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좀균과 비듬균에 대한 대나무 기름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on Trichophyton and Pityrosporum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18 no.3, 2003년, pp.113 - 117  

이숙경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1. 무좀균에 대한 각 시료들이 항균력으로 terbinafine > 100%-bamboo oil> 50%-bamboo oil순으로 나타내었다. 무좀균에 대한 Bamboo oil에 대한 영향으로는 T.M > E.F > T.R의 순서대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T.M에 대하여 가장 우수하게 나타내었다. 2. 비듬균에 대한 각 시료들이 항균력으로는 terbinafine > 100%-bamboo oil > 50%-bamboo oil순으로 나타내었다. 비듬균에 대한 Bamboo oil에 대한 영향으로는 P.O-75 > P.O-77의 순서대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P.O-75에 대하여 가장 우수 하게 나타내었다. 3. 50%-bamboo oil은 무좀균과 비듬균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는 겋으로 나타내었으au, 100%-Bmboo oilㅇ의 항균력과 비슷하게 나타내었으며, 경비 절감 측면에서 기대를 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velop a antimicrobial agent, bamboo oil was extracted by high temperature suction from dired bamboo truk and then antimictobial activities against Trichophyton and Pityrosporum are investigated. 1. Bamboo oil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effect on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으로 민간요법에서는 bamboo oil을 피부치료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항균력을 증명할 학술적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보의 일반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에 이어 피부에 직접 영향을 주는 무좀균과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yun, K.D., M.D., Suh, K.C., Song, J.Y, Nam, YJ. and Shin, H.C: Antifungal Effect of Griseofulvin to Various Dermato-phytes. Korea J Der., 4(1), 31-38 (1965) 

  2. Sung, Y.O., Seo, M.K. and Youn, K.S: A Study for the Survival Period of Dermatophyte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Korea J. Der., 36(1), 47-51 (1998) 

  3. Lee, H.J., Choi, W.P., Jun. M.H. and Kim, K.J: Studies on Dermatophytosis of Laboratory Rat.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18(2), 37-40 (1984) 

  4. Kim, S.T., Jun, J.B., S ,S.B: Clinal and Mycological OBeservations on Tinea Corporis. Korea J. Der., 20(5), 703-712 (1982) 

  5. Jun, J.B., Lee, W.J., Goo, D.W., Kang, H.G: A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y of Dermatophytoses in Soldiers of Kangwon Province. Korea J. Der., 39(8), 872-827 (2001) 

  6. Kim, J.S., Won, Y.H., Jun, I.K, Kim, Y.P.: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ies on Dermatomycosis. Korea J. Der.,30(1), 68-75 (1992) 

  7. Kim, B.H., Cho, B.K., Heo, W, and Jung, E.J: A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y of Tivea Capitis in Seoul Atea. Korea J. Den, 20(3), 383-388 (1982) 

  8. Lee, D.S., Kim, Y.H., Heo, W, and Cho, K.Y:A Case of Tinea Capitis Due to Microsporum gypseum. Korea J. Der., 22(6), 643-646 (1984) 

  9. Seo, S.B., Jung, S.R. and Oh, S.H: Distribution of Causative Fungi in Home Environment of Parients with Tinea Capitis Caused bu Microsporum Canis. Korea J. Der., 28(2),165-173 (1990) 

  10. Hang, S.O: Tinea Capitis in a Postmenopausal Woman. Korea J. Der., 38(4). 556-558 (2000) 

  11. Park, Y.M., Cho, S.H., Kim, J.w., Ha, S.J. and Ham, S.H: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induced by terbinafine 대한천식 및 알레르기학회지, 18(2), 330-334 (1998) 

  12. Kim, K.H., Kim, D.S., Lee, KS. etc(11): Efficacy of Oral Terbinafine in the Treatment of Onychomycosis. Korea J. Der., 31(4). 567-580 (1993) 

  13. Lee, H.T., Jang, H.S., Kim, C.G., Kwon, K.S. and Chung, T.A: Clinical Efficacy and Tolerabilityof Terbinafme I % Cream in Patients with Pityriasis Versicolor. Korea J Der., 18(1), 169-174 (1996) 

  14. Lee. K.J. and Kwon, J.M: Antimicrobial Activity of Zirconium Pyrithione Complex. 한국약제학회, 18(3), 107-111. (1998) 

  15. Olin Chemicals, $Omadine^R$ Antimicrobials for cosmetic preservation, Stamford, 1-5 (1980) 

  16. Nelson, J.D. and Hyde, G.A.: Sodium and zinc omadine antimicrobials as cosmetic preservative, Documentary, 96(87), (1981) 

  17. 식품의약품안정청: 식품첨가물공전, (주)문영사, 1998 

  18. Lin, C.C.S and Fung, D.Y.C:Effect ofBHA, BHT, TBHQ and PG on Growth and Toxigenesisof Selected Aspergilli. J Food Sci., 48, 578-583 (1983) 

  19. Lee, K.S., Yang, J.w. and Kwak, L.S: Screening of Herb Drug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d Hyg. Safety; 8(3), 141-144 (1993) 

  20. Lee, J.C., Kwak, L.S., Shin, C.S., Kim, M.J., An, D.J. and Jung, K.T: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한국약물작물학회, 8(2). 109-116 (2000) 

