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에서의 오염부하 예측을 위한 범용모형 개발
Water Quality Model Development for Loading Estimates from Paddy Field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6 no.3 = no.104, 2003년, pp.344 - 355  

전지홍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황하선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윤광식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윤춘경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논은 우리나라 총 면적의 12%를 차지하며, 인간활동이 이루어지는 토지이용 중 가장 많은 면적으로 비점오염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논은 시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논표면수의 수질변화 폭이 매우 커 지표배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따라 논에서의 부하량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논에서의 오염부하량산정과 최적관리기법개발에 있어 획일적인 원단위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개발된 유역모형의 대부분은 논을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포함하더라도 논에서의 충분한 기작을 모의할 수 없어 우리나라의 적용에 있어서 제한점을 가지므로 앞으로의 합리적인 오염총량제 적용을 위해서는 논모형의 개발이 절실하다. 그러나 논은 담수라는 기능을 가지므로 유역모형과 같은 물리적인 반응보다는 수질모형과 같은 생화학적 반응이 우세하리라 판단된다. 논을 하나의 얕은 호소로 간주하여 호소모형의 적용이 가능하나 이를 위한 수많은 인자 결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논에서의 영농활동은 거의 유사한 시기에 해마다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동일한 양과 형태의 시비가 이루어지며 완전낙수에 의해 다음해의 수질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므로. 오히려 간단한 반응공식으로도 충분한 해석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영농활동이 이루어지는 논에서의 시비와 바닥에서의 용출에 의한 영향을 dirac deltal function과 continuous source function을 이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여 지하수관개지역과 지표수관개지역을 대상으로 보정 및 검증결과 높은 적용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연구방향은 논에서의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여러 지역의 적응을 통한 논 모형의충분한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논에서의 오염부하량 산정과 BMPs개발 뿐 아니라, 기존의 유역모형에 연결함으로써 우리나라 오염총량제의 합리적인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quality model applicable paddy field was developed using field experiment during 1999 ${\sim}$ 2002. This model involves inputs from fertilization and sediment release as dirac delta function and continuous source function, respectively, and can simulate various processes such as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여주군의 지하수 관개논의 2001년에서 2002년 영농기간 동안의 모니터링 자료와 전라북도 진안군의 지표수 관개논의 1999년에서 2000년 영농기간 동안의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논에서의 유출량 및 수질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비점오염분야 및 오염총량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비와 침전물에서의 용줄효과를 Dirac delta function고과 continuous source function으로 해석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증 결과모형의 높은 적용가능성을 나타내어 논에서의 비점 오염부하량 산정과 BMPs개발에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그러나 논에서의 영농활동은 거의 유사한 시기에 해마다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동일한 양과 형태의 시비가 이루어지며 완전 낙수에 의해 다음해의 수질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므로 오히려 간단한 반응공식으로도 충분한 해석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영농활동이 이루어지는 논에서의 시비와 바닥에서의 용출에 의한 영향을 dirac deltal function고과 continuous source func- tion을 이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여 지하수 관개지역과 지표수 관개지역을 대상으로 보정 및 검증결과 높은 적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연구방향은 논에서의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여러 지역의 적용을 통한 논 모형의 충분한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논에서의 오염부하량 산정과 BMPs 개발 뿐 아니라, 기존의 유역모형에 연결함으로써 우리나라 오염총량제의 합리적인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논에서의 영양물질의 주요 공급원은 비료와 바닥에서의 용출로 가정하였다.
  • 논은 완전혼합반응조 (Continuously Stirred Tank Reactor; CSTR)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권순국. 2002. 논과 포장관개의 다원적 역할. 한국농공학회지.44: 19-26. 

  2. 김시원, 김철기, 이기춘. 1994. 농업수리학. 향문사, 서울. 

  3. 김진수, 오승영, 김규성. 1999. 광역논에서의 질소?인의 농도와 오염부하량 특성, 한국농공학회지 41: 47-56. 

  4. 서춘석, 박승우, 임상준, 윤광식, 김상민, 강문성. 2002. 관개논에서의 영양물질 추정 모형의 개발. 한국농공학회지 44:146-156. 

  5. 김시원, 김철기, 이기춘. 1994. 농업수리학. 향문사, 서울. 

  6. 손정호, 정상욱. 2002. 담수심 처리가 논의 물수지에 미치는영향. 한국농공학회지 44: 67-74. 

  7. 김진수, 오승영, 김규성. 1999. 광역논에서의 질소?인의 농도와 오염부하량 특성, 한국농공학회지 41: 47-56. 

  8. 신동석, 권순국. 1990. 논에서의 질소 및 인의 농도와 유출입,한국환경농학회 9: 133-142. 

  9. 오승영. 2000. 강우시 광역논에서의 유출부하 특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윤춘경, 김병희, 전지홍, 황하선. 2002. 지하수 관개지역 논에서의 배출부하특성, 한국농공학회지 44: 116-126. 

  11. 윤춘경, 함종화, 우선호, 김민희. 2001. 인공습지 오수처리수를이용한 벼재배 실험, 한국농공학회지 43: 94-104. 

  12. 조동삼, 고현관, 구연충, 박광호, 변종영, 안범헌, 신진철, 양원하, 이영희, 이은웅, 이철원, 황승구, 조용구, 허휘. 1995. 벼의 생리와 생태. 향문사, 서울. 

