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지식의 객관성에 관한 고찰: 마이클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bjectivity of Scientific Knowledge: Focused on Michael Polanyi's Epistemolog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1, 2003년, pp.100 - 116  

김만희 (한국교원대학교) ,  김범기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폴라니의 개인적 지식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의 객관성을 고찰하고, 이의 과학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 연구이며, 주로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 현대 인식론은 지식의 객관성과 상대성에 대한 견해가 혼재해 있으며, 특히 과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이에 과학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과학철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고, 객관성을 주관성과 관련시켜 지식의 성격을 이해한 칸트, 왕양명, 키에르케고르의 사상을 교육과 관련지어 간단히 고찰하였다. 나아가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에의 개인적 관여 및 공동체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인적 지식에서 시사하는 과학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면서, 과학교육에 인간의 목소리가 회복되며, 지적 열정이 살아있도록, 과학자의 삶을 재연하는 과학교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bjectivity of scientific knowledge, focusing on Michael Polanyi's epistemology. The objectivity of scientific knowledge could be examined i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view. The former relates to the rationality, but the latter to the reality. Si...

주제어

참고문헌 (77)

  1. 강인애(1997).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 권성기, 박승재 (1995). 교육대학생의 과학의 본성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관의 연관성 및 변화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4-115 

  3.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4. 김만희(2000). 과학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한 철학적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용준(1994). 사람의 과학. 통나무 

  6. 김원중(1996).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지식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목영혜(1998). 현대 상대주의철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8. 박승재, 조희형(1994). 학습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9. 박채형(2002). 교과의 내면화 이론: 주역의 교육학적 해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소원주(1998).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서술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신국원(1999). 포스트모더니즘. IVP: 서울 

  12. 엄태동(1998). 교육적인식론 탐구, 교육과학사 

  13. 양승훈, 송진웅, 김인환, 조정일, 정원우(1995). 과학사와 과학교육. 민음사 

  14. 유한구(1998). 교육인식론 서설. 교육과학사 

  15. 유한구(1999). 열림 교육의 두 측면: 學과 思. 도덕교육연구, 11, 31-54 

  16. 이홍우(1988). 브루너: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17. 이홍우(1996). 인간본성론. 교육이론, 10(1), 1-21 

  18. 이홍우(1998). 교육과정 개관. 교육학 대백과사전, 530-543 

  19. 이홍우(2001). 교과의 내면화. 아시아교육연구, 1(1), 249-271 

  20. 이홍우(2001). 교과와 실재. 도덕교육연구, 13(1), 1-26 

  21. 임병덕(1995). 키에르케고르: 교육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 교육과학사 

  22. 임병덕(2000). 교육인식론과 교과교육학. 교과교육공동연구소식(2000. 8. 14), 1-7. 한국교원대학교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3. 임병덕(2001). 키에르케고르와 왕양명, 도덕교육연구, 13(1), 27-50 

  24. 장상호(1994). 폴라니: 인격적 지식의 확장, 교육과학사 

  25. 장상호(2000). 학문과 교육(하):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6. 장회익(1990). 과학과 메타과학. 지식산업사 

  27. 조영태(1999). 열린교육과 구성주의; 비판적 검토. 도덕교육연구, 11. 55-128 

  28. 조용현(1992). 칼포퍼의 과학철학. 서광사 

  29. 조정일, 주동기(1996).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00-209 

  30. 조희형(1998).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시사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83-200 

  31. 조희형, 박승재(1994). 과학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32. 표재명(1995). 키에르케고르 연구. 지성의 샘 

  33. 홍성욱(1997). 누가 과학을 두려워하는가. 한국과학사학회지, 19(2), 151-179 

  34. Bernstein, R. J.(1983). Beyond Objectivism and Relativism. Pensylvania University Press 

  35. Bruner. J. S.(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6. Chalmers, A.(1990). Science and its Fabrication. Open University Press 

  37. Fetherston, T. (1997). The derivation of learning approach based on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801-819 

  38. Feyerabend, P.(1975). Against Method. New Left Books: London 

  39. Dear, P. (1991). The literacy structure of Scientific argument.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40. Hamlyn, D. W.(1970a). The Theory of Knowledge 

  41. 이병욱 (역)(1989). 인식론. 서광사 

  42. Hamlyn, D. W.(1970b),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Understanding 

  43. 이홍우 (역)(1990). 경험과 이해의 성장. 교육과학사 

  44. Hamlyn, D. W.(1973). Human Learning. In R. S. Peters (Ed.), Philosophy of Education. 174-194. Oxford University Press 

  45. Hanson, N. R.(1965). Pattern of Discov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Hirst, P. H.(1965). Liberal education and the nature of knowledge. In Peters(Ed.). Philosophy of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7. Jacobs, S.(2000), Michael Polanyi on the education and knowledg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9, 309-320 

  48. Jenkins E. W.(2000). Constructivism in school science education: Powerful model or the most dangerous intellectual tendency?. Science & Education, 9, 599-610 

  49. Kant, I.(1781), 최재희 역(1972).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50. Koulaidis, V., & Ogborn, J.(1988), Use of systemic networks in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497-509 

  51. Kuhn, T.(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University Press 

  52. Lakatos, I.(1970). Falsification and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In I. Lakatos & A, Musgrave (Eds.), Criticism and the Growth of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1-196 

  53. Lakatos, I.(1978),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Lemke, J. L.(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Ablex 

  55. Loving, C.(1991), The scientific theory profil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823-838 

  56. Manheimer, R.(1999). A Map to the End of Time, W.W, Norton & Company 

  57. Matthews, M, R.(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Routledge: New York 

  58. Newton-Smith, W, H.(1983), The Rationality of Science 

  59. 양형진, 조기숙 역(1998). 과학의 합리성. 민음사 

  60. Oakeshott, M.(1962).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s. Methuen 

  61. Oakeshott, M.(1965). Learning and teaching. Peters, R. S,(Ed.), The Concept of Edition, R. K. P: London, 156-176 

  62. Oakeshott, M.(1975), A place of learning. The Colorado College Studies 12, Colorado Springs: Reprinted in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17-42. (1989),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63. Petrie, H, G.(1975), That's just Einstein's opinion: the autocracy of students' reason in open education, In D. Nyberg (Ed,), The Philosophy of Open Education, 61-78. RKP: London 

  64. Petrie, H, G.(1981), The Dilemma of Enquiry and Learning, Chicago University Press 

  65. Pinar, W. F., Reynolds, W. M., Slattery, P., Taubman, P, M.(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Peter Lang: New York 

  66. Polanyi, M.(1946). Science, Faith and Society 

  67. 이은봉 역(1990). 과학, 신념, 사회, 범양사 출판부 

  68. Polanyi, M.(1958),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69. 표재명, 김봉미 역(2001). 개인적 지식. 아카넷 

  70. Polanyi, M.(1967), The Study of Man. Chicago University Press 

  71. Polanyi, M.(1967). The Tacit Dimension, Doubleday & Company, INC. 

  72. Polanyi, M.(1975), Meaning 

  73. 김하자, 정승교 역(1992). 지적 자유와 의미, 범양사 출판부 

  74. Popper, K. (1968),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Harper & Row 

  75. Popper, K.(1972), Objective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76. Rorty, R.(1982), Consequences of Pragmatism. Minnesota University Press 

  77. Sutton, C.(1996), Beliefs about science and Beliefs about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1), 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