  21. Ji, W.D., Youn, S.H., Jung, HJ: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Resources on Oral Bacterium Arthrobacter ilicis CHI-11. 한국위생과학회지, 7(1), 1-9 (2001) 

  22. Kim, D.H., Yuk, C.S:The Microbial Activity of Herbal Drugs and Studies on the Essential Oils of Artemisia and Torilis Genus. 경희약대논문집, 22, 85-100 (1994) 

  23. Heo, T.R., Lee, Youn. M., Choi, S.L., Chae, H: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0157:H7. 한국생물공학회지,17(6), 537-546 (2002) 

  24. Park, U.Y., Chang, D.S., Cho,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Food Nutr., 21(1), 91-96 (1992) 

  25. Kim, N.K., Cho, S.H., Lee, S.D., Ryu, J.S., Shim, K.H: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Phyllostachys sp.) Extracts. Korean J. Postharvert Sci. Technol., 8(4), 475-480 (2001) 

  26. Chung, S.K., Jung, J.D., Cho, S.H: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pi(Zanthocylum piperitum DC.) Extract J. Korean Soc.Food Nutr., 28(2), 371-377 (1999) 

  27. Park, D.Y., Chang, D.S., Cho, H.R: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 radix (Lithospermum erythorhizon) Extract. J. Korean Soc.Food Nutr., 21(1), 97-100 (1992) 

  28. Yeo, S.G., Ahn, C.W., Kim, I.S., Park, YB., Park, Y.H., Kim, S.B: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Food Nutn, 24(2), 293-298 (1995) 

  29. Lee, S.H., Lim, Y.S: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a chinesis Extract aginst Listeria monocytogenes. Kor. J. Appl. Microbial. Biotecchnol., 25(5), 442-447 (1997) 

  30. Kang, S.K, Kim, Y.D., Choi, O.J: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a (Camellia japornica L.) Seeds Extract. J. Korean Soc.Food Nutr., 27(2). 232-238 (1998) 

  31. Choi, M.Y, Choi, E.J., Lee, E., Rhim, T.J, Cha, B.C., Park, H.J: Antimicrobial Activite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n Seib et Zucc.)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3), 293-297 (1997) 

  32. Chuyen N. V., Kurara T., Kato H. and Fujimaki, M.: Antimicrobial activity of Kumazasa (Sasa albo-margi-nata). Agric. Bial. Chem., 46, 971 (1982) 

  33. 성도제. 기적의 숯 건강법. 중앙 M and B (1998) 

  34. 등록특허공보. 기초목초액에 함유된 유해성분 제거방법, 대한민국특허청 (1999) 

  35. 박상범. 대나무숯 . 죽초액의 제조법과 이용법. 한림저널(서울) (1999) 

  36. 김영만, 변일: 중품치료에 응용되는 죽력과(竹瀝) 지룡의(地龍) 효능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의학논문집, 12(1) (1993) 

  37. Kim, J.W, Hong, N.D., Choi, S.K, Kim, N.J., Shon, J.K.: Original Articles/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Phyllostachys bambuoides (1). 경희대논문집,10(0) 69-75 (1982) 

  38. Hong, N.D., Kim, J.W, Chio, S.K: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Domestic Crude Drugs (2)-A Study on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Phyllostachy. 한국생약학회지, 12(1), 67 (1981) 

  39. 구본흥: 사전식 동의보감, 한국사전연구사, 1997 

  40. 강대주. 죽력추출방법 및 추출장치. 특 1997-022644 (1997) 

  41. 배상립. 대나무 기름 추출장치. 특허출원번호 10-1999-0007335 

  4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653-654 (1991) 

  43. Chung, M.J., Lee, S.J., Shin, J.H., Jo, J.S. and Sung, N.J.: The Componens of the Sap from Birches, Bamboo and Darae. J Korean Soc. Food Nutr., 24, 727-733 (1995) 

  44. Kim. M.S., Byun, M.W and Jang, M.S.: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SaSa coreana Nakai) Leaves.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 135-142 (1996) 

  45. Jang, M.S., Kim, J: Effect of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한국조리과학회지, 15(5), 459-469 (1999) 

  46. 박시용, 황한준: 맹종죽 (phyllostaahys edlis)의 식품보존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 0(0), 144-1 (1997) 

  47. 윤정식, 정숙현, 하상준: 식품미생물/발효/효소 분야/P6-08:맹종죽 추출물의 향균효과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0), 88-89 (1999) 

  48. Lee, S.K: Antimicrobial of Bamboo(Phyllost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Korean J. Fd Hyg. Safety; 15(1),55-59 (2000) 

  49. 조희란, 이충형, 박동민: 담양 전통 죽력(竹瀝)의 추출법 복원 및 활용에 관한 탐구. 제 47회 전라남도 과학전람회(농수산분야) 2001) 

  50. Yourself, R. T. and Tawil, G. G.: Antimicrobial activity of volatile oils. Pharmazie, 35, 698 (1998) 

  51. Shin, S.W and Kang, C.A.: Studies on Compositions and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ultivars of Brassica Juncea L. Korea. J Pharm., 32(2), 140-144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