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 제3대구치 발거 시기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ower third molar on the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4 no.5 = no.106, 2004년, pp.394 - 407  

손명호 (공중보건의) ,  장영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시에 하악 제3대구치의 존재가 하악 치열의 원심 치군 이동(distal en masse movement) 및 치료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을 받고, 이에 대한 교정 치료를 받은 36명(남자: 9명, 여자: 27명)을 선택하였다. 모든 환자는 제3대구치 이외의 다른 치아는 발거하지 않았다. 이를 하악 제 3대구치의 발거 시기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제1군은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MEAW를 사용하여 치료를 종료한 12명이며, 제 2군은 MEAW 적용 후에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한 8명. 제 3군은 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18명이다 각 환자들에 대하여, 전체 치료 기간 및 MEAW 적용 기간을 구하였으며, 치료 전 후의 측모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각 군에 대한 치료 기간 및 치료 전 후의 변화를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치료 기간은 각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MEAW를 적용한 기간은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가장 길었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치료 후에 형성된 overjet이 가장 컸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5대구치를 발거한 군)의 경우 치료 후에 IMPA가 감소하였으나, 제1군(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치료를 종료한 군)과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는 IMPA가 증가하였다 제2대구치의 원심 치체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원심 경사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제 2군 제 3군 제 1군의 순이었다. 따라서, MEAW를 적용하기 이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이 III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치료에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 2군의 경우, 하악골의 전방 회전 결과, 하악 평면각의 감소가 있었으며 이러한 골격 변화가 치료 기간의 연장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lower third molar on treatment time and distal en masse movement of the lower dentition in Giass III malocclusions. Thirty subjects (9 males and 27 females) were selected, all of whom were diagnosed as Glass III malocclusion and treat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IP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치료에서, 하악 제3대구치의 발거 시기에 따른 교정 치료 기간의 차이와 하악 치열의 치군 원심 이동(distal en masse movement) 양상의 차이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田급 부정교합의 치료 시, 하악 저] 3대구치가 하악 치열의 원심 치군 이동(distal en masse movemen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하악 제3대구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치료를 종료한 제 1군 12명과, MEAW를 적용한 이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제 2군 8명, 그리고 MEAW를 적용하기 이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제 3군 16명을 대상으로, 전체 치료 기간 및 MEAW 적용 기간을 비교하였으며, 치료 전 후의 측모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각 군에 치료 양상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MEAW기법에 의하여 치료를 받은 HI급 부정교합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하악 제3대구치의 유무에 따라, 이러한 하악 구치부의 직립과, 하악 절치및 상악 전치의 치아 치조성 보상 작용, 그리고 교합평면의 변화가 영향을 받는지를 평가하고 그에 따른 치료 기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는 서울대학교병원 치과 진료부 교정과에서 Ⅲ급 부정교합으로 진단을 받고, 이에 대한 교정적 치료를 받은 환자로서, 제3대구치를 제외한 다른 치아의 발거는 하지 않았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세 군 사이의 통계적인 비교가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3대구치의 발거 시기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으며, 교정치료 시 leveling과 alignment에서 발생하는 변화는 세 군에서 비슷하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해서는 leveling과 alignment시에 발생하는 변화를 따로 기술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Garn S M, Lewis AB, Bonne B. Third molar formation and its devel-opmental course, Angle Orthod 1962;32:270-9 

  2. Barnett DP. Late development of a lower third molar-A case report, Br J Orthod 1976:3:111-2 

  3. Bishara SE, Andreasen G. Third molars: A review. Am J Orthod 1983;83:131-7 

  4. 김재오, 정규림. 골격성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의 제2, 제3대구치의 석회화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0;20:123-32 

  5. Richardson M. Late third molar genesis:lts significance in orthodontic treatment. Angle Orthod 1980;50:121-8 

  6. Thomas WP. Nonsurgical treatment for a Class III dental relationship: A case report. Am J Orthod Dcntofacial Orthop 1993;103:203-11 

  7. Silling G. Development and erup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and its response to orthodontic therapy. Angle Orthod 1973;43:271-8 

  8. Woodside DG. Round table:extra oral force. J Clin Orthod 1970;4:554-77 

  9. Ricketts RM. Third molar enucleation:Diagnosis and technique. J Calif Dent Assoc 1976;4:52-7 

  10. Sato S. Case report:Developmental characteriza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gle Orthod 1994;105-112 

  11. Miyajima K and Iizuka T. Treatment mechanics in Class III open bite malocclusion with Tip Edge techniqu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110:1-7 

  12. Kim YH. Anterior openbite and its treatment with multiloop Edgewise Archwire. Angel Orthod 1987:290-321 

  13. Shanley LS. The influence of mandibular third molars on mandibular anterior teeth. Am J Orthod 1962;48:786-7 

  14. Vego LA. A longitudinal study of mandibular arch perimeter. Angle Orthod 1962;32:187-92 

  15. Schwarze CW. The influence of third molar germectomy:A campara-tive long-term study, London:Transactions of the Third International Orthodontic Congress. 1975;551-62 

