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단기 변화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Summer Around Namhae Island of Korea 원문보기

Algae, v.18 no.1, 2003년, pp.49 - 58  

임월애 (부산대학교) ,  강창근 ,  김숙양 ,  이삼근 ,  김학균 ,  정익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hort-term dynamics of the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coastal waters around Namhae Island,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study was based on a comprehensive survey constituting 39 collections from 13 stations on July 18-22, August 1-2, 14-16 and 27-30, resp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남해도 주변 해역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적조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이 해역의 여름철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와 분포 변동 양상을 물리적 특성과 영양 환경의 변동과 함께 조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1) "남해도 연안해역에서의 해양환경 요인의 단기 변동이 식물플랑크톤 조성의 변화를 초래하는가?” 와 2) "이들 환경요인들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사이에 어떤 뚜렷한 관계가 있는가?” 를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영실, 전경암. 1999.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 . 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 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2: 22-29. 

  2. 강철중. 1974. 한국 남해안 연안수의 계절변동에 관한 연구. 12: 107-121. 

  3. 공영. 1971. 한국 남해연안 전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6: 25-36. 

  4. 김성수, 고우진, 조영조, 이필용, 전경암. 1998a. 1996년 여름철 남해 표층수의이상저염수 현상과 영양염류의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 165-169. 

  5. 김동수. 2000. 한국 남해 중부 연안 어장에서 수괴의 계절 변화.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6: 105-116. 

  6. 김학균, 이삼근, 안경호, 윤성화, 이필용, 이창규, 조은섭, 김정배, 최희구, 김평중. 한국연안의 적조: 최근 적조의 발생원인과 대책. 국립수산진흥원 292 pp. 

  7. 김학균, 최우정, 정영균, 정창수, 안경호, 백철인. 1999. 나로도 인근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des 적조의 최초발생과 환경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19-129. 

  8. 김학균, 정창수, 임월애, 이창규, 김숙양, 윤성화, 조용철, 이삼근. 2001.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변천. 한국수산학회지. 34: 691-696. 

  9. 나정렬, 한상규, 조규대. 1990.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 특성 - 남해연안수 확장과 수온변화 -. 한국수산학회지. 23: 267-279. 

  10.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 208-214. 

  11. 박주석, 이삼근. 1990. 진해만의 적조현상과 원인생물의 천이. 수진연구보고. 41: 1-26. 

  12. 박철, 김학균, 이삼근. 1998. 동해전선역 동물플랑크톤 군집: 2. 수온과 분포의 관계. 한국수산학회지. 31: 749-759. 

  13. 서영상, 김정희, 김학균. 2000. NOAA 위성자료에 의한 해수표면과 수온본포와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의 상관성. 한국환경과학회지. 9: 215-221. 

  14.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 172-186. 

  15. 양영진, 김상현, 노홍길. 1998. 한국남·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출현하는 수온전선. 한국수산학회지. 31: 695-706. 

  16.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16-26. 

  17. 이영식, 박종수, 김성수, 전경암, 김영숙, 박중현, 백철인. 1999. 여수 돌산도 동부연안에서 담수유입에 의한 수질 변화특성과 규조적조 발생. 수진연구보고. 57: 111-117. 

  18. 이영식, 이재성, 정래홍, 김성수, 고우진, 김귀영, 박종수. 2001.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 중식의 제한영양염.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201-210. 

  19. 이영식, 박영태, 김영숙, 김귀영, 박종수, 고우진, 조영조, 박승윤. 200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259-264 

  20. 이창균, 김형철, 이삼근, 정창수, 김학균, 임월애. 2001.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 536-544. 

  21. 임월애, 정창수, 이창규, 조용철,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2. 2000년 여름 남해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 적조의 발생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68-77. 

  22. 정창수, 최우정, 김학균, 정영균, 김정배, 임월애. 1999. 1998년도 남해도 인근수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53-161. 

  23.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27-36. 

  24. 조규대, 최용규. 1988. 대마난류 수형의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1: 297-306. 

  25. 추효상, 김동수. 1998. 한국 남해의 대마난류 변동이 멸치 난·자어의 연안역 수송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1: 226-244. 

  26. 추효상. 2002. 하계 한국 남해의 해황 변동과 멸치 조기 생활기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5: 77-85. 

  27. 최현용. 2001.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49-62. 

  28. Banse K. 1982. Cell volumes, maximal growth rates of unicellular algae and ciliates, and the role of cilates in the marine pelagial. Limnol. Oceanogr. 27: 1059-1071. 

