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6 no.4, 2003년, pp.43 - 51
전권석 (임업연구원 중부임업시험장) , 오성윤 (경남 거창군청 산림녹지과) , 마호섭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e to the stability on cut slope of forest roads by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The total of 19 environmental factors on cut slope of forest roads were investigated in about 42.74km constructed during 1987 to 1993 in Gyeongnam and Jeonnam province. The evaluati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임도의 절토비탈면의 각 조사구를 무엇에 따라 안정구와 불안정구로 구분하는가? | 임도의 절토비탈면의 각 조사구를 토양침식 및 붕괴발생의 발생 유무에 따라 안정구와 불안정구로 구분하고 절토비탈면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
침식토사량과 식생피복도는 몇%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가? | 침식토사량과 식생피복도와는 1% 수준에서, 평형사면(□), 미사질식양토(SiCL)와는 5% 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박문수 등 (1995), 小橋 등(1979)은 임도비탈면에서 식생피 복도의 증가가 침식량을 줄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식생은 동상, 동결, 융해와 같은 동상침식, 풍침식 등 지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감소․방지하고, 식생피복이 완성되면 우적침식 및 표면침식은 완전히 방지된다고 하였다. | |
절토비탈면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 1. 절토비탈면에서 발생한 토양침식량은 표고, 상부(사면위치), 볼록사면(凸), 사면경사, 비탈면길이, 사질식양토(SiL), 남쪽(South)사면과는 정의 상관을, 식생피복도, 평형사면(□), 미사질식양토(SiCL)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절토비탈면의 안정성 판별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는 식생피복도, 토양경도, 사면경사, 표고, 미사질양토, 볼록사면, 복합사면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절토비탈면에서 안정구(2)와 불안정구(1)의 중심값은 각각 -1.194와 1.127로 나타났으며, 이때 판별구분치는 -0.072이었다. 4. 절토비탈면 조사구의 불안정구와 안정구에 대한 판별능력의 적중율은 불안정구는 125개 중 117개가 판별됨으로서 93.6%의 적중율을, 안정구는 117개의 조사구 중 102개를 판별시켜 87.2%의 적중율을 보였으며 두 그룹의 전체 판별능력은 90.4%였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