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2년 부산지역 봄철 황사/비황사시 PM10 중의 중금속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lic Elements of PM10 for Yellow sand and Non-Yellow sand during Springtime of 2002 at Busan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2 no.2, 2003년, pp.99 - 108  

전병일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llected and analyzed PM10 samples to accou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lic elements for yellow sand and non-yellow sand during springtime of 2002 at Busan, The mean PM10 mass concentration for springtime of 2002 was $219.82{\mu}g/m^3$ with the maximum $787.50{\mu}g/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봄철 부산지역에서 Low Volume Air Sampler 중의 하나인 MINI-VOL을 이용하여 대기 중의 PM10을 측정하고, 그 중에 함유된 중금속을 황사시와 비황사시로 나누어, 그 특성을 고찰함으로서 황사발생시 어떤 성분의 영향이 많은지를 체계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비사막의 연평균 강수량은 어떠한가? 황사의 주요 발원지는 연강수량이 400 mm이하인 사막이 대부분인 중국의 서북 건조지역으로, 타클라마칸 사막은 중국 사막 총면적의 52%를 차지하는 최대의 사막(1,000 km×400 km)이며, 고비사막은 연평균 강수량이 30 mm정도로 매우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지역이다. 최근 황사(Asian dust)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하와이까지 수송되면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발생한 사하라 먼지(Sahara dust)가 대서양을 가로질러 플로리다반도에서 관측됨으로서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황사의 주요 발원지는 어디인가? 황사의 주요 발원지는 연강수량이 400 mm이하인 사막이 대부분인 중국의 서북 건조지역으로, 타클라마칸 사막은 중국 사막 총면적의 52%를 차지하는 최대의 사막(1,000 km×400 km)이며, 고비사막은 연평균 강수량이 30 mm정도로 매우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지역이다. 최근 황사(Asian dust)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하와이까지 수송되면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발생한 사하라 먼지(Sahara dust)가 대서양을 가로질러 플로리다반도에서 관측됨으로서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02년 부산지역의 봄철 황사시와 비황사시의 금속성분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MINI-VOL을 이용하여 PM10을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1. 2002년 봄철의 PM10 농도는 황사발생일의 경우에 기준치를 초과하는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경우는 비교적 100 mg/m3 내외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2. PM 10의 질량농도는 평균 219.82 mg/m3, 최대 787.50 mg/m3, 최소19.44 mg/m3이었고, Si(8.42 mg/m3)>Ca(5.67 mg/m3)>Fe(3.71 mg/m3)>Al(3.66 mg/m3)>Na(3.24 mg/m3)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Cd(1.42 ng/m3)으로 가장 낮았다. 3. PM10의 농도는 황사시와 비황사시에 각각 362.7 mg/m3과 48.3 mg/m3으로 황사시가 비황사시에 비해 7.5배의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유의한 상관(P<0.05)을 보였다. Al, Ca 및 Mg은 황사시가 비황사시보다 10배 이상의 농도를 보였으며, Fe, Si 및 Mn은 4~8배 정도를 나타났고, Na, Cu 및 Zn은 비황사시가 황사시보다 더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황사시 Al은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Al, Fe, Mg, Si 및 Mn은 황사시와 비황사시 간에 유의한 상관(P<0.05)을 보였다. 4. Cd, Cu, Pb, Zn, Cr, K, Mn, Na 및 Ni은 황사시 보다는 비황사시에 10 이상의 높은 지각농축계수를 나타내었으며, 토양입자의 기여율은 황사시(21.7%)가 비황사시(9.3%)보다 2.3배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대기오염연구회. 2000. 환경분석을 위한 대기환경시험법, 동화기술, 514pp 

  2. 박민하, 김용표, 강창희, 2001, 황사/비황사의 입자조성 변화: 1993~1996년 봄철 고산 측정자료.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7(6). 487-492 

  3. 박현미, 이용근, 이동수. 1991. 봄철 우리나라 대기분진의 화학조성에 관하여 (황사 때 더욱 낮아지는 서울대기의 중금속 오염도). 1991년 한국대기보전학회 학술연구발표요지집. 44~48 

  4. 신은상. 김희강. 1992. 서울시에서의 대기부유먼지에 대한 황사의 영향.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1), 52-57 

  5. 오진만. 김득수. 2001. 군산지역 부유분진의 계절적 농도변화와 화학적 조성에 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7(6), 475-485 

  6. 이민희, 平井英二, 宮埼元一. 丁子哲治,全浩,1994, 황사현상시 황사입자가 우리나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 1994년 한국대기보전학회 추계요지집. 27-29 

  7. 이민희, 한의정, 신찬기, 한진석, 김상균, 1993, 황사현상시 대기에어로졸 중 무기물질의 동태,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3). 230-235 

  8. 전병일, 박재림, 박종길, 2002. 1999년 1월의 황사발생시 부산지역의 부유분진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1(10). 1,081-1,087 

  9. 최규훈, 김기현, 최여진, 김미경, 강창희, 김민영, 이진홍, 김지영, 2002, 2001년 황사기간 중 서울과 제주 고산지역 중금속성분의 분포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9-150 

  10. 최금찬, 유수영, 전보경, 2000, 부산지역의 입자상대기오염물질의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6(2), 41-48 

  11. 최성우, 송형도, 2000, 대구지역 부유분진 중 미량금속성분의 발생원 특성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5), 469-476 

  12. 최재천, 오성남, 박기준, 2000, 1998년 서울의 봄철 에어러솔 중 이온성분과 금속원소에 관한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6(5), 551-560 

  13. 최재천, 조하만, 김지영, 김산, 박기준, 1999a, 1998년 봄철 서울지역 에어러솔 중 TSP와 pm10의 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기상학회지, 35(1). 38-46 

  14. 최재천, 조하만, 박기준, 김산, 1999b, 서울과 안면도에서 관측된 에어러솔의 화학적 특성비교. 한국기상학회지, 35(3), 396-404 

  15. 최재천, 조하만, 전영신, 박기준, 1999c, 1998년 봄철 서울에서 관측된 에어러솔의 금속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63-271 

  16. 황용식. 2003. 부산지역 강하먼지의 화학적 조성과 대기환경적 특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0pp 

  17. 환경부, 2002. 3,4월 황사시 중금속 분석결과 발표, 환경부 보도자료. 2pp 

  18. Berg, T., Royset, o., and E. Steinners, 1994, Trace elements in atmospheric precipitations at Norwegiom background stations(1989-1990) measured by ICP-MS, Atmos. Environ., 28, 3519-3536 

  19. Kim, Byung-Con and Soon-Ung Park, 2001, Transport and evolution of a winter-time Yellow sand observed in Korea, Atmos. Environ.,35, 3191-3201 

  20. Kim, Ki-Hyun, Choi,Gyoo-Hoon,Kang Ghang-Hee,Lee, Jin-Hyun, Kim, J. Y., Youn,,Y. H., and S. R Lee,2003, The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and coarse particle in relation with The Asian Dust events,Atmos. Environ., 37. 753-765 

  21. Var, F., Narita, Y., and S. Tanaka, 2000, The concentration, trend and seasonal variation of metals in the atmosphere in 16 Japanese cities shown by the results of National Air Surveillance Network(NASN) from 1974 to 1996, Atmos. Environ.,34, 2,755-2,770 

  22. Watson, J. G., 1988, 'Transections receptor models in air resources management, An international specialty conference, San Francisco, California, 491pp 

  23. Yang, K. L., 2002,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 of PM10 mass concentration in Taiwan, Atmos. Environ., 36, 3403-34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