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교차 설계 방법을 적용한 소아천식 입원에 대한 도시 대기오염의 급성영향평가
Associations between Air Pollution and Asthma-related Hospital Admissions in Children in Seoul, Korea: A Case-crossover Study 원문보기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6 no.1, 2003년, pp.47 - 53  

이종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 used a case-crossover design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s for asthmatic children under the age of 15 years in Seoul, Korea Methods : I estimated the changes in the levels of hospitalization risk from theinterquartile (IQR) increase i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지역 아동을 대상으로 천식발작에 대한 대기오염의 급성영향을 환자교차 설계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기존 시계열적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이에 대한 일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Bates [13]가 언급한 바와 같이다양한 특성과 형태의 연구 결과로부터일관성 확보는 대기오염역학 연구가 지니는 취약점에도 불구하고 연구결과의타당성을 확신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하는 환자교차 설계 방법은 대기오염의 급성효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새롭게 제안된 역학연구 형태로써 Maclure [14]가 심근경색 발생에 대한 운동이나 커피 섭취와 같은 변동 위험요인의 급성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제안한 것으로 Lee와Schwartz [15] 그리고 Neas 등 [16]이 본연구와 같은 대기오염역학 연구에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적용한 이후 이 연구.설계가 지닌 장점으로 인하여 시계열적 분석 방법과 함께 많이 적용되는 연구방법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997년 10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서울시에 거주하는 15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일별 대기오염이 미치는 천식 관련 병원입원 효과를환자-교차 연구 설계에 따라 분석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ockery OW, Speizer FE, Stram DO, Ware JH, SpenglerJD, Ferns BG. Effects of inhalable particles on respiratory health of children. Am Rev Respir Dis 1989; 139: 587-594 

  2. Schwartz J, Slater D, Larson TV, Peirson WE, Koenig JQ.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ospital emergency room visits for asthmain Seattle.Am Rev Respir Dis 1993; 147: 826-831 

  3. Burnett RT, Cakmak S, Brook JR, Krewski D. The role of particulate size and chemistry in the association between summertime ambient air pollution and hospitalization for cardiorespiratory disease. Environ Health Perspect 1997; 105: 614-620 

  4. Delfino RJ, Murphy-Moulton AM, Burnett RT, Brook JR, Becklake MR. Effectsof air pollution on emergency room visits for respiratory illnesses in Montreal, Quebec.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 155: 568-576 

  5. Lee JT, Kim H, Song H, Hong YC, Cho YS, Shin SY, Hyun YJ, Kim Ys.Air pollution and asthma among children in Seoul, Korea. Epidemiology 2002; 13: 481-484 

  6. Hanley QS, Koenig JQ, Larson TV, Anderson TL, van Belle G, Rebolledo V, Covert OS, Pierson WE. Response of young asthmatics to inhaled sulfuric acid. Am Rev Respir Dis 1992; 145: 326-331 

  7. Koenig JQ. Effect of ozone on respiratory response in subjects with asthma. Environ Health Perspect 1995; 103 (suppI 2): 103-105 

  8. Linn WS, Avol EL, Peng RC, Shamoo DA, Hackney 10. Replicated dose-response study of sulfur dioxide effects in normals, atopic, and asthmatic volunteers. Am Rev Respir Dis 1987; 136: 1127-1134 

  9. Balmes JR, Aris RM, Chen LL, Scannell C, Tager IE, Finkbeiner W, Christian D, Kelly T, Hearne PQ, Ferrando R, Welch B. Effects of Ozone on Normal and Potentially Sensitive Human Subject. Part I: Air way Inflammation and Responsiveness to Ozone in Normal and Asthmatic Subjects. Research Report No. 78. Cambridge, MA: Health Effect Institute, 1997 

  10. Scannell C, Chen LL, Aris RM, Tager I, Christian D, Ferrando R, Welch B, Kelly T, Balmes JR. Greater ozon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subjects with asthma.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 154: 24-29 

  11. Leem JH, Lee JT, Kim DG, Shin DC, Roh JH.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hospital visits for respiratory diseases in Seoul. Korean J Occup Med 1998; 10(3): 333-342 (Korean) 

  12. Lee YJ, Lee JT, Ju YS, Shin DC, Im HJ, Cho SH. Short-term effect of air pollution on respiratory disease in Seoul: A casecrossover study. Korean J Prev Med 2001; 4(3): 253-261 (Korean) 

  13. Bates DV. Health indices of the adverse effects of air pollution: The question of coherence. Envrion Res 1992; 59: 336-349 

  14. Maclure M. The case-crossover desing: a method for studying transient effects on the risk of acute events. Am J Epidemiol 1992; 133: 144-153 

  15. Lee JT, Schwartz J. Reanalysis of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Seoul, Korea: A case-crossover design. Environ Health Perspect 1999; 107(8): 633-636 

  16. Neas LM, Schwartz J, Dockery D. A casecrossover analysis of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Philadelphia. Environ Health Perspect 1999; 107:629-631 

  17. Pope CA III. Mortality and air pollution: Associatio ns persist with continued advances in research methodology. Environ Health Perspect 1999; 107: 613-614 

  18. Navidi W. Bidirectional case-crossover designs for exposures with time trends. Biometrics 1998; 54: 596-605 

  19. Lee JT, Kim H, Schwartz J. Bidirectional case-crossover studies of air pollution: Bias from skewed and incomplete waves. Environ Health Perspect 2000; 108(12): 1107-1111 

  20. Pope CA III, Schwartz J. Time series for the analysis of pulmonary health data.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 154: 5229-5233 

  21. Akaike H. Statistical predictor identification. Ann Inst Stat Math 1970; 22: 203-217 

  22. Bateson TF, Schwartz J. Control for seasonal variation and time trend in casecrossover studies of acute effects of environmental exposures. Epidemiology 1999; 10:539-544 

  23. Lee JT, Kim H. Epidemiologic methods and study designs for investigating adverse health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Korean J Prev Med 2001; 34: 119-126 (korean) 

  24. Doelman CJA, Bast A. Oxygen radicals in lung pathology. Free Rad Biol Med 1990; 9: 381-400 

  25. Molfino NA, Wright SC, Katz I, Tarlo S, Silverman F, McClean PA, Szalai JP, Raizenne M, Slutsky AS, Zamel N. Effect of low concentrations of ozone on inhaled allergen responses in asthmatic subjects. Lancet 1991; 338: 199-203 

  26. Strand V, Rak S, Svartengren M, Bylin G. Nitrogen dioxide exposure enhances asthmatic reaction to inhaled allergen in subjects with asthma. Am J Resp Crit Care Med 1997; 155: 881-887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