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지각(空間知覺)에 따라 나타나는 도동서원(道東書院)의 현상적(現象的) 투명성(透明性) 표현(表現)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henomenal Transparency Expression of the Dodong-Seowon using Space Perception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2 no.3 = no.35, 2003년, pp.117 - 130  

황영주 (경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정재 (경북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parency orginated from a visual character of the object recognized to the backside without any obstacle is used as a word explaining the variety of an architectural character from the pre-mordern architecture. Transparency is expressed clearly without using of the material with a permeability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에서는 전통건축공간의 깊이감 표현방식과 그에 따른 공간 구성원리를 재현하는 데에 한계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명성의 일반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건축공간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분석함으로써 도동서원의 공간적 특성을 현상적 투명성1)이라는 접근을 통한 해석유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건축 공간의 투명성에 대한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투명성에 대한 기본적인 분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투명성에 관하여 선행된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C.
  • 본 논문에서는 건축에서의 현상적 투명성의 개념을 토대로 도동 서원에서의 현상적 투명성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 투명하지 않은 재료라도 공간적으로 적절히 사용하여 투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면 투명성의 공간적 체계의 성립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는 투명성을 물체의 특성, 한 개인의 감각과 직관을 얘기하는 것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 두 개의 공간을 구별하고 연결시키는 다양한 효과를 투명성의 공간적 효과를 통해 찾고자 한다.
  • 투명성의 개념에는 전반적으로 게쉬탈트 이론 중의 형상과 배경 이론과 3차원에 시간이라는 요소가 더해진 동시성의 개념으로서 큐비즘 회화와 시·공간개념이 이론적 바탕을 이룬다. 여기서는 투명성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큐비즘, 시 · 공간 개념, 틀과 형상과 배경을 차례로 살펴보고 투명성의 개념을 근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한국 전통건축에 있어서는 유리나 철망 등과 같은 재료의 사용이 아닌 공간적 측면에 대한 투명성이 표현되므로 본 연구는 이에 중점을 두었다.

가설 설정

  • (3) 틀(frame)과 형상(figure)과 배경(ground) 일단 틀은 형상과 배경을 담기 위한 경계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틀이 있기에 형상과 배경으로 설명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