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갯벌의 중금속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or Tidal Flat Sediments in the Saemankeum Area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6 no.1, 2003년, pp.55 - 61  

김종구 (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유선재 (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조은일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안욱성 (한국요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 간척사업이 진행중인 만경, 동진강 하구의 조간대 갯벌에 대한 중금속 분포 및 거동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은 1994년 관측자료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시화호 퇴적물보다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수준을 나타내었다. 퇴적물의 중금속 농도는 시화호 보다 Cu 1/4배, Zn 1/3배, Cr 1/2배 이하의 낮은 값이었다. 농축계수는 Pb와 Zn을 제외하고는 1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시화호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중금속 과잉량에서는 Cu, Cr, Fe, Mn은 부족하였으며, Pb와 Zn은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과 유기물량과의 관계에서 유기물 농도와 중금속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강열감량과의 상관분석에서 모든 중금속이 좋은 상관성 (r=0.424$\~$0.839)을 보였고, 특히 산화 Fe, Mn, Ai은 0.7 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중금속과 입도와의 상관조사에서 입도가 세립할수록 중금속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실트와의 상관분석에서 Cu와 Pb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은 0.552$\~$0.732의 정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새만금 하구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정도는 시화호 퇴적물과 비교하여 많이 낮았는데, 이는 시화호의 경우 연안에 위치한 공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반면, 만경강과 동진강하구 주변에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전주와 익산도 하구와는 상대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비하여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증가하였으며, 그 변동율은 C. calcitrans의 경우가 S. costatum보다 높았다. 그러나 V. alginolyticus와 혼합배양한 경우 C. calcitrans는 포화지방산이 증가한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 costatum은 순수 배양한 조체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C. calcitrans는 Shewanella sp. SR-14에 의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이 증가되고, 이러한 지방산은 이 균이 생성하는 조류증식 저해물질과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조류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5.3\%$로 높은 편이었으며, 유화성은 50.3$\pm$$1.2\%$였으나 유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distribution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or tidal flat sediments in the Saemankeum area. The value of heavy metal content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were higher than that surveyed in 1994, but showing that it's lower when compared with the val...

주제어

참고문헌 (32)

  1. Ahn, I.Y, Y.C. Kang and J.W. Choi. 1995. The influence of industrial effluents on intertidal benthic communities in Panweol, Kyeonggi bay (Yellow sea) on the west cost of Korea. Mar. Pollut. Bull., 30, 200-206 

  2. Brugmann, L., P.C. Bernard and R van Grieken. 1992. Geochemistry of suspended matter from the Baltic sea 2. Results of bulk trace metal analysis by AAS. Mar. Chem., 38, 303-323 

  3. Calvert, S.E. and T.F. Pedersen. 1993. Geochemistry of recent oxic and anoxic marine sediments: Implications for the geological record. Mar. Geol., 113, 67-88 

  4. Cho, Y.G. 1994. Distribution and origin of metallic elements in marine sediments around korean peninsula. Ph. D. Thesis, Seoul Nat. Univ. (in korean) 

  5. Cho, Y.G., C.B. Lee and M.S. Choi. 1994.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the south sea of Korea. J. Oceano. Soc. Korea, 29, 338-356 (in korean) 

  6. Choi, M.S., S.R. Cho and D.S. Lee. 1989.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s of atmospheric particulates collected on the West coast of Korea. J. of KAPRA, 5, 72-83 (in korean) 

  7. Choi, M.S., J.H. Chun, H.J. Woo and H.I. Yi. 1999. Change of heavy metals and sediment facie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Shihwa lake. J. of the Koe. Eiviron. Sci. Soc., 8, 593-600 (in korean) 

  8. Choi, J.H., J.W. Kang, D.B. Hong and Y.A. Park. 2000. Distribution of organic carbon, organic nitrogen and heavy metals in lake Shihwa sediments. 'The Sea' J. Korean Soc. Oceano., 5, 276-284 (in korean) 

  9. Goldberg, E.D., J.J. Griffin, V. Hodge, M. Koide and H. Windom. 1979. Pollution history of the Savannah river estuary. Environ. Sci. Technol., 13, 588-594 

  10. Hart, B.T. 1982. Uptake of trace metals by sediments and suspended particulates. A review, Hydrobiologia, 91, 299-313 

