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간염 환자에서 유디비 (UDB)와 대조약(DDB)의 유효성 및 안전성 비교평가: 8주 무작위배정, 활성약물 대조, 이중맹검 및 평행군에 의한 제3상 임상시험
A 8weeks, Double blind, Randomized Comparative Clinical Trial Comparing The Efficacy and Safety between UDB and DDB for Chonic Hepatitis : Phase III Study

臨床藥理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v.12 no.1, 2004년, pp.57 - 66  

손동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대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장우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수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양진모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한준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규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선희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재광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UDB캅셀은 DDB(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12.5mg와 UCDA(Ursodeoxycholic acid) 50.0 mg의 복합제제이다. 2상연구에서 나타난 최적의 용법 및 용량에 따라 UDB와 대조약(DDB)을 만성 간질환 환자에 투여하면서 8주 무작위배정, 활성약물 대조, 이중맹검, 평행군에 의한 제3상 임상시험을 통해 UDB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간조직 검사 또는 임상적 소견에 의하여 진단이 확정된 만성 간염 환자 중 자의적으로 본 임상연구에 참가함을 서면으로 동의한122명을 피험자로 하였고 무작위로 두군으로 나누어 각각 UDB와 DDB를 8주간 투여하였다. 총 10주간의 엄상시험에서 시험약의 유효성 검정을 위해 일차 평가변수로 UDB 투여 전(baseline)과 투여4주, 투여8주 및 추적 기간(10주)에 UDB군과 DDB군간 ALT수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차 평가변수로 UDB 투여 전, 투여4주 투여8주 및 추적기간(10주)에 ALT 수치의 정상화율을 DDB를 투여한 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임상시험 결과가 각 피험자들의 간염 원인 인자(HBV, HCV, 만성간염, 및 HBV+HCV)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비교하였다. 결과 : 투여 8주째에 UDB군과 DDB군의 ALT level은 각각 $24.5{\pm}18.5$ IL/U와 $32.3{\pm}22.2$ IU/L(p=0.038)였다. 투여기간 동안 나타난 정상 화율은 4주, 8주에서 UDB군과 DDB군에서 각각 86.9% vs 73.8%(p=0.068), 85.2% vs 72.1% (p=0.068)이었고, 투여종료 후 추적 기간인 10주에서는 각각 19.6% vs 16.4% (p=0.319)였다. 만성 간염의 원인인자가ALT수치의 하강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임상시험기간중 전례에서 약물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ALT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UDB의 투여시 혈청 ALT수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혈청 ALT 정상화율도 대조군에 비해 우월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약물의 투여 중지 후에도 대조군에 비해 낮은 ALT수치를 유지하였다. 또한 임상시험 기간 동안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ADR)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UDB는 본 임상연구 기준에서 포함하는 모든 병력의 만성 간질환에서 ALT 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있는 경우 효과적이고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제제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Aims : UDB is a new product of DDB(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and UDCA(ursodesoxycholic acid) combination, each of which has been used for managing chronic liver disease. We conducted a phase III randomized clinical trial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UDB versus DDB in Korea...

주제어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