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적인 자세에서 목의 주관적 작업부하 평가
A Study on Subjective Evaluation of Neck Workload in Static Work 원문보기

산업공학 = IE Interfaces, v.16 no.2, 2003년, pp.222 - 228  

김유창 (동의대학교 산업공학과) ,  정현욱 (동의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uter-dominated jobs and industrial automation have rapidly create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WMSDs) and WMSDs are also founded in employees of other general industries. WMSDs has been growing problems for Korean industries with higher incidence rate every year. The objective of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으로 장시간 작업시 목의 근육부하의 평가, 근전도 등 생리학적,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하여 객관화하는 연구, 또한 목 자체의 부하와 상지의 움직임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며, 실험 조건이 너무 많아 실험자를 7명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많은 실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연구는 목의 각 관절에 대한 외부부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 나타나는 목의 자세는 이들 동작의 조합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에서 논의된 작업자세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힘을 포함한 목의 작업부하에 인간의 주관적 불편도를 평가하는 연구이다. 정적인 앉은 작업자세에서 목의 각도와 무게를 이용한 작업부하를 가지고 주관적 불편도의 경향을 분석하고 평가하였으며, 실험의 결과로 목 근육에 부하를 주는 무게와 작업자세가 작업자의 주관적 불편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근골격계질환을 앓고 있는 노동자는 몇 명정도로 추정되는가? 또한 유럽의 경우는 유럽 근로자의 약 4천만 명 이상, 노동력의 30%가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한다. 국내의 경우 IMF 이후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요통을 포함한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산재 처리된 노동자는 1999년 190명, 2000년 814명, 2001년 1598명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노동부, 2001) 환자로 처리되지 않은 유사환자를 고려하면, 국내에서 근골격계질환을 앓고 있는 노동자는 연간 3만-4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근골격계 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은 매년 급속히 증가하여 기업에 큰 인적·물적 비용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근골격계 질환이 전체 직업병의 몇 퍼센트인가?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이 이미 직업병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00년 241,800건으로 전체 직업병의 67%를 차지하고 있고, 150-200억 불의 보상비용을 포함하여 연간 전체 손실비용이 450-540억 불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BLS, 2001). 또한 유럽의 경우는 유럽 근로자의 약 4천만 명 이상, 노동력의 30%가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한다.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은? 산업재해는 작업자의 실수나 생산 설비의 오작동 등에 의한 순간적인 사고에 기인하는 경우도 많지만, 최근에 와서는 잘못된 작업환경 및 작업방법으로 인한 과도한 작업부하가 작업자에게 누적되어 발생하는 요통, VDT 증후군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요양 신청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질환은 특정한 신체 부위의 반복 작업과 불편하고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 강한 노동강도, 과도한 힘, 불충분한 휴식, 추운 작업환경, 진동 등이 원인이 되어 목, 어깨, 팔꿈치, 손목, 손가락, 허리, 다리 등 주로 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근육과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겨 결국 통증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근육골격계의 만성적인 건강장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uras, A.(1994), Relationship between trapezius load and the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illness in th neck and shoulder,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4. 341-348 

  2. Andersen. J. H., Gaardboe, O.(1993), Prevalence of persistent neck and upper limb pain in a historical cohort of sewing machine operato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4(6), 677-687 

  3. Borg. G.(1988), borg's Perceived Exertion and Pain Scales, Human Kinetics 

  4. Borg, G., Ottoson. D.(1986). The perception of exertion in physical work, London: Macmillan 

  5. Bureau of labor statistics(BLS. 2001). Employer cost for employee compensation survey 

  6. Chung. M-K. Choi. K-Y., Song,Y-W., Lee, I-S., Lee, M-S.(1997), Evaluation of Human-body epidemiological workload and Work Posture on Repair Tasks of a Manufacturing Company.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6(5) 

  7. Hales, T. R., Sauter, S. L., Peterson, M. R. Fine, L. J.. Putz-Anderson. V., Schleifer, L. R..Ochs. T.T., Bernard, B. P.(1994),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isual display terminal users in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Ergonomics. 37(10), 1603-1621 

  8. Kee. D-H.(2000). A Review of Postural Classification Schemes for Evaluating Postural Load-Focused on the Observational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15(4) 

  9. Kim, C-H, Kim, S-N., Lee, J-U., Yoon, D-K., Cho, S-A.(2000),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ory : Part I, Spring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0. Kim, Y-C and Choi, Y-H.(2000), A study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perators, Autumn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1. Kim, Y-C., Lee, T-H,. Chung, H-W.(2001), A study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manhole operators, Spring Conference of the Safety Management & Science 

  12. Lee, Y-J., Chung. M-K.(1998), Physiological Workload Evaluation for the engaged in Transportation Service, Autumn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3. McAtammey, M-C., Corlett, E-N.(1993),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y ergonomics, 24(2), 91-99 

  14. Ministry of Labor(2002), The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in 2001 

  15.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 A Critical Rew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DHHS(NIOSH) Publication, 97-141 

  16. Ohlsson, K., Hansson, G. A., Balogh, I., Stromberg, U., Palsson, B., Nordander, C., Rylander, L., Skerfving, S.(1994), Disorders of the neck and upper limbs in women in the fish processing industr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1(12), 826-832 

  17. Tola, S., Riihimaki, H., Videman, T., Viikari-Juntura, E., hanninen, K.(1988), Neck and shoulder symptoms among men in machine operating, dynamic physical work and sedentary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14(5), 299-305 

  18. Veiersted, K. G., Westgaard, R. H.(1994), Subjectively assessed occupational and individual parameters as risk factors for trapezius myalgia,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3, 234-245 

  19. Viikari-Juntura, E., Riihimaki, H., Tola, S., Videman, T., Mutanen, P.(1994), Neck trouble in maching operating, dynamic physical work and sedentary work : a prospective study on occupational and individual risk factor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7(12), 1411-14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