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강Slag 충진 폐플라스틱/복합 전도성 filler복합재료의 전자파 차폐 효과
EMI Shielding Efficiency of Recycled plastic/Hybrid Conductive filer Composites filled Electro Arc furnace Slag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19 no.4 = no.68, 2004년, pp.80 - 85  

강영구 (호서대학교 안전시스템공학과) ,  송종혁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 shielding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filled with Cu flake and carbon brush powder as hybrid conductive filler and EAF slag have been studied. The coaxial transmission line method of ASTM D4935-99 was used to measure the EMI Shielding effectiveness of composites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단순 첨가형 충진재로는 대표적으로 전도성 carbon black과14) powder 또는 flake상15)의 금속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평균적인 차폐효과를 위해서는 충진함량이 30wt(%)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들 전도성 충진재들은 대부분 고가의 수입품들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구리전선을 수거하여 flake상으로 가공한 후 고 동함량의 폐carbon brush와 혼합하여 전도성 filler로 사용하였으며 함철 성분을 갖는 제강 slag와 함께 혼합하여 폐플라스틱 matrix 수지에 첨가하고 전자파 차폐 효율을 측정하여 전자파 차폐 관련 저가 안전소재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매트릭스 수지인 폐HDPE를 분쇄하여 진공건조기에서 60℃, 12hr 동안 건조하고 90℃에서 24hr 이상 건조된 200mesh 이하 입도의 EAF slag powder, 두가지 두께로 가공된 폐Cu flake와 폐carbon brush powder를 formulation에 따라 double cone mixer에서 30rpm으로 10분간 혼합한 후 열압착 성형기를 이용하여 200mm×200mrn의 금형내에서 190℃의 온도로 압착성형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전기전도성 충진재로 사용된 Cu flake는 0.08Φ, 0.26Φ의 직경을 갖는 폐동선을 롤(rolling)가공을 통해 압연 후 커팅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2~3mm 크기로 절단하여 flake상으로 가공하였다. Roll가공 후 flake의 폭(width)과 두께(thickness)는 0.
  •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filler로서 flake상의 구리와 powder상의 carbon brush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formulatkm에 따른 복합성형체의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ASTM D638 규격에 의한 인장강도 특성과 ASTM D256 규격에 따른 충격강도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Zooming stereomicroscopy(OSM-1, dongwon science)를 이용해 전도성 충진재 및 성형체의 표면을 60배의 배율로 관찰하였고 전도성 충진재의 분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SEM((PSEM-75, RJ Lee Instruments Ltd.)을 이용하여 성형체의 파단면을 gold sputtering 한 후 100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이론/모형

  • 복합 성형체의 전기적 특성은 Micro-Ohmmeter를 이용하여 4 Probe method로 측정하였으며 체적저항을 계산하여 formulation에 따른 값을 비교하였다. 전자파 차폐효율 측정은 ASTM D4935-9917)따라 제작된 Flanged circular coaxial transmission line method를 이용하였고 제조된 판상의 전자파 차폐 복합성형체를 Fig.
  • 비교하였다. 전자파 차폐효율 측정은 ASTM D4935-9917)따라 제작된 Flanged circular coaxial transmission line method를 이용하였고 제조된 판상의 전자파 차폐 복합성형체를 Fig. 3에 나타낸 규격으로 가공하고 전자파 발생기와 수신기 기능을 갖춘 Network Analyzer(HP 8720C)를 사용하여 100MHz ~ 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차폐효과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C. Johnson and A. W. Guy in 'Biological Effectsof Electromagnetic Radiation' (J. M. OsepchuckEd.), IEEE Press, N. Y., PP. 47-43, 1987 

  2. J. T. Hoback and J. J. Reilly, J. of Elastomers and Plastics, 20, 54, 1988 

  3. S. T. Shinn, Y. C. Fa, Mat. Sci. Eng. A 302, P.258, 2001 

  4. Kawakubo, Chuba T. and Otaka, T., PlatingSurface Finishing, 78(2), P. 48, 1991 

  5. C. Y. Huang and J. F. PAI, Eur. Polym. J. Vol.34, No. 2, PP. 261-267, 1998 

  6. Pletcher and Welch, Industrial Electrochemistry,Ch. 8, Blackie A&P, 1993 

  7. J. M. Crosby and J. E. Travis, Rubber World 193,30, 1985 

  8. T. Katsura, M. R. Kamal, and L. A. Utracki,Polym. Compos. 6, P. 282, 1985 

  9. Taka, T., Synth. Metals, 41(43), P. 1177, 1991 

  10. L. W. Shacklette and N. F. Colaneri, J. Vinyl Technol., 14(2), P. 118, 1992 

  11. M. Q. Zhang, Study on the Structure Property Relation of Electrical Conductive PolymericComposites, PhD thesis, Zhongshan University, Guangzhou, China, 1991 

  12. C. Y. Huang, W. W. Mo, Surface and CoatingsTechnology 154, PP. 55-62, 2002 

  13. S. S. Tzeng, F. Y. Chang,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302, PP. 258-267, 2001 

  14. N. C. Das, D. Khastgir, T. K. Chaki, A. Chak raborty, Composites, Part A31, PP. 1,069-1081, 2000 

  15. W. M. Wright and G. W. Woodham, ConductivePlastics, Conductive Polymer and Plastics (J. M.Margolis, ed.), Chapman and Hall, New York, P.119, 1989 

  16. A. Moguez, Composite materials modification for EMI shielding,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the Advancement of Material and Process Engineering European Chapter, Milan, pp. 237-252, 1988 

  17. 강영구, 송종혁, Coupling agent 처리에 따른 난연 Composite의 기계적 특성 및 난연특성 연구, 2004, 한국산업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465-469, 2004 

  18. S. J. Monte, Kenrich Petrochemicals Inc, Kenreact Reference Manual, pp. 65-69,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