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리, 월성, 울진과 영광 연안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Ⅲ. 우점종 분포와 환경요인들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 Gori, Wolseong, Uljin and Younggwang Ⅲ.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원문보기

Algae, v.18 no.1, 2003년, pp.29 - 47  

강연식 (인하대학교) ,  최중기 (전력연구원) ,  엄희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in the coastal waters of Gori, Wolseong, Uljin and Younggwang, the standing crops of dominant species were studied during 1992-1996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anding crop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analyzed.The st...

주제어

참고문헌 (71)

  1. 강연식, 최중기, 2001.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 연안해역에서 식물 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I. 종조성 및 분포(1992-1996). 한국조류학회지 16: 85-111. 

  2. 강연식. 최중기. 2002.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 연안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II. 현존량 분포 및 환경요인들 (1992-1996).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 108-128. 

  3. 문창호, 최혜지.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 144-154. 

  4. 박주석. 1980. 한국 진해만의 식물성플랑크톤 출현량 및 조성과 이들의 먹이와 적조로서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23: 5-92. 

  5.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피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 208-214. 

  6. 신동휘, 최중기. 1988. 인천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조석에 따른 시간적 변화연구. 황해연구 1: 11-31. 

  7.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487 pp. 

  8. 심재형, 이원호. 1979, 서해 천수만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14: 6-14. 

  9. 심채형, 신용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화회지 19: 172-186. 

  10. 심재형, 신윤근, 여환구. 1991a. 만경,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환경과 일차생산자. I. 환경특생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26: 155-168. 

  11. 심채형, 여환구, 신윤곤. 1991b. 한국 연안해역에 있어서 온배수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영향 I. 고리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미소 및 초미소 자가영양 플랑크톤의 중요성. 한국해양학회지 26: 77-82. 

  12. 여환구, 심재형. 1992. 한국 연안해역에서 있어서 온배수 배훌의 생태학적 영향. III. 고리 원자력발전소 부근 해역 무생물환정과 일차생산자의 군집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0: 122-142. 

  13. 유광일. 1984. 연안역에 있어서의 적조생물군집의 동태에 관한 연구. 한양대 환경과학 연구소 논문집. 

  14. 유광일, 이진환. 1982. 고리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부유성 규조류에 대하여. 한국해양연구소보 4: 53-62. 

  15. 이준백, 고유봉, 좌종훈. 1990. 제주도 해안선 주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5: 159-171. 

  16. 이진환, 허형태. 1983. 득량만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의 적조발생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소보 5: 21-26. 

  17. 이진환, 한명수, 허형택. 1981. 진해만의 적조원인생물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소보 3: 97-105. 

  18. 장 만, 심재형. 1986. 춘계 황해의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화적 연구. 해양연구 8: 1-11. 

  19. 장 만, 심재형. 1986. 가을철 황해의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해양연구 15: 15-28. 

  20. 장 만, 심재형. 1994. 겨울철 황해의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해양연구 16: 95-109. 

  21. 정 준. 1993. 한국답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95 pp. 

  22. 조경제, 최만영, 곽승국, 임성호, 김대윤, 박종규, 김영의. 1998.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변동. 한국해양학회지 3: 193-202 

  23. 조창환. 1985. 가을철 한국 주변해역의 Microplankton 및 Nanoplankton의 클로로필 함량과 분포. 한국수산화회지 18: 63-66. 

  24. 조창환, 허성희. 1988. 낙동강 하구 부근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분포. 해양연구 10; 39-45. 

  25. 조기안, 위인선, 최청일. 199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2: 137-150. 

  26. 최 상. 1966. 한국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연구. I. 1965년 하계의 한국 해협 표충수의 식물플랑크톤과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1: 14-21. 

  27. 최 상. 1967. 한국해역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연안 수역의 식물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2: 1-12. 

  28. 최충기. 1982. 서해 경기만의 추계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구조에 대하여. 인하대 기초연구논문집 4: 169-176. 

  29. 최중기. 1991. 황해 중 . 동부 연안수역의 조석전선이 식물플랑크톤 생산력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26: 223-241. 

  30. 한국전력공사. 1980a. 원자력발전소 7, 8호기 부지환경특성조사 보고서. 온배수 및 방사성 물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175 pp. 

  31. 한국전력공사. 1980b. 원자력발전소 9, 10호기 부지환경특성조사 보고서. 온배수 및 방사성 물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263 pp. 

  32. 한국전력공사. 1986. 원자력발전소 11, 12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879 pp. 

  33. 한국전력공사. 1990. 월성원자력 2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530 pp. 

  34. 한국전력공사. 1991. 울진원자력 3, 4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520 pp. 

  35. 한국전력공사. 1994. 영광원자력 5, 6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758 pp. 

  36. 한국전력공사. 1996 울진원자력 5, 6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675 pp. 

  37. 한국전력공사. 1997. 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조사 및 평가보고서 (‘ 96년보). 615 pp. 