  29. Cho H.J. and Matsuoka K. 2000. Cell lysis of a phagotrophic dinoflagellate, Polykrikos kofoidii feeding on Alexandrium. Plankton Biol. Ecol. 47: 134-136. 

  30. Fumas M. 1990. In situ growth rates of marine phytoplankton: Approaches to measurement, community and species growth rates. J. Plankton Res. 12: 1117-1151. 

  31. Geesey M. and Tester P. 1993. Gymnodinium breve: ubiquitous in Gulf of Mexico waters? In: Smayda T.J. and Shimizu Y. (eds.),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pp. 251-255. 

  32. Hecky R.E. and Kilham P. 1988.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s of enrichment. Limnol. Oceanogr. 33: 796-822. 

  33. Kang C.K, Kim P.J., Lee W.C. and Lee P.Y 1999. Nutrients and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I.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C, N, and P in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Bay system. J. Oceanol. Soc. Kor. 34: 86-94. 

  34. Kang Y.Q. and Jin M.S. 1984. Annual variation of salinity in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J. Oceanol. Soc. Kor. 19: 105-110. 

  35. Kang Y.S., Kim H.G., Um W.A., Lee C.K, Lee S.G. and Kim S.Y. 2002. An unusual environment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1995 in the South Sea of Korea. J. Oceanol. Soc. Kor. 37: 212-223. 

  36. Kim H.G., Park J.S. and Lee S.G. 1990. Coastal algal blooms caused by the cyst-forming dinoflageIlates. Bull. Korean Fish. Soc. 23: 468-474. 

  37. Lee J.C., Kim J.Y. and Chang S.D. 1984. Thermohaline structure of the shelf front in the Korea strait in early winter. J. Oceanol. Soc. Korea 19: 56-67. 

  38. Lee S.G., Kim H.G., Cho E.S. and Lee C.K. 2002. Harmful algal blooms: Management and mitigation in Korea. PICES Scientific Report 23: 39-46. 

  39. Moon C.H. 1990.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and nutrients in Yeosu Haeman. Bull. Korean Fish. Soc. 22: 408-414. 

  40. Murphy M.B., Steidinger K.A, Roberts B.S., Williams J. and Jolley J.W. 1975. An explanation for the Florida east coast Gymnotiinium breve red tide of November. Limnol. Oceanogr. 20: 481-486. 

  41. NFRDI 2002. Hii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form 2000 to 2001. 158pp. 

  42. Pae S,J. and Yoo S.J. 1991. Short term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s in Masan bay: I. Dynamics. J. Oceanol. Soc. Korea 26:67-76. 

  43. Parsons R.R., Takahashi M. and Hargrave B. 1984. Biological Oceanographic Process, 3rd ed., Pergamon Press, pp. 143-157. 

  44. Rounsefell G.A. and Nelson W.R. 1966. Red-tide research summarized to 1964 including an annotated bibliography. U.S. Fish Wildl. Serv. Spec. Sci. Rep. Fish. 535. pp. 85. 

  45. Smayda T.J. 1997. Harmful algal blooms: Their ecophysiology and general relevance to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Limnol. Oceanogr. 42: 1137-1153. 

  46. Smayda T.J. and Reynolds C.S. 2001. Community assembly in marine phytoplankton: application of recent models to harmful dinoflagellate blooms. J. Plankton Res. 23: 447-461. 

  47. SPSS Inc. 1999. SPSS Base 10,0 User's Guide. Chicago, IL, USA 

  48. Steidinger K.A., Vargo G.A., Tester P.A. and Tomas C.R 1998. Bloom dynamics and physiology of Gymnodinium breve with Emphasis on the Gulf of Mexico. In: Anderson D.M., CembeIla A.D. and Hallegraeff G.M. (eds), Physiological Ecology of harmful algal blooms. Nato ASI Series No 41. pp. 133-153. 

  49. ter Braak C.J.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 1167-1179. 

  50. ter Braak e.J.F. and SmiIauer P. 1998. CANOCO Reference Manual and User' s Guide to Canoco for Windows: Software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version 4), Microcomputer Power, Ithaca, NY. 

  51. ter Braak C.J.F. and Verdonschot P.F.M., 1995.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lated multivariate methods in aquatic ecology. Aquatic Sciences 57: 255-289. 

  52. Tester P.A., Stumpf R.P., Vukovich F.M., Fowler P.K. and Turner J.T. 1991. An expatriate red tide bloom: Transport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Limnol. Oceanogr. 36: 1053-1061. 

  53. Yang H.S. and Kim S.S. 1990.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Bull. Korean Fish. Soc. 23: 417-4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