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국(中國) 귀주성(貴州省) 소수민족(少數民族)의 민족복식(民族服飾)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raditional Costume of the Minorities in Guizhou Province of China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7 no.4, 2003년, pp.142 - 154  

부애진 (제주관광대학 뷰티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stume of the 6 minorities dwelling in Guizhou Province of China.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Guizhou Province yields much silver, most of the minorities used silver ornaments a lot and dyed their garments by using indigo extracted from pl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국의 소수 민족 가운데 귀주성에 거주 하는 6개의 소수민족 복식의 유형을 살펴보고 거기에 표현된 여러 가지 장식적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소수 민족 복식의 가치와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소수민족 가운데 귀주성(貴州省) 내에 거주하는 6개의 소수민족인 동족(侗族), 먀오족(苗族, 묘족), 뿌이족(布依族, 포의족), 수이족 (水族, 수족), 이족(彛族), 거라오족( 仡佬族, 흘요족)을 중심으로 한 복식의 유형을 알아보고 거기에 표현된 여러 가지 장식기법을 알아봄으로써 소수민족 복식의 가치와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검서, 천남, 운남 동남, 운남 동북 및 계북 지역에서는 대금(大襟) 혹은 대금단의(對襟短衣), 해남 일대에는 흑색 원령편금장삼(圓領偏襟長衫)을 착용하며 홍색 직대(織帶)를 허리에 차고 있으며 옷깃, 수구, 단에는 홍포(紅布)로 장식을 하였다.38) 각지 먀오족 남자의 복식은 지역 차가 적다<;그림 4>. 노년은 청포장삼 (靑布長衫), 청년은 대금(對襟) 혹은 대금상의(大襟上衣), 성장(盛裝)을 착용할 때는 백조의(百鳥衣) 혹은 백 색마포 장삼(長衫)으로 깃과 소매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은 어떤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가? 중국은 아시아 대륙의 동부에서 태평양의 서안에 위치한 광활한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그 영역을 황하의 중하류 지역, 이른바 중원이라는 작은 나라들을 시작으로 시대에 따라 확장되거나 줄어들거나 하면서 지금에 와서는 광활한 지역을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귀주성에는 주로 어느 족이 거주하고 있는가? 귀주성에는 주로 동족, 먀오족, 뿌이족, 이족, 수이족, 거라오족이 거주하고 있다.
중국의 소수 민족 가운데 귀주성에 거주 하는 6개의 소수민족 복식의 유형을 살펴보고 거기에 표현된 여러 가지 장식적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소수 민족 복식의 가치와 의미를 알아보는 연구 결과는? 귀주성 지역은 다량의 은이 생산되는 자연조건으로 인해 소수민족 대부분이 은장식을 많이 하게 되었으며 특히 소수민족 가운데 먀오족은 성장(盛裝) 시에 가장 화려한 은장식을 하였다. 소수민족 대부분이 그지역에서 생산된 식물에서 남색을 채취하여 의복에 염색하는 경우가 많았다. 두식으로는 남녀가 긴 포를 머리에 다양한 방법으로 감는 두파(頭 ) 형식을 취하였으며, 여자의 경우은장식을 성장을 할때 주로 착용하였고 우각(牛角)장식이나 털실 방울과 같은 주식(珠飾)도 하였다. 상의로는 대부분 대금(對襟) 혹은 대금(大襟) 단상의 (短上衣)를 착용하였으며, 하의로는 남자는 바지 형태인 고를 착용하며 여자는 고나 군(裙)을 병용하여 착용하였다. 장식 기법으로는 자수, 납염, 직조 방법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였으나 그 사용되는 문양이나 색상은 각 소수민족마다 다르게 나타났는데 문양은 전통적으로 사용하여 오던 것을 계승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정승일, 박태화, 임영태(1994). 아시아. 교학연구사 

  2. 황춘섭(1995). 세계전통복식. 수학사 

  3. 문광희 역(1995). 동양복장사논고 고대편. 경춘사 

  4. 박춘순(1995).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연구(I). 복식, 26, 175-207 

  5. 김진구, 김순심(1993). 중국 조선족의 복식연구(I). 복식, 20, 191-201 

  6. 권현주(1995). 실크로드 주변의 민족복식. 복식, 24, 103-120 

  7. 동아출판사백과사전부.(1982). 동아원색대백과사전4. 동아출판사 

  8. 中國民族服飾.(1986). 四川人民出版社 

  9. 박성실, 이수웅 역(1992). 中國服飾史. 경춘사 

  10. 산중턱에 말뚝을 박아 그 위에 세운 큰집 

  11. 브리태니커세계대백사전 15(1993). 브리태니커, 동아일보 

  12. 中國古代民族志(1993). 中華書局 

  13. 박성실, 이수웅 역, 앞의 책, p. 297 

  14. 박성실, 이수웅 역, 앞의 책, p. 297 

  15. 杉本正年(1982). 中國西南部少數民族の服飾文化 II. 衣生活, 6(1), 50-55 

  16. 원·명·청시대의 소수민족의 세습족장제도 

  17. 먀오족이나 요족 등의 소수민족이 모여사는 지역에 임명된 漢族벼슬아치 

  18. 세계민족사전.(1992). 중앙일보사 

  19. 杉本正年(1982). 中國西南部少數民族の服飾文化I. 衣生活, 5(2), 51-55 

  20. 브리태니커세계대백사전.(1993). 브리태니커, 동아일보 

  21. 서울언론인클럽출판부.(1994). 중국민속생활사 I 

  22. 中國民族服飾, 앞의 책, p. 242 

  23. 박성실, 이수웅 역, 앞의 책, p. 299-300 

  24. 세계민족사전. 앞의 책, p. 95 

  25. 中國民族服飾, 앞의 책, p. 252 

  26. 세계민족사전, 앞의 책, p. 88 

  27. 박성실, 이수웅 역, 앞의 책, p. 295 

  28. 브리태니커세계대백사전 18(1993). 브리태니커, 동아일보 

  29. 세계민족사전, 앞의 책, p. 92 

  30. 中國民族服飾, 앞의 책, p. 617 

  31. 가슴에 두르는 한조각의 천 

  32. 수구 및 가장자리에 다른 천이나 자수띠로 장식하는 방법 

  33. 박성실, 이수웅 역, 앞의 책, p. 300 

  34. 행전(行纏)이라고도 하며, 하퇴를 보호하고 장식적인 기능을 갖는 각의(脚衣)이다 

  35. 韋榮慧(1992). 中華民族服飾文化. 紡織工業出版社 

  36. 王富(1992). 苗裝. 人民美術出版社 

  37. 韋榮慧(1992). 中華服飾文化. 紡織工業出版社 

  38. 多田佳子, 陳立權譯(1986). 貴州少數民族服飾デ ザイン集. 外文出版社 

  39. 요복(腰腹)에 두르는 장식물 

  40. 띠를 연결하여 만든 대 

  41. 王富, 앞의 책, p. 13 

  42. 어깨덮개 

  43. 허리에 묶는 길이가 긴 에프론과 같은 것으로 위요(圍腰)라고도 함 

  44. 시트 커버의 일종 

  45. 가방의 일종 

  46. 韋榮慧(1992). 앞의 책, p. 238 

  47. http://www.hischina.net/ 

  48. 中國民族服飾, 앞의 책, p. 149 

  49. 中國民族服飾, 앞의 책, p. 6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