  11. Hoshika, A., T. Shiozawa, K. Kawana and T. Taminoto. 1991. Heavy metal pollution in sediment from the Seto inland sea, Jpn. Pollut. Bull., 23, 101-105 

  12. Horowitz, A.J. 1991. A primer on sediment-trace element chemistry. Lewis pub., USA, 136pp 

  13. Hyun, S.M., J.H. Chun and H.I. Yi. 1999.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heavy metallic pollution at Shihwa lake. 'The Sea' J. of the Korean Soc. Oceano., 4, 198-207 (in Korean) 

  14. Kim, K.T. 2001. Behavior of heavy metals in the lake Shiwha constructed by reclamation of intertidal flat. Ph. D. Thesis, Pukyong Nat. Univ., 103-122 (in Korean) 

  15. Lee, C.B., Y.A. Park and C.H. Koh. 1985. Sedimentology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Banweol area in the southern part of Kyunggi bay, Korea. , 20, 20-29 

  16. Lee, S.Z., H.E. Allen, C.P. Huang, D.L. Sparks, P.F. Sanders and W.J. G.M. Peijnenburg. 1996. Prediction soil-water partition coefficients for cadmium. Environ. Sci. Technol., 30, 3418-3424 

  17. Paulson, A.J., H.C. Curl and R.A. Feely. 1993. The geochemistry of nutrients and trace metals in Hood Canal, a puget sound fjord. Mar. Chem., 43, 157-173 

  18. Qu, C.H., C.Z. Chen, J.R. Yang, L.Z. Wang and Y.L. Lu. 1993. Geochemistry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elements in the major rivers of China (The Huanghe, Changjiang, and Zhunjiang Rivers). Estuaries, 16, 475-487 

  19. Schropp, S.J., F.G. Lewis, H.L. Windom, J.D. Ryan, F.D. Calder and L.C. Burney. 1990. Interpretation of metals concentrations in estuarine sediments of Florida using aluminum as a reference element. Estuaries, 13, 227-235 

  20. Service, M., S.H. Mitchell and W.T. Oliver. 1966. Heavy metals in the superficial sediments of the N-W Irish sea. Pollut. Bull., 32, 828-830 

  21. Shim, M.J., E.S. Kim, K.T. Kim and K.W. Lee. 2000, Pyritization of heavy metals in lake Shihwa sediments, Korea. J. Oceano. Soc. Korea, 35, 89-97 

  22. Shim, M.J., E.S. Kim, K.T. Kim, G.B. Lee, H.S. Kang and K.W. Lee. 1998. Distribution of organic carbon, sulfur and heavy metals in Shihwa lake sediments. J. KSWQ, 14, 469-482 (in Korean) 

  23. Taylor, S.R. 1964. Abundance of chemical elements in the continental crust:a new table. Geochim. Cosmochim. Acta., 28, 1273-1285 

  24. Yang, J.W. 1990. Sedimentation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Nakdong estuary barrage. M.D. Thesis, Nat'l Fish. Univ. of Busan, 11-14 

  25. Yin, Y., C.A. Impellitteri, S.J. You and H.E. Allen. 2002. The importance of organic matter distribution and extract soil:solution ratio on the desorption of heavy metal from soils. The Sci. of the Total Environ., 287, 107-119 

  26. Yoon, Y.Y. and K.T. Kim. 1998. Level and fate of trace metals in the Namdae stream. J. KSEE, 20, 1039-1049 (in Korean) 

  27. Yoon, Y.Y. and K.T. Kim. 2000. Level and fate of Arsenic (As) in the Namdae stream. J. KSEE, 22, 149-157 (in Korean) 

  28. You, S.J., J.G. Kim and J.B. Kim. 2000. Adsorption kinetics of metals (Cu, Cd, Pb) in tidal flat sediments and Yellow losses. J. Korean Fish. Soc., 3, 250-256 (in Korean) 

  29. Zhang, J., W.W. Huang and J.M. Martin. 1988. Trace metals distribution in Huanghe (Yellow river) estuarine sediments. Est. Coast. Shelf Sci., 26, 499-516 

  30. 농촌진흥공사. 1996. 한국의 간척, 45pp 

  31. 전라북도 . 농림수산부. 1994. 새만금 종합개발 사업 어업피해 보상조사연구 제 III편 화학해양학적조사, pp. 33-70 

  32. 해양수산부. 1988.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