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토리 가루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도토리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87.29%, 수분 10.57%, 조지방 1.18%, 조단백 0.84%, 회분 0.12% 순으로 나타났다. 도토리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이 40.68mg/100g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P(8.95mg/100g), Ca(8.64mg/100g), Mg(4.67mg/100g), Na(3.94mg/100g), Fe(1.41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7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rhamnose, galactose, arabinose, mannose, fucose, xylose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가 31.87%로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C18:2)는 18.72%, linolenic acid(C18:3)는 16.67% 그리고 palmitic acid(C16:0)가 11.32%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IC_{50}$$19.0{\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75% 에탄올 추출물$(IC_{50}:\;21.4{\mu}g/mL)$메탄올 추출물$(IC_{50}:\;45.2{\mu}g/mL)$순으로 항산화 효과가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corn powder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functional food. Proximate components were 87.29% crude fiber, 1.18% crude fat, 0.84% crude protein, and 0.12% crude ash. Potassium was most predominant mineral, followed by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토리 가루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도토 리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87.
  •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근교에서 채취한 도토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음료 및 식품 개발 등 식품소 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그의 화학성분을 분석하고, 생리활성 기능의 탐색으로 도토리 가루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im JO, Lee MJ. Studies on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corn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8: 230-235 (1976) 

  2. Lee MH, Jeone JH, Oh MJ.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693-700 (1992) 

  3. Kwon JH, Kim SJ, Lee JE, Lee SJ, Kim SK, Kim JS, Byun MW. 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starch isolated from gamma-irradiated acor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07-1012 (2002) 

  4. Lopes GK, Schulman HM, Hermes-lima M. Polyphenol tannic acid inhibits hydroxy radical formation form fenton reaction by complexing ferrous ions. Biochem. Biophys. Acta 1472: 142-152 (1999) 

  5. Kim BN. A study on the literature review of acorn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1: 158-163 (1995) 

  6. Sung IS, Kim MJ, Cho SY.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27-333 (1997) 

  7. Kang MH, Lee JH, Lee JS, Kim JH, Chung HK. Effect of acorn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Korean J. Nutr. 37: 169-175 (2004) 

  8. Han JS, Han YB. The effect of high fat diet and dietary fib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541-547 (1994) 

  9. Metcalfe LD, Schmitz AA. The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3: 363-364 (1961) 

  10. Shim TH, Han KS, Lee TJ, Cheong EH, Lee HK. Compositon of lipid and amino acid in Semisulcospira gottschei tissues, J. Food Hyg. Saf. 9: 81-87 (1994) 

  11. Choi JH, Jang JG, Park KD, Park MH, Oh S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981) 

  12. Kim JY, Maeng YS, Lee KY.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635-639 (1995) 

  13. Seo YH, Kim IJ, Yie AS, Min HK.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n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n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1999) 

  14. Lee GD, Kim JS, Bae JO, Yoon HS. Antioxo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17-22 (1992) 

  15. Kim CS, Shin ET.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varieties of acorn in Korea.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3: 17-22 (1975) 

  16. Chae SK, Yu TJ.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tannin in food by fungal tann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22 (1973) 

  17. Choi OB, Park KH. Assay of constituent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14: 271-276 (1997) 

  18. Ha BS, Bae MS, Jeong TM. Studies on constituent variation duting storage after freeze-drying of chestnut.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97-105(1982) 

  19. Yook GJ, Lee HJ, Kim MK. Effect of chestnut and acorn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5: 171-18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