 실제파괴는 General Shear 보다는 Bulging Failure 형태로 일어났을 가능성이 크지만 본 분석시에는 Bulging 외에도 General Shear 일 때의 이론지지력도 함께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사용된 지지력 이론식은 표 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Bulging Failure 시에서는 Gibson & Anderson(1961), Vesic(1972), Datye & Nagaraju(1975), Hughes & Withers(1974), Brauns (1978), Hansbo(1994)에 의해 제안된 식을 따른 것이고, General Shear Failure 시에서는 Madhav & Vitkar(1978), Brauns(1978)에 의해 제안된 식을 따른 것이다. 이때, 지반은 정규압밀조건으로 가정 하였고, 정지토압계수(K0)는 Brooker & Ireand(1965), Alpan(1967), Holtz & Kovacs(1981)이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표 4.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쇄석다짐말뚝공법의 장점은? 이에 따라 우리나라 건설현장여건에 맞는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뛰어난 연약지반 보강공법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쇄석다짐말뚝공법(Stone Column Method)은 6~40mm의 쇄석을 진동치환에 의해 다져서 Column형 토체를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연약한 점성토 지반이나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 시공시, 원지반과 쇄석다짐말뚝이 함께 거동하는 복합지반을 형성하여 복합강도를 가지게 되므로 지지력증대, 침하저감, 액상화 방지억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SCP공법에 비해 강성이 크고 쇄석재료의 확보 등이 용이하여 향후 연약지반 보강공법으로의 활용이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해외의 경우는 극한지지력, 침하저감효과 등에 관하여 여러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공법의 적용사례가 적고, 공법의 효과를 확보한 시험 사례가 거의 없으며, 국내 지반조건에 적용할 경우에 대한 상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쇄석다짐말뚝공법이란? 이에 따라 우리나라 건설현장여건에 맞는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뛰어난 연약지반 보강공법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쇄석다짐말뚝공법(Stone Column Method)은 6~40mm의 쇄석을 진동치환에 의해 다져서 Column형 토체를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연약한 점성토 지반이나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 시공시, 원지반과 쇄석다짐말뚝이 함께 거동하는 복합지반을 형성하여 복합강도를 가지게 되므로 지지력증대, 침하저감, 액상화 방지억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SCP공법에 비해 강성이 크고 쇄석재료의 확보 등이 용이하여 향후 연약지반 보강공법으로의 활용이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해외의 경우는 극한지지력, 침하저감효과 등에 관하여 여러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공법의 적용사례가 적고, 공법의 효과를 확보한 시험 사례가 거의 없으며, 국내 지반조건에 적용할 경우에 대한 상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Bulging Failure와 General Shear Failure의 주요 설계 물성치는? 2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Bulging Failure와 General Shear Failure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파괴 Mechanism 별로 제안된 지지력 예측이론들은 표 1에 요약하였다. 표 1에 의하면 Bulging Failure일 경우 주요 설계 물성치(Parameter)로는 초기 횡방향응력( σr0, initial in-situ lateral stress), 점성토의 비배수 전단 강도(cu), 쇄석다짐말뚝의 내부마찰각( φs ), 점토의 탄성계수(Ec), 점토의 포아슨 비( νc ), 등이 있으며 또한 General Shear Failure의 경우 주요 설계 물성치로는 점토의 비배수 전단강도(cu), 주변지반의 단위중량( γc ), 유효상재하중 등을 들 수 있다(표. 2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