  13. 조재필. 1998. 복합토지이용 특성의 농촌유역에 대한 농업비점오염모형의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진규, 구자웅. 2001. 마령지구 필지 논으로부터 영농기 영양물질수지와 유출부하량. 한국농공학회지 43: 153-508 

  15. 홍성구, 권순국. 1989. 농경지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부하특성, 한국농공학회지 31: 92-102. 

  16. 황하선, 윤춘경, 전지홍, 김병희. 2002. 저강우연도 지하수 관개 필지논에서 수도재배기간 동안의 물질수지, 한국농공학회지 44: 39-50. 

  17.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Water and Wastewater, 19th Ed. pp. 4: 99-153. American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8. Bouman, B.A.M. and T.P. Toung. 2001. Field water managementto save water and increase its productivity inirrigated lowland ric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49: 11-30. 

  19. Cabangon, R.J., T.P Tuong and N.B. Abdullah. 2002. Comparingwater input and water productivity of transplantedand direct-seed rice production systems. AgriculturalWater Management, 57: 11-31. 

  20. Chae, J.C. 1998. Effect of tillage and seeding methods onpercolation and irrigation requirement in rice paddycondition. Korean J. of Crop Science. 43: 264-268. 

  21. Chapra, S.C. 1997. Surface water-quality modeling,McGraw-Hill, Inc., pp. 47-87. 

  22. Cooke, G.D., E.B. Welch, S.A. Peterson and P.R. Newroth.1993.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akes andReservoirs, 2nd Ed. Lewis Publishers. 

  23. Counce, P.A., T.C. Keisling and A.J. Mitchell. 2000. A uniformobjective and adaptive system for expressing rice development. Crop Science, 40: 436-443 

  24. De Datta, S.K., W.P. Abilay and G.N. Kalwar. 1973. Waterstress effects in flooded tropical rice. pp. 19-36. In WaterManagement in Philippine Irrigation Systems: Researchand Operations,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Los Ba~nos, Philippines. 

  25. Eom, K.C. 2001. Rice cultural practices in Asia. pp. 28-35.In Rice Culture in Asia, International Commission onIrrigation and Drainage, and Korean National Committeeon Irrigation and Drainage, Korea. 

  26. Hukkeri, S.B. and A.K. Sharma. 1980. Water-use efficiencyof transplanted and direct-sown rice under differentwater management practices. Indian J. of AgriculturalScience. 50: 240-243. 

  27. Kampen, J. 1970. Water loses and water balance studies in lowland rice irrigation. Ph.d. Thesis, Cornel University, Ithaca, NY. 416pp. 

  28. Khepar, S.D., A.K. Yadav, S.K. Sondhi and M. Siag. 2000.Water balance model for paddy fields under intermittentirrigation practices. Irrigation Science. 19: 199-208. 

  29. Kitamura, Y. 1988. Water balance in tertiary developmentarea with low and flat paddy land Case study in theMuda Irrigation Project area, Malaysia. IrrigationEngineering Rural Planning. 13: 18-35. 

  30. Lee, B.W. 2001. Rice cultural practices in Asia. pp. 36-54.In Rice Culture in Asia, International Commission onIrrigation and Drainage, and Korean National Committeeon Irrigation and Drainage, Korea. 

  31. Loague, K. and E.F. Green. 1991. Statistical and graphicalmethods for evaluating solute transport models: overviewand application. J. Contam. Hydrol. 7: 51-73. 

  32. Nash, J.E. and J.V. Sutcliffe. 1970. River flow forecasting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1. A discussion ofprinciples. J. Hydrol. 10: 282-290. 

  33. Mishra, A., A.K. Ghorai and S.R. Singh. 1998. Rainwater,soil and nutrient conservation in rainfed rice lands ineastern Indi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38: 45-57. 

  34. Montheith, J.L. 1965. Evaporation and the environment.pp. 205-234. In The state and movement of water inliving organism. XIXth Symposium. Soc. for Exp. Biol.,Swans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Odhiambo, L.O. and V.V.N. Murty. 1996. Modeling waterbalance components in relation to field layout in lowlandpaddy fields. 1. Model development. AgriculturalWater Management. 30: 185-199. 

  36. OPM. 2001. Statistical data of water management, commissionon protection of the quality and supply of freshwaterresources. Office of Prime Minister, Korea (inKorean). 

  37. Chung, S.O., H.S. Kim and J.S. Kim. 2003. Model developmentfor nutrient loading from paddy rice fields,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 press. 

  38. Yoon, C.G., J.H. Ham and J.H. Jeon. 2002. Reuse of reclaimedwater for irrigation on paddy rice culture and itseffect, Journal of KSAE. 44: 14-24. 

  39. Watanabe, T. 1992. Water budget in paddy fields. In:V.V.N. Murty and K. Koga (Editors), Soil and WaterEngineering for Paddy Field Management, Proce. Ofthe Int. Workshop on Soil and Water Engineering forPaddy Field Management,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Bangkok, January 1992. 

  40. Wu, R.S., J.S. Chang and K.M. Lin. 2001. A simulationmodel for investigation the effects of rice paddy fieldson the runoff system. Mathematical and ComputerModelling. 33: 649-6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