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고정식 교정 치료 후의 안정성
The stability in the adolescent Class III malocclusion treated by fixed appliances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4 no.4 = no.105, 2004년, pp.313 - 324  

임용규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학교실) ,  이주나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학교실) ,  김정일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학교실) ,  이동렬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 한자의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골격성, 치성 분석을 통하여 안정군과 재발군을 구별하여 주는 요소를 찾아보아 III급 부절 교합의 치료시 안정성을 고려한 치료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고정식 교정 장치를 통한 전치부 반대 교합 혹은 절단 교합의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 치료 후 최소 1년 동안 안정된 결과를 보인 안정군 33명과 관찰 기간 동안 절단 교합 이하의 수평 피개를 보인 재발군 2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t-te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건후방적 골격 형태보다는 수직적 형태, 특히 AB-maxillo-mandibular triangle내의 수직적 형태가 III급 부정 교합치료의 예후에 주요한 결정 인자로 나타났다. 수직 각도 계측 항목에 의한 안정군과 재발군간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은 AB-MP, ODI로 나타났다(P<0.01). 수직 비율 계측 항목에서도 MP-P/AL, PP-P/AL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재발의 경향은 교합 평면 특히. 하악 교합 평면이 전하방으로 급경사를 이룰수록 증가했다. 친합 평면 경사도와 관련된 계측 항목에 의한 안정군과 재발군간의 비교에서 OP(L)-PP, OP-PP, AB-OP(L), Wits appraisal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는 전후방 부조화가 아닌 골격성, 치성 수직 부조화가 재발을 예측하는 적절한 기준이 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relapse in orthodontic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growing patients. A total of 55 patients were studied and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tability in the post-treatment stage. Of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an'®은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분석을 이용한 전후방 골격 평가 방법의 연구에서 APDI가 가장 높은 진단력을 가진 측정 항목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평 피개와 구치부관계의 기준을 만족시킨 대상이라 하더라도 0이상의 ANB angle과 85 이하의 APDI(평균 81.37에서 표준편차 3.79를 넘는 범위切값을 갖는 자료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시켜 치성 III급 부정 교합이 아닌 골격성 IIT급 부정 교합을 대상으로 치료의 예후와 관련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후방 부조화가 아닌 골격성, 치성 수직부조화가 재발을 예측하는 적절한 기준이 됨을 시사하였다.
  •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 환자의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골격성, 치성 분석을 통하여 안정군과 재발군을 구별하여 주는 요소를 찾아 보아 III급 부정 교합의 교정 치료시 안정성을 고려한 치료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골격성 m급 부정교합의 진단시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골격적, 치성 분석을 통하여 안정군과 재발군을 구별하여 주는 요소를 찾아 성장기 国급부정 교합의 교정 치료시 안정성을 고려한 치료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ttagel JM. Class Ill malocclusion: the post-retention findings following a non-extraction treatment approach. Eur J Orthod 1993;15:45-55 

  2. Skieller V, Bjork A, Lind-Hancen T. Prediction of mandibular growth rotation evaluated from a longitudinal implant sample. Am J Orthod 1984;86:359-70 

  3. Mi yajima K, McNamara Jr JA, Sana M, Murata S. An estimation of craniofacial growth in the untreated Class Ill female with anterior crossbit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7;112:425-34 

  4. Ishikawa H, Nakamura S, Iwasaki H, Kitazawa S, Tsukda H, Sato Y. Dentoalveolar compensation related to variations in saggital jaw relationships. Angle Orthod 1999;69:534-8 

  5. Bibby RE. Incisor relationships in different skeletofacial patterns. Angle Orthod 1980;50:41-4 

  6. Battagel SM. Predictors of relapse in orthodontically treated Class Ill malocclusions. Br J Orthod 1994:21:1-13 

  7. 성재현, 권오원, 김상두. III급 부정 교합의 치료 후 예후에 관한 후향적 고찰 대치교정지 1998;28:175-87 

  8. Tahmina K, Tanaka E, Tanne K. Craniofacial morphology in orthodontically treated patients of Class Ill malocclusion with stable and unstable treatment outcom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7:681-90 

  9. Zentner A, Doll GM, Peylo SM. Morphological parameters as predictors of successful correction of Class Ill malocclusion. Eur J Orthod 2001;23:383-92 

  10. Franchi L, Baccetti T, Tollaro L. Predictive variables for the outcome of early functional treatment of Class Ill malocclu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7;112:80-6 

  11. Battagel JM. Identification of the relapsing class Ill face: Chernoff faces in orthodontics. Br J Orthod 1993;20:193-202 

  12. Kerr WJS, Orth D, Miller S. Class Ill malocclusion: Surgery or Orthodontics? Br J Orthod 1992;19:21-4 

  13. Nanda RS, Merrill RM. Cephalometric assessment of sagittal relationship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4;105:328-44 

  14. Lishikawa H, Nakamura S, Iwasaki H, Kitazawa S. Seven parameters describing anteroposterior jaw relationships: Postpubertal prediction accuracy and interchangeabili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7:714-20 

  15. Millett D, Gravely JF. The assessment of antero-posterior dental base relationship. Br J Orthod 1991;18:285-97 

  16. Han UK, KimYH. Determination of Class II and Class III skeletal pattern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on various cephalometric measurem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8;113:538-45 

  17. Kim YH, Vietas JJ,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An adjunct to cephalometric differential diagnosis. Am J Orthod 1978;73:619-33 

  18. Kim YH. Overbite depth indicator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nterior open-bite. Am J Orthod 1974;65:586-611 

  19. Johnston LE. A statistical evaluation of cephalometric prediction. Angle Orthod 1968;38:284-3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