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식물플랑크톤 군집 대발생의 특징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V. Blooming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원문보기

Algae, v.18 no.4, 2003년, pp.255 - 262  

정승원 ,  이진환 ,  유종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biweekly at 6 stations from Feb. 2001 to Feb. 2002 at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During the study, a total of 267 taxa which were composed of 114 green algae, 104 diatoms, 22 blue-green algae, 13 chrysophytes and 2 din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우점종의 시 . 공간적인 변화에 따른 변동을 파악함으로써 본 조사수역의 영 양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팔당댐에서 행주대교 사이의 한강 하류를 중심으로 유입오염원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정성 . 정량적인 연변동을 조사하였으며 , 특히 주요 개체군간의 계절적 천이와대발생에 대한 상관성을 파악하여 한강 하류유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의 특성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 유입오염원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정성 . 정량적인 연변동을 조사하였으며 , 특히 주요 개체군간의 계절적 천이와대발생에 대한 상관성을 파악하여 한강 하류유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의 특성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동섭, 김범철. 1990 팔당호의 일차생산. 한국육수학회지 23: 167-179 

  2. 김범철,안태석,조규송. 1988. 한강수계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판한 비교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1: 151-163 

  3. 김용재. 1996. 팔당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고찰과 지표종을 이용한 영양단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29: 323-345 

  4. 김용재,김명운,김상종. 1998. 한강중·하류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한국조류학회지 13: 331-338 

  5. 김정균. 1972. 하계 한강하류의 식물플랑크톤의 분류와 해수지표성, 한국육수학회지 5: 31-41 

  6. 박혜경,정원화,권오상,류재근. 2000. 팔당호에서 남조류 및 남조류생산 독성물질의 계절변동. 한국조류학회지 15: 29-35 

  7. 서울특별시. 1990.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보고서 586 pp 

  8. 서울특별시. 1994.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640 pp 

  9. 신재기. 1998. 낙동강 부영양화에 따른 담수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 pp 

  10. 심재형,최중기. 1978. 한강하류에 있어서 부유성 조류 군집의 구조 및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3: 31-41 

  11. 유광일,임병진 1990. 한강하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 오염지표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3: 267-277 

  12. 이경. 1985 . 팔당댐 침수수역 식물플랑크톤의 수직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9: 117-127 

  13. 이경,정영호. 1983 한강 중심수역의 규조류에 대한 계절적 소장과 분포에 따른상관관계. 성심여대 논문집 14: 37-47 

  14. 이정호,박종근,검은정. 2002.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명가. 한국조류학회지 17: 275-281 

  15. 이진환,장만. 1997.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II.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0: 193-202 

  16. 이학통. 1997. 한강수의 오염도에 따른 오수생물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10: 47-51 

  17. 자연보호중앙협의회. 1987. 한강생태계 조사연구보고서 350 pp 

  18. 장윤경, 전숙례. 1996. 팔당댐 담수수역의 식물 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II. 식물 플랑크톤 종 조성의 변화. 한국조류학회지 11: 217-229 

  19. 정영호. 심재형,이민재. 1965. 한강의 Microtlora에 관한 연구(제1보) : 한강하류의 식물플랑크톤과 해수의 영향. 한국식물학회지 4: 47-69 

  20. 정영호,이경. 1981. 팔당댐 수역을 중심으로 한 식물플랑크톤의 현 존량과 생산력. 자연보존연구보고서 3: 383-390 

  21. 정승원,이진환,허회권. 2003. 한강 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N. 부영양화 요인의 통계적 접근. 한국육수학회지 (인쇄중) 

  22. 한명수,어윤열,유재근,유광일,최영길. 1995 팔당호의 생태학적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8: 335-344 

  23. 한명수. 유재근,유광일,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척 연구 1. 수질의 연변화: 과거와 현재. 한국육수학회지 26: 141-149 

  24. Cho K.S.,Kim B.C., Heo W.M., and Cjo S.J. 1989. The Succession of phytoplankton in Lake Soyang. Kor. J. Limnol. 22:179-189 

  25. Harper D. 1992. Eutraphication of freshwaters: Principles, problems and restonation. Chapman & Hall,Iondon. 327pp 

  26. Hasle G.R and Fryxell G.A. 1970. Diatoms deanug and mounting for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rans. Am. Microscop. Soc. 89: 469-474 

  27. Heinle D.R. 1969.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 on zooplankton. Chesapeake Sci. 10: 186-209 

  28. Henle A.J. and Goldman C.R. 1994. Limnology. McGraw-Hill,Inc., New York. 576pp 

  29. Hutchinson G.B. 1967.A Treatise on limnoly. Vol. II. Introduction to lake biology and the limnoplankton. John Wiley and Sons,New York. 1115 pp 

  30. Lee K. and Yoon S.K. 1994. Morphologic acoountsof the diatom genus Aulacoseira, the dominant of the Han River. Korean J. Phyrol. 9: 135-143 

  31. Lee K. and Yoon S.K. 1996. A study on the phytoplankton in the Palang Dam Reservoir III. The changes of diatom community structure. Algae 11:277-283 

  32. Reimann B.E.F., Duke RL. and Floyd G.L. 1980. FIxation, embedding, sectioningand staining of algae for electronmicroscopy. In: Gantt E. (ed.), Handbook of phycological methods. Developmental and cytological method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pp. 285-303 

  33. Reynolds C.S. 1984. Phytoplankton periodicity: the interactions of form, fun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Freshmlter Biol. 14: 111-114 

  34. Stoermer E.F. and Ladewski T.B. 1978. phytoplankton association in Lake Ontario during IFYGL. Univ, Michigan, Great Lakes Res. Div. Pub. 64pp 

  35. Stoermer E.F., Wolin J.A., Schelske C.l. and Conley D.J. 1985.An assesment of ecological changes during the recent history of Lake Ontario based on siliceous algae microfossils preserved in the sediments. J. Phyrol. 21:'257-276 

  36. Sze P. 1997. A biology of the algae. 3rd ed McGraw-Hill Publ, Boston. 278 pp 

  37. Wetzel R.G. 1983. Limnology. 2nd ed. Saunders Coll. Publ., Philadelphia. 767p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