  38. 한국전력공사. 2001a.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조사 및 평가보고서(2000년보). 355 pp. 

  39. 한국전력공사. 2001b.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조사 및 평가보고서 (2000년보), 344 pp. 

  40. 한명수. 1990. 유독플랑크톤(와편모조류를 중심으로)에 관한 고찰. 한국 수산학회지 23: 51-60. 

  41. 환경부. 1996. 수질오염공정시험법. pp. 323-394. 

  42. 현정호, 최종기. 1988. 인천연안의 오염 및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연구. 황해연구 1: 33-62. 

  43. Braatud T. 1962. Species distribution in marine phytoplankton. J. oceanogr. Soc. Japan, 20th Anniversary Volume, 628-649. 

  44. Choe S. 1972. Studie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plankton organisms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area of Ko-ri. J. Oceanogr. Soc. Korea 7: 47-58. 

  45. Choi I.K. and Shim I.H.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ll.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J. Oceanogr. Soc. Korea 21: 156-170. 

  46. Conover S.A.M. 1956. Oceanography of Long Island Sound, 1952-54. IV. Phytoplankton. Bull. Bingham oceanogr. Coll. 15: 62-112. 

  47. Curl H.Jr. and McLeod, G.C. 1961.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a marin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Grev.) Cleve. J. Mar. Res. 19: 70-88. 

  48. Eppley R.W., Rogers J.N. and McCarthy J.J. 1969. Half-saturation constants for uptake of nitrate and ammonium by marine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14: 912-920. 

  49. Frost B.W. 1991. The role of grazing in nutrient-rich areas of the open sea. Limnol. Oceanogr. 36: 1616-1630. 

  50. Hichockand G.L. and Smayda T.J. 1977. The important of light in the initiation of the 197-1973 winter-spring diatom bloom in Narragansette Bay. Limnol. Oceanogr. 22: 126-131. 

  51. Huaug R. 1979. A study in the silicoflagellates along the northern coast of Taiwan. Acta Oceanogr. Taiwan 9: 119-125. 

  52. Kawarada Y. 1965. Diatoms in the kuroshio waters neighboring Japan. Inform. Bull. Planktol. Japan 12: 8-16. 

  53. Lee W.H. and Shim J.H. 1990.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 and the associated T-S properties in the Southerwestern East Sea (Sea of Japan). J. Oceanogr. Soc. Korea 25: 1-7. 

  54. Pratt D.M. 1960. The phytoplankton of Narragansett Bay. Narragansett Mar. Lab. Univ. Rhode Island 25: 425-440. 

  55. Raymont J.E.G. 1980. Plankton and Productivity in the Oceans 2nd Ed. Vol. 1. Phytoplankton. Pergamon Press. pp. 489. 

  56. Roelfs A.K. 1984. Distributional patterns of variation of valve diameter of Paralia sulcata in surface sediments of Southern British Columbia Inlet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8: 165-178. 

  57. Riley G.A. 1967. The plankton of estuaries. In: Lauff G.F. (ed.), Estuaries, AAAS. Wash., pp. 316-328. 

  58. SAS. 1983.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59. Shim J.H. 1980. Biological oceanography of the Gamagyang Bay-The Yeoja Bay water system(l). J. Oceanogr. Soc. Korea 15: 89-99. 

  60. Shim J.H. and Bae S.J. 1985.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Yeong-il Bay, Korea. J. Oceanogr. Soc. Korea 20: 49-60. 

  61. Shim J.H. and Lee W.H. 1983. Plankton study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phytoplanktondistribution in Septemper, 1981. J. Oceanogr. Soc. Korea 18: 91-103. 

  62. Shim J.H. and Park Y.C. 1984.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J. Oceanogr. Soc. Korea 19: 68-81. 

  63. Shim J.H. and Yang J.S. 1982.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64. Shim J.H. and Yeo H.G. 1989.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onsu Bay. J. Oceanogr. Soc. Korea 23: 130-145. 

  65. Shim J.H. and Yoo S.J. 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f the coast of Kunsan, Korea. J. Oceanogr. Soc. Korea 20: 31-42. 

  66. Shim J.H., Yang S.Y. and Lee W.H. 1989. Phytohydrography and the vertical pattern of nitracline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Korean East Sea in early spring. J. Oceanogr. Soc. Korea 24: 26-31. 

  67. Smayda T.S. 1973. The growth of Skeletonema coatatum during a winter- spring bloom in Narragansette Bay, Rhode Island Norw. J. Bot. 20: 219-247. 

  68. Werner D. 1977. The Biology of Diatom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pp. 469. 

  69. Yamaji I. 1991. Illus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3rd ed.), Hoikusha, 538pp. 

  70. Yoo K.I. and Lee J.W. 1976. Enviornmental studies on Masan Bay. 2.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J. Oceanogr. Soc. Korea 11: 34-38. 

  71. Yoo K.I. and Lee J.H. 1979.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J. Oceanogr. Soc. Korea 14: 26-3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