  16. Lindquist B, Thilander B. Extraction of third molars in cases of antici-pated crowding in the lower jaw. Am J Orthod 1982;81:130-9 

  17. Pirttiniemi PM, Oikarinen KS, Raustia AM. The effect of removal of all third molars on the dental arches in the third decade of life. J Cra-niomand Prac 1994;12:23-7 

  18. 양원식. 하악 제3대구치의 매복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1;11:77-83 

  19. 김재승, 정규림. 하악 제3대구치의 맹출에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8;18:79-87 

  20. 정규림, 이정민. 제1소구치 발치 증례와 비발치 증례에서의 하악 제3대구치 맹출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3;23:47-55 

  21. 이경원, 배성렬, 김상철. 교정 치료에 따른 미맹출 하악 제3대구치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6;26:105-11 

  22. Hellman M. Our third molar teeth; their eruption, presence and ab-sence. Dental Cosmos 1936;78:750-62 

  23. Bjork A. Mandibular growth and third molar impaction. Acta Odont Scand 1956;14:231 

  24. Dachi SF. Howell F. A survey of 3874 routine full mouth radiograph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 1961;14:1165-9 

  25. 홍순창, 유영구. 하악 제2대구치 발거 후 제3대구치 변화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7;17:321-32 

  26. Dacre JT. The criteria for lower second molar extraction. Br J Orthod 1987;14:1-9 

  27. Richardson ME. Lower third molar development subsequent to second molar extraction.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3;104:566-74 

  28. 박준상, 양원식. 제 3대구치의 선천적 결손과 타 치아수의 이상과의 관계. 대치교지 1980;10:55-63 

  29. Gam SM. Lewis AB. The relationship between third molar agenesis and reduction in tooth number. Angle Orthod 1962;32:14-8 

  30. Dermaut LR, Kleutghen JPJ, De Clerck HJJ.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upper first molar in a macerated, dry human skull submitted to horizontal headgear trac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6;90:29-36 

  31. Bjork A. Prediction of manclibular growth rotation. Am J Orthod 1969;55:585-99 

  32. Mill LF. Epidemiological studies of occlusion IV:The prevalence of ma locclusion in a population of 1455 school children. J Dent Res 1966;45:132-40 

  33. Kelly JE. An assessment of the occlusion of the teeth of children: DHEW Publication No (HRA) 74-1612,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cs 1973 

  34. Ingervall B. Prevalence and awareness of malocclusion in Swedish me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78;6:308-14 

  35. Miyajima. An estimation of craniofacial growth in the untreated Class III female with anterior crossbit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7; 112:425-34 

  36. Lew KKK, Foong WC. Horizontal skeletal typing in an ethnic Chinese population with true Class III malocclusion.Br J Orthod 1993;20:19-23 

  37. 서정훈, 남동석, 장영일. 한국인 부정교합 발생빈도에 관한 역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84;14:33-7 

  38. 강혜경, 유영규. 1991학년도 연세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부정교합빈도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2;22:691-700 

  39. 양원식. 최근 10년간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고찰(1985년-1994년). 대치교정지 1995;25:497-509 

  40. 유형석, 유영규, 이장열. Y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 내원환자의 지역분포와 부정교합 분류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9;29:267-76 

  41. Ishikawa. Dentoalveolar compensation related to variations in sagittal jaw relationships. Angle Orthod 1999;69:534-8 

  42. Battagel JM, Orton HS. Class III malocclusion:a comparison of extrac- tion and non-extraction techniques. Eur J Orthod 1991;13:212-22 

  43. Fox JN. A nonsurgical and nonextraction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a skeletal and den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a growing pati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0:98:470-5 

  44. Frank CA. The nonsurgical orthodontic correction of Class III malocc-lu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3;103:107-14 

  45. Kondo E, Aoba TJ. Nonsurgical and nonextraction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open bite:Its long-term stabili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7:267-87 

  46. Levy AA, Caputo AA, Chaconas SJ, Effects of orthodontic intermaxi-Ilary Class III mechanics on craniofacial structures:Part I - Photoe-lastic analysis. Angle Orthod 1979;49:21-8 

  47. Levy AA, Caputo AA, Chaconas SJ. Effects of orthodontic intermaxi-llary Class III mechanics on craniofacial structures:Part II - Compu-terized cephalometrics, Angle Orthod 1979;49:29-36 

  48. Lu YCL. Craniofacial morphology of adolescent mandibular progna-thism. Angle Orthod J 1993;277-82 

  49. Sato S. Author response to Commentary: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gle Orthod 1994;64: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